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경에 처해도 편안한 마음으로 자연변화에 순응하라

-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7]-

 

孔子窮於陳蔡之間,

공자궁어진채지간,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 곤경에 빠져

七日不火食,

칠일불화식, 칠일 동안이나 불로 익힌 음식을 먹지 못하고 있었다

左據槁木,

좌거고목, 그러나 공자는 왼손은 마른 나무에 걸쳐놓고

右擊槁枝,

우격고지, 오른 손으로는 마른 나뭇가지를 두드리며

而歌猋氏之風,

이가표씨지풍, 신농씨의 노래를 불렀다.

有其具而无其數,

유기구이무기수, 그런데 그에게 악기는 있었지만 절주가 없고,

有其聲而无宮角,

유기성이무궁각, 그의 소리는 있지만 음률은 없는 상태였는데,

木聲與人聲,

목성여인성, 두드리는 나무소리와 그의 목소리는

犁然有當於人之心.

리연유당어인지심. 잘 어울려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顔回端拱還木

안회단공환목 그 때 안회가 두 손을 모아 쥐고 눈길을 떨구고

而窺之.

이규지. 공자를 바라보고 있었다.

仲尼恐其廣己而造大也,

중니공기광기이조대야, 공자는 안회가 자기의 뜻을 확대 해석해 재난을 크게 생각하거나

愛己而造哀也,

애기이조애야, 자기를 아낀 나머지 슬퍼할까 두려워 말했다.

曰:「回, 无受天損易,

왈:「회, 무수천손역, “안회야. 자연의 재해를 받아들이지 않고 편히 지내기는 쉽지만,

无受人益難.

무수인익난. 인위적인 부귀를 받아들이지 않고 마음을 바르게 갖기란 어려운 것이다.

无始而非卒也,

무시이비졸야, 모든 일은 시작되면 끝나지 않는 것이 없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人與天一也.

인여천일야. 사람이란 자연과 한 가지인 것이다.

夫今之歌者其誰乎?」

부금지가자기수호?」 지금 노래를 부른 것은 누구였더냐?”

回曰:

회왈: 안회가 말했다.

「敢問无受天損易.」

「감문무수천손역.」 “자연의 재해를 받아들이지 않고 편히 지내기는 쉽다는 말씀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飢渴寒暑,

「기갈한서, “굶주림과 목마름과 추위 더위와

窮桎不行,

궁질불행, 궁색해져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은

天地之行也,

천지지행야, 천지의 운행이며

運物之泄也,

운물지설야, 만물 변화의 표현이다.

言與之偕逝之謂也.

언여지해서지위야. 그 말은 이런 운행변화와 함께 변화하여 가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뜻한다.

爲人臣者,

위인신자, 신하된 사람은

不敢去之.

불감거지. 임금의 명으로부터 감히 벗어나지 못한다.

執臣之道猶若是,

집신지도유약시, 신하 노릇을 하는 도리도 이와 같은데

而況乎所以待天乎!」

이황호소이대천호!」 하늘을 대하는 도리야 어떻겠느냐?”

안회가 다시 물었다.

「何謂无受人益難?」

「하위무수인익난?」 “무엇을 두고 인위적인 부귀를 받아들이지 않고 마음을 바르게 갖기는 어렵다고 하는 것입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始用四達,

「시용사달, “처음 출세를 하고 보면 모든 것이 뜻대로 되고,

爵祿竝至而不窮,

작록병지이불궁, 벼슬과 녹이 더불어 보태져서 궁하지 않게 된다.

物之所利,

물지소리, 이것은 밖의 물건이 이롭게 해주는 것이지

乃非己也,

내비기야, 자기가 지니고 있던 것은 아니다.

吾命其在外者也.

오명기재외자야. 결국 나의 운명이 밖으로부터 지배당하게 되는 것이다.

君子不為盜,

군자불위도, 군자는 도둑질을 하지 않고,

賢人不為竊,

현인불위절, 현명한 사람은 물건을 훔치지 않는 법인데,

吾若取之,

오약취지, 우리가 벼슬이나 녹 같은 것은 취하는 것은

何哉?

하재? 어째서일까?

故曰:

고왈: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鳥莫知於鷾鴯,

조막지어의이,새 중에서는 제비보다 지혜로운 것이 없다.

目之所不宜處,

목지소불의처 눈으로 보아서 처신하기 부적합한 곳이면

不給視,

불급시, 뒤돌아볼 것도 없이 달아난다.

雖落其實,

수락기실, 비록 그의 먹이를 떨어뜨렸다 해도

棄之而走.

기지이주. 그것을 버리고 달아난다.

其畏人也,

기외인야, 제비는 그처럼 사람들을 두려워 하지만

而襲諸人間,

이습제인간, 사람들이 사는 집으로 들어와 집을 짓고 사는데,

社稷存焉爾.」

사직존언이.」 그 것은 살 곳과 먹을 것이 있기 때문이다.”

안회가 물었다.

「何謂无始而非卒?」

「하위무시이비졸?」 “무엇을 두고 모든 일이 시작되면 끝나지 않는 것이 없이 변화한다고 하는 것입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化其萬物而

「화기만물이 “만물은 변화하고 있지만

不知其禪之者,

부지기선지자, 그렇게 만드는 것이 누구인지는 알지 못한다.

焉知其所終?

언지기소종? 그러니 어찌 변화가 끝나는 곳을 알겠으며,

焉知其所始?

언지기소시? 어찌 변화가 시작되는 곳을 알겠느냐?

正而待之而已耳.」

정이대지이이이.」 자기를 올바르게 하고 그 변화에 호응할 뿐인 것이다.”

안회가 물었다.

「何謂人與天一邪?」

「하위인여천일사?」 “무엇을 두고 사람과 자연이 한가지라 하셨습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有人, 天也.

「유인, 천야. “ 사람이 존재하는 것도 역시 자연이다.

有天, 亦天也.

유천, 역천야. 자연이 존재하는 것도 자연이고,

人之不能有天,

인지불능유천, 사람이 자연의 도를 터득하지 못하는 것은

性也,

성야, 자기 성격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聖人晏然體逝而終矣!」

성인안연체서이종의!」 성인이란 편안히 자연의 변화에 몸을 맡겨 끝 가는 데까지 가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