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卷七十四

孟子荀卿列傳第十四

맹자순경열전 제14

 14-2. 추연(騶衍) 

 齊有三騶子。其前騶忌,

제나라에는 세 명의 추자(騶子)가 있다. 맨 먼저 사람은 추기(騶忌)다.

以鼓琴干威王,因及國政,封為成侯而受相印,先孟子。

제위왕(齊威王)에게 거문고에 빗대어 간언을 올려 국정에 참가하게 된 그는

성후(成侯)에 봉해지고 상국(相國)의 인장을 받았다.

  其次騶衍,後孟子。

그 다음은 추연(騶衍)으로 맹자보다 후대 사람이다.

騶衍睹有國者益淫侈,不能尚德,

若大雅整之於身,施及黎庶矣。

나라를 가진 자가 시간이 갈수록 더욱 음란하고 사치해지는 것을 목도한 추연은

그들에게서는 결코 도덕이 숭상될 수 없음을 알고,

시경(詩經)의 대아(大雅)에서 말한 것처럼 먼저 자신의 몸가짐을 단정하게 추스른다면

그때야 비로소 그 덕이 밑의 백성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乃深觀陰陽消息而作怪迂之變,

終始、大聖之篇十餘萬言。

그래서 그는 음양의 소멸과 성장을 깊이 관찰하고,

황당무계하고 현실과 거리가 먼 변화와 환상의 일을 주제로

종시(終始), 대성(大聖) 편 등 10여 만 자에 달하는 책을 저술했다.

其語閎大不經,

必先驗小物,推而大之,至於無垠。

그 말들이 어마어마하게 크고 종잡을 수 없으나,

먼저 작은 사물을 검증하고 난 후에

그것을 근거로 추론하여 큰 것에 적용해 나가

결국 무한한 곳까지 이르게 한 것이다.

先序今以上至黃帝,

學者所共術,大並世盛衰,〔一〕

우선 현재로부터 시작하여 먼 상고시대의 황제(黃帝)까지 서술했는데

이는 여러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술한 것으로 대체로 시대의 흥함과 쇠함을 따랐다.

因載其禨祥度制,推而遠之,

至天地未生,窈冥不可考而原也。

또한 신에게 길흉화복을 구하는 제도를 기재한 후에

그것을 근거로 짐작하여 먼 곳까지 이르렀는데,

천지가 생기기 전의 아련하게 깊고 먼 신비한 세상을 생각하여

그 시초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

先列中國名山大川,通谷禽獸,

水土所殖,物類所珍,

그는 먼저 중국의 명산대천(名山大川), 심산계곡에 살고 있는

날짐승과 들짐승, 수중이나 뭍에서 번식하는 각종 생물,

그리고 온갖 종류의 진기한 물건들을 서술하고

因而推之,及海外人之所不能睹。

그것들로 다른 것을 유추하여

사람들이 결코 볼 수 없는 요원한 이역(異域)의 산물까지 논했다.

稱引天地剖判以來,五德轉移,

治各有宜,而符應若茲。

천지가 나누어진 이래

오행(五行)이 상생상극(相生相克)하고 순환왕복(循環往復)하여

시대는 저마다 오행에 상응하는 정치제도를 취하고

천명(天命)과 인사(人事)가 상호 감응했음을 밝혔다.

以為儒者所謂中國者,

於天下乃八十一分居其一分耳。〔二〕

中國名曰赤縣神州。

유가에서 말하는 중국은,

천하를 81개로 나누었을 때 단지 그 한 부분만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여긴 추연은

해당하는 이름은 적현신주(赤縣神州)라고 지었다.

赤縣神州內自有九州,

禹之序九州是也,不得為州數。

적현신주 안에는 9개의 주(州)가 있는데

하우(夏禹)가 정리한 9주(九州)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는 대주(大州)와 같이 논할만한 것이 못 된다

中國外如赤縣神州者九,

乃所謂九州也。於是有裨海環之,〔三〕

중국 이외에도 적현신주와 같은 대주가 9개나 있는데

그것이 바로 9개의 대주(大州)다.

