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八十四

屈原賈生列傳第二十四

굴원가생열전 제24

2.賈誼列傳 01

賈生名誼,[一]雒陽人也。

年十八,以能誦詩屬書聞於郡中。

가생의 이름은 의(誼)니 락양사람이다.

나이 18세에 시를 외고 글을 짓는 데 능숙하다고 하여

온 고을 안에 알려졌다.

注[一]索隱名義。漢書並作「誼」也。

吳廷尉為河南守,聞其秀才,[二]

召置門下,甚幸愛。

오정위는 하남태수가 되어 그의 뛰어난 재능을 듣고

문하에 불러두고 매우 사랑했다.

注[二]正義顏云:「秀,美也。」應劭云:「避光武諱改『茂才』也。」

孝文皇帝初立,

聞河南守吳公[三]治平為天下第一,

故與李斯同邑而常學事焉,乃徵為廷尉。

효문황제가 즉위하여 하남태수 오공이

고을을 다스리고 백성들을 평안케 함이 천하 제일이고

전에 이사(李斯)와 한 고을에 사면서 이사에게서 배웠다는 말을 듣고

이사를 불러 정위를 삼았다.

注[三]索隱按:吳,姓也。史失名,故稱公。

廷尉乃言賈生年少,頗通諸子百家之書。

文帝召以為博士。

정위는 가생이 연소하면서도

제자백가서에 능통하였다고 아뢰니

문제는 그를 불러 박사를 삼았다.

是時賈生年二十餘,最為少。

每詔令議下,諸老先生不能言,賈生盡為之對,

人人各如其意所欲出。諸生於是乃以為能,不及也。

이 때 가생은 20여세로 가장 연소했다.

조령(詔令)이 자문을 구할 때마다

여러 노선생들은 말할 수 없었지만

가생은 다 응대하여

사람마다 각기 그의 뜻이 나오는 바와 같이 하니

제생들은 이에 가생에게 미칠 수 없다고 생각했다.

孝文帝說之,超遷,

一歲中至太中大夫。

효문제가 기뻐하여 차례를 뛰어넘어 승진시키니

일년 안에 태중대부에 이르렀다.

賈生以為漢興至孝文二十餘年,

天下和洽,而固當改正朔,易服色,

法制度,定官名,興禮樂,

가생은 한나라가 일어나서 효문제에 이르기까지 20여 년,

천하가 화평하니 진실로 정삭을 고치고 복색을 바꾸고

제도를 법제화하고 관명을 정하고

예악을 일으켜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乃悉草具其事儀法,

色尚黃,數用五,[一]為官名,悉更秦之法。

이에 그의 일이 의례와 법제에 관한 일을 초안하였다.

색은 황색을 숭상하고 수는 5를 쓰며

관명을 지어 진나라 때의 법제를 모두 바꾸었다.

注[一]正義漢文帝時黃龍見成紀,故改為土也。

孝文帝初即位,謙讓未遑也。

諸律令所更定,及列侯悉就國,

其說皆自賈生發之。

효문제는 즉위 초인데다

겸양한지라 거기까지는 손이 미칠 겨를이 없었다.

모든 율령을 개정하고

열후들이 모두 제 자리에 나아가게 한 것은

모두 가생이 발의한 것들이었다.

於是天子議以為賈生任公卿之位。

이에 천자는 가생은 공경(公卿)의 지위를 맡을 만하다고 논의했다.

絳﹑灌﹑東陽侯﹑馮敬之屬盡害之,[二]

乃短賈生曰:

강, 관, 동양후, 풍경의 무리들은 그를 싫어하여

가생의 단점을 말했다.

注[二]正義絳﹑灌,周勃﹑灌嬰也。東陽侯,張相如。馮敬時為御史大夫。

「雒陽之人,年少初學,專欲擅權,紛亂諸事。」

“낙양인은 나이가 연소하고 학문이 일천하며

오로지 정권을 천단하여 모든 일을 분란케 합니다.“

於是天子後亦疏之,不用其議,

乃以賈生為長沙王太傅。

이에 천자도 그 뒤로는 그를 소외시키고

그의 건의를 채용하지 않았으며

이에 가생을 장사왕의 태부로 삼았다.

賈生既辭往行,

聞長沙卑溼,自以壽不得長,

又以適去,[一]意不自得。

가생은 이미 하직하고 길을 떠났다.

장사는 지대가 낮고 음습하다고 들었다.

그는 스스로 수가 길지 않으리라고 생각했다.

또한 귀양가는 길이라 마음도 언짢았다.

注[一]集解徐廣曰:「適,竹革反。」韋昭曰:「謫,譴也。」索隱韋昭云:「適,譴也。」字林云:「丈反。」

及渡湘水,為賦以弔屈原。其辭曰:

상수를 건너며 부를 지어 굴원을 애도했다.

그 글은 다음과 같다.

[조굴원부]

恭承嘉惠兮,[一]俟罪長沙。

삼가 천자의 은혜를 입어

장사에서 죄를 기다렸네.

側聞屈原兮,自沈汨羅。

어렴풋이 들으니 굴원은

멱라수에 빠져 죽었다네.

