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彗星歌 -융천사

융천사 혜성가 진평왕대

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은자주]세 화랑의 인격은 해와 같아서 달 아래 떠가는 혜성 따위야 문제될 게 없다는 화랑 찬양의 노래다. <찬기파랑가> <모죽지랑가>와 동궤의 작품이다. 신라 천 년의 역사는 그냥 이루어진 게 아니다. 이런 화랑과 충담사 같은 영향력 있는 인격자들이 신라 뒤안길의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第五居烈郞 第六實處郞(一作突處郞) 第七寶同郞等 三花之徒

제5 거열랑 제6 실처랑 제7 보동랑 등 화랑의 무리 세 사람이

欲遊楓岳 有彗星犯心大星.

풍악에 놀러가려는데 혜성이 심대성(心大星)을 범했다.

郎徒疑之 欲罷其行.

낭도들은 이것을 이상스럽게 생각하여 그 여행을 중지하려 했다.

時天師作歌 歌之. 星怪卽滅

이 때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서 부르니 별의 변괴는 사라졌다.

日本兵還國 反成福慶.

일본 군대가 저희 나라로 돌아가니 도리어 경사가 되었다.

大王歡喜 遣郎遊岳焉.

임금이 기뻐하여 낭도들을 풍악에 놀게 했다.

歌曰,


舊-理-東-尸-汀-叱-乾達婆-矣

游-烏-隱-城-叱-肹-良-望-良-古

倭-理-叱-軍-置-來-叱-多

烽-燒-邪-隱-邊-也-藪耶

三花-矣-岳 -音-見-賜-烏-尸-聞-古

月-置-八-切-爾-數-於-將來-尸-波-衣

道-尸-掃-尸-星-利-望 -良-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北*-所-音-叱-彗-叱-只-有-叱-故

녜 새ㅅ믌갓 乾達婆 옛날 동해 물가/

노론 잣흘란 바라고 건달바가 놀던 성을 바라보고

예ㅅ 軍두 옷다 “왜군도 왔다!”고

燧살얀 갓 이슈라 봉화를 든 변방이 있구나.

三花애 오름보샤올 듣고 세 화랑의 산구경 오심을 듣고

달두 바즈리 혀렬바애 달도 부지런히 등불을 켜는데

길쓸 별 바라고 길 쓸 별을 바라보고

彗星여 살반여 사라미 잇다 “혜성이여!” 사뢴 사람이 있구나!

아으,달 아래 떠갯더라 아, 달은 저 아래로 떠나가 버렸더라

이어우 므슴ㅅ 彗ㅅ기 이실고 이 보아 무슨 혜성이 있을꼬.



12.彗星歌 해설

󰋬26대 진평왕 16년(594)으로 추정.

융천사는 승려이고 천문관이고 변괴를 물리치는 주술사.

󰋬백제 威德왕 41년(594) 겨울 11월에 혜성이 동쪽 하늘에 나타남(삼국사기 백제본기)

󰋬心大星은 신라인들의 국가 또는 국왕을 상징하는 별.

󰋬건달바는 불교에서 말하는 음악과 놀이의 신이고, “건달바가 논 성”은 바로 신기루.

󰋬(4구)烽-燒-邪-隱-邊 -也-藪 -耶:(김완진)횃불 올린 어여 수풀이여.

홰-태-야-은-어여-여-수플-야>홰 얀 어여 수프리야

[김완진,p.131]‘邊也’는 ‘어여’로서 ‘스플’에 붙는 고유명사가 아닐까 하는 것이다. 後世의 文證이 시기적으로 뒤지지만(漢淸文鑑), ‘귀어엿’, ‘그릇부리 어엿’으로 나타나는 古代語形이 ‘어여’였는지, 아니면 固有名詞 ‘어여’를 나타내기 위하여 ‘邊’의 訓 ‘어엿’을 이용하면서 그 末音이 ‘엿’이 아닌 ‘여’임을 ‘야’字로 표시하였는지 아직 알 수가 없다.

󰋬(8구)彗星여 살반여 사라미 잇다: 사실이 아님. 혜성이 없다고 하면 나타난 혜성이 사라지는 언어의 주술성.

󰋬(10구)此-也-友-物-北*-所-音-叱: ‘北*’의 표기 문제. ‘友-物’의 語釋.

[양주동,p.872] ‘叱’의 誤字.

[김완진,p.135] ‘므슴’을 나타내는 것은 ‘物-北*-所-音’이 아니라 ‘北*-所-音’으로 본다. 문제의 ‘北’자는 ‘甚’자의 草體로부터의 轉訛라고 보는 것이 저자의 견해다. ‘甚’(=怎즘:어찌)은 ‘무슨’의 뜻으로 ‘甚所音’은 전형적인 訓主音從의 표기요, ‘므슴’을 나타내는 데에 아무런 손색이 없다.

◊‘友-物’의 語釋

[소창진평] 이에 밧갓듸 밤ㅅ 비질악(이) 잇고

[양주동] 이어우 므슴ㅅ 彗ㅅ기 이실고

[지헌영] 이예 벋달ㅅ 살(헤)ㅅ아 잇고 ‘벋들’

[김선기] 이야 벋믈 다뵈숌ㄷ 쒿끼 읻고 ‘받몬’

[서재극] 이야 벋믈 배삼ㅅ 뷧즈락 잇고 ‘벋믈’(의미는 ‘벗들’)

[김준영] 이여우 믓솜 쉿ㄱ* 잇고. *쉬+(종성이 ㅅ+ㄱ)

[김완진] 이예 버믈 므슴ㅅ 彗ㅅ 닛고

‘繞’를 뜻하는 ‘버믈’을 想定함. 이-여-버믈-믈>이예 버믈>이에 어울릴 (무슨 彗星을 함께 하였습니까.)

󰋬세 화랑은 달과 별을 무색하게 하는 해와 같이 우뚝한 존재. 주술적 사고방식에다 화랑의 기백을 찬양하는 말을 첨가하여 격조 높은 암시를 창출함.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려요 처용가  (0) 2008.08.24
처용가 -처용  (1) 2008.08.24
永才遇賊(영재우적), 삼국유사 피은(避隱)  (0) 2008.08.23
원가 -신충  (0) 2008.08.23
도미 아내의 정절  (0) 2008.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