각각의 대주는 작은 바다가 두르고 있는데,

人民禽獸莫能相通者,

如一區中者,乃為一州。

각 주에 사는 백성들과 짐승들은 서로 통하지 않고

각각의 대주는 중국과 같이 9개의 주(州)로 나뉘고

그 한 구역 안에 있는 것을 1주(一州)라고 했다.

如此者九,乃有大瀛海環其外,

天地之際焉。其術皆此類也。

9개의 대주로 이루어진 세상은 큰 바다가 그 밖을 두르고 있는데,

그것이 하늘과 땅의 끝이다.

추연이 기술한 학설은 모두 이와 같은 것이었다.

然要其歸,必止乎仁義節儉,

君臣上下六親之施,始也濫耳。〔四〕

그러나 그 요점은 반드시 인의와 절약, 근검,

그리고 군신, 상하, 육친(六親) 사이의 일에 귀착되는데,

그 처음은 넘쳐흐른다.

王公大人初見其術,懼然顧化,〔五〕

其後不能行之。

왕공(王公)이나 대인(大人)들이 그의 학설을 처음 들으면

깜짝 놀라 그의 설에 감화되지만,

그러나 후에는 결코 실행할 수 없었다.

  〔一〕集解並,蒲浪反。索隱言其大體隨代盛衰,觀時而說事。

  〔二〕索隱桓寬、王充並以衍之所言迂怪虛妄,干惑六國之君,因納其異說,所謂「匹夫而營惑諸侯」者是也。

  〔三〕索隱裨音脾。裨海,小海也。九州之外,更有大瀛海,故知此裨是小海也。且將有裨將,裨是小義也。

  〔四〕索隱濫即濫觴,是江源之初始,故此文意以濫為初也。謂衍之術言君臣上下六親之際,行事之所施所始,皆可為後代之宗本,故云濫耳。

  〔五〕索隱懼音劬。謂衍之術皆動人心,見者莫不懼然駐想,又內心留顧而已化之,謂欲從其術也。按:化者,是易常聞而貴異術也。

  是以騶子重於齊。

이것으로 추연은 제(齊)나라에서 존중함을 받게 되었다.

適梁,

惠王郊迎,執賓主之禮。

그가 양나라에 갔을 때,

양혜왕이 교외에까지 나와 영접하여 손님과 주인의 예로써 대우했다.

適趙,平原君側行撇席。〔一〕

그리고 조(趙)나라에 갔을 때

평원군(平原君)은 옆으로 걸어가면서 옷자락이 자리를 쓸 정도로 경의를 표시하였다.

如燕,昭王擁彗先驅,〔二〕

請列弟子之座而受業,

築碣石宮,〔三〕身親往師之。

作主運。〔四〕

연(燕)나라에 가니

소왕(昭王)이 빗자루를 가지고 길을 쓸면서 앞에서 길을 인도하여

제자의 신분으로 자리에 앉아서 가르침을 받더니

결국 갈석궁(碣石宮)을 건축하여 그를 머무르게 하면서

몸소 찾아가 그를 스승으로 섬겼다.

이때 '주운(主運)'을 저술했다.

其游諸侯見尊禮如此,

豈與仲尼菜色陳蔡,

孟軻困於齊梁同乎哉!〔五〕

그가 천하를 유세하려 다닐 때 제후들에게 받은 존경과 예우가 이와 같았으니

어찌 옛날 공자가 진채(陳蔡) 지간에서 굶주림에 시달리고,

맹자가 제량(齊梁) 지간에서 당한 곤궁한 처지와 같다고 할 수 있겠는가?

故武王以仁義伐紂而王,伯夷餓不食周粟;

衛靈公問陳,而孔子不答;

그러므로주무왕이 인의로써 은주(殷紂)를 정벌하여 천자가 되었으나,

이를 반대한 백이(伯夷)는 주나라 곡식을 먹지 않고 굶어 죽었고,

위영공(衛靈公)이 진법에 대해 묻자 공자는 대답하지 않았으며,

梁惠王謀欲攻趙,孟軻稱大王去邠。〔六〕

양혜왕이 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그 계책을 묻자

맹자는 옛날 주나라 태왕(太王)이 빈(邠) 땅을 떠난 것을 칭송하는 것으로 대답했다.

