려요 <處容歌>

鶴,蓮花臺,處容舞 合設, 樂學軌範 권5.

[은자주] 재독 작곡가 고 윤이상이 작곡하여 공연한 <심청 오페라>에서 무대 중앙에 마련한 연꽃 속에서 심청이 출현할 때 관객들은 일제히 기립박수로 호응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독인의 지식인들은 불교에 대한 이해도 깊어 윤회 재생에 아무런 거부감 없이 그 기적의 무대와 음악에 경이감으로 반응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악학궤범의 이 대목에는 출연자들의 숫자와 무대의상 처용가면 그림까지 갖춰져 오페라 무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前腔] 新羅盛代 昭盛代

2. 天下太平 羅候德

3. 處容아바

4.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5.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6.[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하샷다

7.[中葉] 어와, 아븨즈시여 處容아븨즈시여

8.[附葉] 滿頭揷花 계오(우)샤 기울어신 머리예

9.[小葉] 아으, 壽命長願(遠)하샤 넙거신 니마해

10.[後腔] 山象이슷깃어신 눈섭에

11. 愛人相見하샤 오살어신 누네

12.[附葉] 風入盈庭하샤 우글어신 귀예

13.[中葉] 紅桃花가티 븕거신 모야해

14.[附葉] 五香마타샤 웅긔어신 고해

15.[小葉] 아으, 千金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16.[大葉] 白玉琉璃가티 해여신 닛바래

17. 人讚福盛하샤 미나거신 턱애(터개)

18. 七寶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

19. 吉慶 계우샤 늘의어신 사맷길헤

20.[附葉] 설믜() 모도와 有德하신 가사매

21.[中葉] 福智俱足하샤 브르거신 배예

22. 紅鞓 계우샤 굽거 허리예

23.[附葉] 同樂太平하샤 길어신 허튀예

24.[小葉] 아으, 界面 도라샤 넙거신 바래

25.[前腔] 누고지어 셰니오 누고지어 셰니오

26. 바늘도 실도 어(업시) 바늘도 실도 어

27.[附葉] 處容아비 누고지어 셰니오

28.[中葉] 마아만 마아만하니여

29.[附葉] 十二諸國이 모다 지어셰온

30.[小葉] 處容아비 마아만 마아만니여

31.[後腔] 머자 외야자 綠李야

32. 빨리나 내 신()고를 야라

33.[附葉] 아니옷 매시면 나리어다 머즌말

34.[中葉] 東京 발기다래 새도록 노니다가

35. 드러 내 자리 보니 가라리 네히로섀라

36.[小葉] 아으 둘흔 내해어니와 둘흔 뉘해어니오

37.[大葉] 이런저긔 處容아비옷 보시면

38. 熱病神이 膾ㅅ가시로다

39. 千金을 주리여 처용아바

40. 七寶를 주리여 처용아바

41.[附葉] 千金七寶도 말오

42. 熱病神를(을) 날 자바 쥬쇼셔

43.[中葉] 산이여 매해여 천리외예

44. 處容아비를 어여러(녀)거져

45.[小葉] 아으 熱病大神의 發願이샷다.


[語釋]

10.깃어신:무성한.

11.오실어신:온전하신, 원만하신

14.웅긔어신:우멍하신

15.어위어신:넓으신

17.미나거신:밀+나(出)+거+시+ㄴ

19.늘의어신:늘(垂)+이(사역)+어신

20.설믜():知見, 知慧. 눈설미

22.홍정: 붉은 허리띠

23.허튀: 脚. 종아리, 정강이. 소멸됨.

28.마아만 마아만하니여:많고 많은 사람들이여.

33.머즌말: 험한 말

44.어여러(녀)거져:어이(避)+어+녀(行)+거져:피하여 갈지어다. 비켜 가고저!


◇양주동,여요전주,pp.148-149.

原歌의 前後部에 허다한 부연이 생겨 일종의 劇詩的 형식의 辭說로 변화함.

