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앞에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堂"이라 적었다.

제사를 번역하면, "세한도를 우선 이상적은 감상하시게. 완당 김정희"

그림을 해석하면, 내 마음은 벗님들 덕분에 한겨울에도 춥지 않아! 오두막이야 썰렁하지만.

 

 

https://www.youtube.com/watch?v=Jyx9oAoq54E&t=150s 

 

Jose Carreras, Placido Domingo, Luciano Pavarotti

https://www.youtube.com/watch?v=0mGoYySWw_0 

 

 

https://kydong77.tistory.com/21236

 

추사 김정희, 세한도 발문& 서귀포 추사유배지/ 성읍민속마을

집앞의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堂"이라 적었다. 제사를 번역하면, "세한도를 우선 이상적은 감상하시게. 완당 김

kydong77.tistory.com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발문. 원문- 번역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6533615

사 김정희의 세한도 발문(歲寒圖 跋文) 원문과 번역문.

 藕船是賞 阮堂

- 우선(藕船) 이상적에게 주다. 완당

지난 해(1843, 헌종9)에 『만학집(晩學集)』과 『대운산방집(大雲山房集)』 두 책을 부쳐주었고, 금년에 또 우경(藕畊)이 지은 『황청경세문편(皇淸經世文編)을 부쳐주었다. 이들 책은 모두 세상에서 언제나 구할 수 있는 책이 아니니, 천만리 먼 길에서 구입한 것이고, 여러 해를 거듭하여 입수한 것이지, 한때에 해 낸 일이 아니다.  (……하략……)

이하의 편지 내용은 위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도병훈, 추사 적거지와 세한도

http://www.sonahmoo.com/12048

1840년 6월, 추사는 동지부사로 임명되어 24세 때 아버지를 따라 수행하여 자신의 인생을 바꾸는 전환기가 되었던 연행燕行을 30년 만에 다시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동년 8월 하순, 안동김씨 세력의 음모로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면서 명문가 자제로서 승승장구하던 추사의 삶은 하루아침에 파탄에 이른다.
당시 충남 예산의 집에 머물던 추사는 의금부 금부도사에 의해 체포되어 서울로 호송된다. 이후 추사는 6차례나 모진 고문을 당하고, 또한 곤장 36대를 맞을 정도로 참담한 수모와 고초를 겪었다.
1840년 9월 초, 추사는 친구의 도움으로 목숨만을 건진 채 고문으로 만신창이가 된 몸을 이끌고 기약 없는 제주 유배 길을 떠났다.
1840년 9월 말, 추사는 완도에서 배를 타고 제주 화북으로 건너갔다. 80리길을 더 들어가 서귀포시 대정읍 송계순의 집에 도착했다. 바람이 세고 춥고 험난한 지역이었다. 추사는 얼마 후 다시 강도순의 집 사랑채에 짐을 풀었지만 집 주위에 탱자나무로 가시 울타리를 치는 위리안치(圍籬安置)였다.
설상가상으로 유배당하던 해에 해배에 대한 희망의 끈이었던 절친한 친구 김유근이, 또 1842년엔 부인 예안이씨가 세상을 떠났다. 추사의 유배 생활은 당시 그가 남긴 수많은 서간에 잘 드러나듯, 기가 막히는 억울함에다 숱한 풍토병과 눈병에 시달렸으며, 겨울에는 한풍이 여름에는 무더위와 높은 습도로 고난과 역경의 삶을 연명해야 했다.
유배기간동안 제자인 소치 허련과 역관 우선 이상적(藕船 李尙適 184-1865), 친구인 초의선사가 제주를 찾아왔지만 세상은 추사를 잊어갔다. 추사는 책과 서화, 제주의 유생들을 가르치는 일로 ‘푸른 바다와 긴 하늘 같이 한이 끝이 없는’ 유배생활의 고독과 시름을 달랬다.

이처럼 유배지에서 외롭게 삶을 살아가는 추사에게 그나마 큰 위안은 책을 보는 것이었다. 이상적은 중국에 여러 번 드나 든 역관으로서 귀한 중국책들을 구하여 추사에게 보내주었다. 그의 변함없는 마음에 답하고자 1844년 59세의 추사는 서간지를 펼쳐 놓고 붓을 들었다. 이렇게 그려진 그림이 세한도다.  

세한도를 전해 받고 감격한 주1) 이상적은 그해 10월 동지사 이정응(李晸應) 일행을 수행하여 연경으로 가서 이듬해 1845년 정월 22날 그의 벗인 오찬(吳贊)의 장원에서 벌어진 잔치에 초대 받는다. 이 자리에는 오찬 ․ 장요손 등 옹방강(*추사가 아버지를 수행하여 연경에 갔을 때 만난 금석학의 스승)의 제자 17명이 참석을 하였는데, 이상적이 세한도를 꺼내 보이자, 이들은 깊은 감동과 함께 제(題)와 찬시를 쓴다. 주2)


주1)이상적이 세한도를 전해 받고 추사에게 보낸 편지는 다음과 같다.
< 세한도> 한 폭을 엎드려 읽으려니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흘러내립니다. 어찌 이런 분에 넘치는 칭찬을 하셨으며, 감개가 절절하셨단 말입니까? 아! 제가 어떤 사람이기에 권세나 이권을 좇지 않고 스스로 초연히 세상의 풍조를 벗어났겠습니까? 다만 보잘것없는 제 마음이 스스로 그만둘 수 없어 그런 것입니다. 더욱이 이런 책은 마치 문신을 새긴 야만인이 선비들의 장보관(章甫冠)을 쓴 것 같아서 변덕이 죽 끓듯 하는 정치판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저절로 청량(淸凉)세계에 있는 사람에게 돌아가기 마련입니다. 어찌 다른 의도가 있겠습니까? 이번에 이 그림을 가지고 연경에 들어가서 장황을 한 다음 친구들에게 구경을 시키고 제영을 부탁할까 합니다. 다만 걱정스러운 것은 그림을 구경한 사람들이 제가 정말로 속물에서 벗어나 권세와 이권 밖에서 초연하다고 생각할까 하는 것입니다. 어찌 부끄러운 일이 아니겠습니까? 당치 않은 일입니다.(이 글은 박철상 지음, 세한도, 문학동네, 2010, 183~184쪽에서 인용함)   