此豈有意阿世俗苟合而已哉!

持方枘欲內圜鑿,其能入乎?〔七〕

이러한 일들이 어찌 세속에 아첨하며

구차하게 다른 사람의 뜻에 영합하려고 해서였겠는가?

네모난 자루를 둥근 구멍에 넣으려고 하니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겠는가!

或曰,伊尹負鼎而勉湯以王,

百里奚飯牛車下而繆公用霸,

作先合,然後引之大道。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이윤(伊尹)이 솥을 짊어지고 탕(湯)임금을 격려하여 왕이 되도록 했으며,

백리해(百里奚)는 수레 아래에서 소를 먹이다가 진목공(秦穆公)에게 등용되어 그를 패자로 만들었으니,

이는 모두 먼저 상대방의 뜻에 영합한 이후에

그를 대도(大道)로 인도한 것이라고 했다.

騶衍其言雖不軌,儻亦有牛鼎之意乎?〔八〕

추연의 말은 비록 일반적인 상궤를 벗어나기는 했지만

그가 품고 있는 뜻 역시 백리해가 소를 먹인 것이나 이윤이 솥을 짊어진 것과 같지 않았겠는가!

  〔一〕索隱按:字林曰「襒音疋結反」。韋昭曰「敷蔑反」。張揖三蒼訓詁云「襒,拂也。謂側而行,以衣襒席為敬,不敢正坐當賓主之禮也」。

  〔二〕索隱按:彗,帚也。謂為之埽地,以衣袂擁帚而卻行,恐塵埃之及長者,所以為敬也。

  〔三〕正義碣石宮在幽州薊縣西三十里寧臺之東。

  〔四〕索隱按:劉向別錄云鄒子書有主運篇。

  〔五〕索隱按:仲尼、孟子法先王之道,行仁義之化,且菜色困窮;而鄒衍執詭怪營惑諸侯,其見禮重如此,可為長太息哉。

  〔六〕索隱今按:孟子「太王去邠」是軻對滕文公語,今云梁惠王謀攻趙,與孟子不同。

  〔七〕索隱按:方枘是筍也,圜鑿是孔也。謂工人斲木,以方筍而內之圜孔,不可入也。故楚詞云「以方枘而內圜鑿,吾固知其齟齬而不入」是也。謂戰國之時,仲尼、孟軻以仁義干世主,猶方枘圜鑿然。

  〔八〕索隱按:呂氏春秋云「函牛之鼎不可以烹雞」,是牛鼎言衍之術迂大,儻若大用之,是有牛鼎之意。而譙周亦云「觀太史公此論,是其愛奇之甚」。

  自騶衍與齊之稷下先生,〔一〕

如淳于髡、慎到、環淵、〔二〕接子、〔三〕田駢、〔四〕騶奭之徒,〔五〕

各著書言治亂之事,以干世主,豈可勝道哉!

추연을 비롯하여 제나라의 직하(稷下)에 모여 살았던 학자들,

즉 순우곤(淳于髡) 신도(愼到), 환연(環淵), 접자(接子), 전병(田騈), 추석(騶奭)과 같은 무리가

각자 글을 지어 혼란한 세상을 다스리는 일들을 논술하여

이로써 당시의 군주들에게 읽혀지기를 간구하였으니,

그것들을 어찌 이루 다 언급할 수 있겠는가?

  〔一〕索隱稷下,齊之城門也。或云稷下,山名。謂齊之學士集於稷門之下。

  〔二〕索隱按:劉向別錄「環」作姓也。

  〔三〕索隱古著書人之稱號。

  〔四〕索隱步堅、步經反二音。

  〔五〕正義慎子十卷,在法家,則戰國時處士。接子二篇。田子二十五篇,齊人,游稷下,號「天口」。接、田二人,道家。騶奭十二篇,陰陽家

'중국고전 > 史記 사기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6. 순자  (0) 2012.05.19
14-3. 순우곤  (0) 2012.05.19
14-1 孟子  (1) 2012.05.18
장의열전 제10-8  (0) 2012.05.10
장의열전 제10-7  (0) 2012.05.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