造託[二]湘流兮,敬弔先生。

상수의 흐름에 부치어

삼가 선생의 신령을 조상하노라.

注[二]索隱造音七到反。

遭世罔極兮,乃隕厥身。

더할 수 없이 무도한 세상을 만나

그 몸을 떨어뜨렸도다.

嗚呼哀哉,逢時不祥!

아, 슬프도다.

상서롭지 못한 때를 만남이여.

鸞鳳伏竄兮,[三]鴟梟翶翔。

난새와 봉황새는 엎드려 숨어 버리고,

부엉이와 올빼미가 높이 나는구나.

*난봉(鸞鳳) - 봉황새, 즉 군자와 현인.

*치조(鴟鳥) - 잔인하고 흉악한 올빼미류의 악조,

注[三]索隱竄音如字,又七外反。

闒茸尊顯兮,[四]讒諛得志;

어리석고 돼먹지 않은 소인배들이 높은 지위에 오르고

아첨하는 이들은 뜻을 얻었네.

*(闒茸,탑용)-어리석고 부재불초(不才不肖)함.

注[四]索隱闒音天臘反。茸音而隴反。案:應劭﹑胡廣云「闒茸不才之人,無

六翮翔之用而反尊貴」。字林曰「闒茸,不肖之人」。

賢聖逆曳兮,方正倒植。[五]

성현(聖賢)은 정도(正道)에 따르지 않는 결과로 초야에 묻히고,

방정(方正)한 인물이 정당한 위치에 서지 못하는 거꾸로 된 세상이다.

*逆曳(역예)-정도(正道)에 따르지 않음.

注[五]索隱胡廣云:「逆曳,不得順隨道而行也。倒植,賢不肖顛倒易位也。」

世謂伯夷貪兮,謂盜跖廉;[六]

세상에서는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탐욕하다고 하고,

춘추시대의 대도인 도척을 청렴하다고 하며,

注[六]索隱案:漢書作「隨﹑夷溷兮跖﹑蹻廉」,一句皆兼兩人。隨,卞隨也。

夷,伯夷也。跖,盜跖也。蹻,莊蹻也。

莫邪為頓兮,[七]鉛刀為銛。[八]

오나라의 명검인 막사(莫邪)는 둔하다고 하고

납으로 만든 칼은 날카롭다고 한다.

注[七]集解應劭曰:「莫邪,吳大夫也,作寶劍,因以冠名。」瓚曰:「許慎曰

莫邪,大戟也。」索隱應劭曰:「莫邪,吳大夫也。作寶劍,因名焉。」吳越春

秋曰:「吳王使干將造劍二枚,一曰干將,二曰莫邪。」莫邪﹑干將,劍名也。

頓,鈍也。

注[八]集解徐廣曰:「思廉反。」駰案:漢書音義曰「銛謂利」。索隱鉛者,錫

也。銛,利也,音纖。言其暗惑也。

于嗟嚜嚜兮,生之無故![九]

아, 선생은 묵묵히

까닭없이 이 화를 입으셨네.

注[九]集解應劭曰:「嚜嚜,不自得意。」瓚曰:「生謂屈原也。」

斡棄周鼎兮 寶康瓠,[一0]

주실의 보정(寶鼎)을 버리고

강고를 보배라 하였으며

注[一0]集解如淳曰:「斡,轉也。爾雅曰『康瓠謂之甈』,大瓠也。」應劭曰:

「康,容也。斡音筦。筦,轉也。一曰康,空也。」索隱斡,轉也,烏活反。

爾雅云「康瓠謂之甈」。甈音丘列反。李巡云「康謂大瓠也」。康,空也。晉灼

云「斡,古『管』字也」。

騰駕罷牛兮 驂蹇驢,[一一]

파리한 소에게 수레를 멍에하고

절름발이 나귀를 준마라 하니

注[一一]正義罷音皮。

驥垂兩耳兮 服鹽車。[一二]

준마는 두 귀를 늘어뜨린 채

소금 수레를 끌어야 하네.

注[一二]索隱戰國策曰:「夫驥服鹽車上太山中阪,遷延負轅不能上,伯樂下車哭之也。」

章甫薦屨兮,[一三]漸不可久;[一四]

잔보를 신발 밑에 깔았으니

점차로 오래 갈 수 없게 되네.

注[一三]集解應劭曰:「章甫,殷冠也。」

注[一四]集解劉向別錄曰:「因以自諭自恨也。」

嗟苦先生兮,獨離此咎![一五]

아, 괴로워라 선생이

홀로 이 화난에 걸리셨네.

注[一五]集解應劭曰:「嗟,咨嗟。苦,勞苦。言屈原遇此難也。」

은나라 탕(湯)왕이 현인 변수(卞隨)에게 양위하려고 하니,

천하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이라고 하며 거절했던 변수,

'중국고전 > 史記 사기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의열전 03/ 服賦`  (0) 2012.03.17
가의열전 02/ 신`  (0) 2012.03.17
굴원열전 04/ 회사부  (0) 2012.03.17
굴원열전 02  (0) 2012.03.17
굴원열전 01  (0) 2012.03.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