“그런 사람은

눈으로 보기만 해도 도를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니말을 할 필요도 없다.”

 

- 장자(외편) ; 제21편 전자방[2]-

 

 

溫伯雪子適齊, 온백설자적제, 온백설자가 제나라로 가다가舍於魯. 사어로. 노나라에 머물렀다.魯人有請見之者, 로인유청견지자, 노나라 사람 하나가 그를 만나기를 원하자溫伯雪子曰.온백설자왈. 온백설자가 말했다.「不可. 「불가. 불가합니다.吾聞中國之君子,오문중국지군자, 내가 듣건대, 중국의 군자들은明乎禮義명호례의 예의는 밝지만而陋於知人心, 이루어지인심, 사람들의 마음을 아는 데는 어둡다고 합니다.吾不欲見也.」 오불욕견야.」 만나고 싶지 않습니다.”

 

至於齊, 지어제, 제나라고 갔다가反舍於魯, 반사어로, 돌아오는 길에도 노나라에서 머물렀는데,是人也又請見. 시인야우청견. 전의 그 사람이 다시 만나주기를 요청했다.溫伯雪子曰:온백설자왈: 온백설자가 말했다.「往也蘄見我, 「왕야기견아, “전에도 나를 만나려 했었고,今也又蘄見我. 금야우기견아. 지금도 나를 만나려하고 있으니是必有以振我也.」 시필유이진아야.」 반드시 나를 깨우쳐줄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다.” 出而見客, 출이견객, 그리고 나가 손님을 만나고入而歎. 입이탄. 들어와 탄식을 했다.

 

明日見客, 명일견객, 다음 날도 그 손님을 만났는데又入而歎. 우입이탄. 또 들어와 탄식을 했다.

 

其僕曰:기복왈: 그의 하인이 물었다.「每見之客也, 「매견지객야, “ 그 손님을 만나고必入而歎, 何耶?」 필입이탄, 하야?」 들어오실 때마다 탄식을 하는 것은 어쩐 일이십니까?”

 

曰: 왈: 온백설자가 대답했다.「吾固告子矣: 「오고고자의: “전에 내가 너에게 말한 적이 있었다.‘中國之民, ‘중국지민, 중국 사람들은明乎禮義而陋乎知人心.’명호례의이루호지인심.’ 예의는 밝지만 사람의 마음을 아는 데는 어둡다고.昔之見我者,석지견아자, 어제 내가 만났던 사람은進退一成規一成矩, 진퇴일성규일성구, 나아가고 물러서는 것이 가늠쇠나 자를 댄 것처럼 일정한 규칙이 있고,從容一若龍一若虎, 종용일약룡일약호, 점잖은 모습은 용이나 호랑이 같았다.其諫我也似子, 기간아야사자, 그가 나에게 말하는 태도는 자식과 같았고,其道我也似父, 기도아야사부, 나를 인도해 주는 태도는 어버이와 같았다.是以歎也.」 시이탄야.」 그래서 탄식을 했던 것이다.”

 

仲尼見之而不言. 중니견지이불언. 공자도 그를 만났던 일이 있었는데, 공자는 말을 하지 않았다.子路曰:자로왈: 자로가 말했다.「吾子欲見溫伯雪子久矣, 「오자욕견온백설자구의, “선생님께서는 오래 전부터 온백설자를 만나보려 하셨습니다.見之而不言, 何邪?」 견지이불언, 하사?」 그런 사람을 만나고도 어찌 아무 말씀이 없으십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若夫人者, 「약부인자, “그런 사람은目擊而道存矣,목격이도존의, 눈으로 보기만 해도 도를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니亦不可以容聲矣.」 역불가이용성의.」 말을 할 필요도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