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翌日, 門外有車馬騈闐之聲, 閽者奔入而告曰: “衆賓至矣.”
이튿날 문밖에서 요란한 수레소리가 들리더니 문지기가 달려와 알렸다.
“많은 손님들이 오십니다.”
大君掃東閣延入, 皆文人才士也. 坐定, 大君以妾等所製賦烟詩示之, 滿坐大驚曰:
대군은 동각을 소제케 하고 들어와 맞으니 모두 문인 재사들이었다. 자리를 정하고 대군은 저희들이 지은 부연시를 내보이니 모두들 크게 놀랐다.
“不意今日復見盛唐音調. 非我等所可比肩也. 如此至寶, 進賜從何得之?”
“뜻밖에 오늘 다시 성당 시절의 시를 보니 우리들은 비견할 바가 못됩니다. 이처럼 훌륭한 작품을 어디서 얻었습니까?”
大君薇笑曰: “何爲其然耶? 童僕偶然得於街上而來, 未知何人之所作, 而想必出於閭閻才士之手也.”
대군이 미소를 지었다.
“무엇이 그런가요? 하인이 우연히 길에서 주워와 어떤 사람 작품인지 알 수 없으나 여염집 재사의 손에서 나온 듯하오.”
群疑未定, 俄而成三問至曰:
여러 사람의 의심이 풀리지 않았는데 조금 후에 성삼문이 이르렀다.
“才不借於異代, 自前朝迄于今, 而已六百餘年, 以詩鳴於東國者, 不知其幾人,
재주는 다른 시대에 빌린 것이 아니라 고려조에서 지금까지 육백여 년간 시로써 우리나라에 이름을 떨친 자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습니다.
或沉濁而不雅, 或輕淸而浮藻, 皆不合音律, 失其性情, 吾不欲觀諸,
혹은 침탁(沉濁)하여 불라(不雅)하고 혹은 경청(輕淸)하고 부조(浮藻)하여 모두 모두 음률에 맞지 않고 그 성정을 잃어버려 내가 보고자 하지 않습니다.
今觀此詩, 風格淸眞, 思意超越, 小無塵世之態, 此必深宮之人, 不與俗人相接, 只讀古人之詩, 而晝夜吟誦, 自得於心者也.
이제 이 시를 보니 풍격이 정진하고 사의가 초월하여 조금도 속세의 태도가 없으니 이는 반드시 깊은 궁안의 사람이 속인과 서로 만나지 아니하고 다만 고인의 시를 읽고 주야로 음송하여 스스로 그 정서를 체득한 것입니다.
詳味其意, 其曰 ‘臨風獨惆悵’者, 有思人之意.
그 뜻을 자세히 음미해 보면,
“바람을 쐬며 홀로 슬퍼한다.”는 구절에는 님을 그리워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其曰 ‘孤篁獨保靑’者, 有守貞節之意.
“외로운 황죽은 홀로 푸른빛을 가졌다.”는 구절에는 정절을 지키려는 뜻이 있습니다.
其曰 ‘風吹自不定’者, 有難保之態.
“바람이 불어 저절로 안정하지 못한다.”는 구절에는 마음을 지키기 어렵다는 뜻이 있습니다.
其曰 ‘幽思向楚君’者, 有向君之誠.
“그윽한 그리움이 초나라 임금을 향한다.”는 구절에는 대군을 향하는 정성이 있습니다.
其曰 ‘荷葉露珠留’者, ‘西岳與前溪’者, 非天上神仙, 則不得如此形容矣.
“연잎에는 구슬 같은 이슬이 머문다.” 와 “서악과 앞 시내”라고 한 구정에는 천상이 신선이 아니면 이 같은 형용을 얻지 못합니다.
格調雖有高下, 而薰陶氣像, 則大約皆同. 進賜宮中, 必儲養此十仙人, 願毋隱一見.”
격조에는 고하가 있지마는 훌륭한 솜씨와 기상은 크게 보면 모두 같습니다. 궁중에는 반드시 열 선인을 두고 양성할 것이니 숨기지 말고 한 번 보여 주시지요.“
大君內自心服, 而外不頷可曰:
대군은 내심으로 탄복하면서도 겉으로는 수긍하지 않았다.
“誰謂謹甫有詩鑑乎, 我宮中豈有此等人哉! 可謂惑之甚矣.”
누가 근보가 시감이 있다고 하는가? 내 궁안에 어찌 이런 사람이 있단 말이오? 의혹함도 심하다고 말할 수 있다.“
于時, 十人從窓隙暗聞, 莫不歎服.
이때 열 명은 창틈으로 몰래 엿듣고는 탄복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고전문학 > 운영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성궁몽유록 제10회 (0) | 2009.09.28 |
---|---|
수성궁몽유록 제9회 (0) | 2009.09.27 |
수성궁몽유록 제7회 (0) | 2009.09.27 |
수성궁몽유록(壽聖宮夢遊錄) 제6회 (0) | 2009.09.27 |
수성궁몽유록 제5회 (0) | 200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