제1단 1-6행 全篇의 序詞

제2단 7-24행 처용(가면)의 모습을 頌揚하는 辭說

제3단 25-30행 처용의 제작에 관한 辭說

제4단 1) 31-33행 疫神의 科白

2) 34-38행 처용의 偉力에 대한 說話 해설

3) 39-42행 唱者와 처용과의 問答

4) 43-45행 疫神의 哀願辭 및 結辭


◇김완진[사설자,열병대신,처용아비 삼인극]

1-6행 序詞

7-30행 本詞: 서사와 함께 사설자의 辭說. 처용의 偉容

1) 7-24행 처용의 畵像

2) 25-30행 처용의 제작

31-45 結詞

1) 31-32행 열병대신

2) 33-40행 사설자의 열병대신에 대한 위협

3) 41-42행 처용아비

4) 43-45행 열병대신의 遁辭

5) 45행 사설자


◇조동일,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p.133.

장 또는 연의 구분 없음. 대체로 한 줄 네 토막이나 산만함.

巫歌에 흔한 형식. 민요에서도 기본형식의 하나가 표면화함. 후대의 가사와 상통함.

기준: 설명과 대화.

1) 1-30행 설명. 처용의 모습

2) 31-33행 처용의 말

3) 34-36행 처용의 독백. 돌아갔을 때의 광경(향가의 1-6행)

4) 37-38행 처용을 부추키는 말

5) 39-42행 서술자와 처용의 대사.

처용이 열병신을 물리치는 무신으로서의 기능 되살림

서술자: 千金을 주리여 처용아바 七寶를 주리여 처용아바

처 용: 千金七寶도 말오 熱病神를(을) 날 자바 쥬쇼셔

6) 43-45행 산이며 들이며 천리 밖으로 처용을 피해 달아나는 것이 열병신의 發願.


◇처용무는 재앙과 질병을 물리치는 굿으로서의 오랜 전통을 지님

1)『삼국유사』권2, 처용랑설화. 향가 처용가.

신라 헌강왕 때 망국의 불안한 조짐.

2)고려시대 강화도에 피난간 조정에서 처용놀이를 하며 몽고군의 격퇴를 기원함.

주술적 기능이 약화 됨: 복야 벼슬의 宋景仁은 평소 처용놀이를 잘하며 취했을 때는 처용춤을 추었다고 함.

장소:궁중, 절간, 고관의 저택.

󰋬『고려사』권71, 樂2.

新羅昔日處容翁 見說來從碧海中

見齒頳唇歌夜月 鳶肩紫袖舞春風 *頳정:붉다


󰋬『악학궤범』권5,鶴․蓮花臺․處容舞 合設. 속요 처용가.

󰋬『牧隱集』, 驅儺行

新羅處容帶七寶 花枝壓頭香露零

低回長袖舞大平 醉臉爛赤猶未醒

3)조선시대 섣달그믐날 궁중에서 거행하는 나례(儺禮)의 한 절차로 제도화함.

󰋬『東國歲時記』, 上元

“男女年値羅睺直星[제웅직성]者 造芻靈[제웅]. 方言謂之處容.(…중략…) 上元前夜初昏 棄于塗以消厄.”

󰋬사람의 行年을 따라 그의 운명을 맡은 9개의 별로 제웅직성, 土直星, 水直星, 金直星, 日直星, 火直星, 計都直星, 月直星, 木直星 등이 있다.

󰋬남자는 10세에 제웅직성이 들기 시작하여 19세에 다시 돌아오고 여자는 11세에 들기 시작함.

󰋬日直星, 月直星을 만난 사람은 해와 달의 모양을 오려 나무에 끼워 용마루에 꽂는다. 또 달이 뜰 때 횃불도구에 불을 붙여 달을 맞이하기도 한다. 水直星을 만난 사람은 종이에 밥을 싸 우물 속에 던져 액을 막는다.

󰋬“남녀의 나이가 三災를 당한 자는 세 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인다. 三災法이란 이런 것이다. 巳․酉․丑生은 亥․子․丑이 드는 해에, 申․子․辰生은 寅․卯․辰이 드는 해에, 亥․卯․未生은 巳․午․未가 드는 해에, 寅․午․戌生은 辛․酉․戌年에 각각 三災가 든다고 한다. 세속에서는 이 卜說을 믿고 이렇게 세 마리의 매를 그려 액을 막는다. 生年으로부터 9년만에 三災가 들기 때문에 이 三災의 해에 해당하는 삼년간에는 남을 범해도 안 되고 모든 일에 꺼리고 삼가는 일이 많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