   
주2)현존하는 세한도는 청나라 학자 16인의 제찬, 또는 제영題詠과 함께 길이 약 13m의 긴 두루마리로 되어 있다. 이 장권의 세한도 두루마리는 이상적이 죽고 그의 제자였던 이병선과 김준학, 민영휘의 아들 민규식의 소유가 된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민규식은 경성제대 중국철학교수 후지츠카 지카시에게 세한도를 팔게 된다. (……하략……) 

 

[참고] 세한도 발문의 중심문장의 원문과 추사선생의 해설을 좀 더 자세히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논어』 「자한」편에 에 이르기를, 

歲寒然後 知松栢之後凋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오랜 세월) 후에 시드는 것을 안다고 하였네.

松栢是貫四時而不凋者

송백시관사시이부조자,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계절 내내 시들지 않은 것이라서,

歲寒以前一松栢也 

세한이전일송백야,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도 한 결 같이 푸른 소나무와 잣나무요, 

歲寒以後一松栢也

세한이후일송백야,  날씨가 추워진 뒤에도 한 결 같이 푸른 소나무와 잣나무이지만

聖人特稱之於歲寒之後  

성인특칭지어세한지후,  성인은 특별히 날씨가 추워진 뒤에 이를 일컬었네..

 

今君之於我 由前而無加焉 由後而無損焉

금군지어아 유전이무가언 유후이무손언

지금 그대가 나를 대함에 유배전이라고 해서 더 잘한 것도 없고, 유배 후라고 해서 더 못한 것도 없네.

然由前之君 無可稱 由後之君 亦可見稱於聖人也耶

연유전지군 무가칭 유후지군 역가견칭어성인야야

그러나 유배 오기 전의 그대는 특별히 칭찬할 것이 없다 하더라도 

유배온 뒤의 그대는 또한 성인에게 칭찬받을 만한 것이 아니겠는가?

聖人之特稱 非徒爲後凋之貞操勁節而已

성인지특칭 비도위후조지정조경절이이

성인이 특별히 언급한 것은 단지 늦게 시드는 곧은 지조와 굳은 절개 때문만이 아니라,

亦有所感發於歲寒之時者也

역유소감발어세한지시자야

또한 날씨가 추울 때 느끼는 바가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일세.  


위의 번역 글은 강관식의 추사의 그의 시대(돌베개, 2002) 213~214쪽의 번역을 바탕으로 도병훈님이 부분적으로 수정한 것이다. ‘후조後凋’에 대한 해석은 말 그대로 하면 ‘늦게 시든다’이지만, 전체 문맥상 흔히 ‘늘 푸름’ 또는 ‘시들지 않는다’고 해석하며, ‘시드는 것을 뒤로 한다’는 해석도 있다. ‘(오랜 세월) 뒤에 시든다’고 해석한 것은, 원래 한자 문명권에서는 시간을 초월하는 영원의 개념이 없다는 세계관에 기인한다. 소나무도 언제까지 푸를 수는 없고 다만 살아 있는 동안 푸름이 지속되므로 공자도 ‘후조’라 했다는 것이다.      

 

김정희[]

1786년(정조 10) ~ 1856년(철종 7)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 금석학자. 왕희지 필법에도 능숙함.

추사() ,완당(), 예당(), 시암(), 과노(), 농장인(), 천축고선생()

예산 출신.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 호는 추사()·완당()·예당()·시암()·과노()·농장인()·천축고선생() 등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정희 [金正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세한도' 그림에서 네 그루의 소나무와 초막의 상징에 대한 갑론을박도 있으나 소나무는 물론 염량세태에도 변함 없이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위리안치된 추사 자신을 찾아주던 제자인 이상적, 소치 허련과 친구인 초의선사 등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 세한도 그림에서 네 그루의 소나무와 초막의 상징에 대한 갑론을박도 있으나 소나무는 물론 염량세태에도 변함 없이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위리안치된 추사 자신을 찾아주던 제자인 이상적, 소치 허련과 친구인 초의선사 등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조선 후기에 금속학을 개척하며 9년간의 제주 유배시절에도 서예로 자신을 가다듬으며 언제나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불굴의 위인이셨다. 과거의 삶을 버리고 새로운 삶을 추구한 흔적은 그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호를 바꿔간 데서도 증명된다.

 

이상적(李尙迪)  

1804년(순조 4) ~ 1865년(고종 2)  

호 우선(藕船)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혜길(惠吉), 호는 우선(藕船). 한어역관(漢語譯官)집안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연직(李延稷)이다. 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

 

Christmas(크리스마스)의 뜻은 "그리스도를 위한 예배"라는 의미입니다.

Christ(구세주)와 mass(예배)의 합성어

 

 

https://www.youtube.com/watch?v=UPRrqigHtq0 

 

레미드 구루몽 - 낙엽

https://www.youtube.com/watch?v=3h6nRVD5iNQ

 

*시몬, 네 귀에 좋다고 낙엽 밟지 마! 낙엽은 아직 아프다니까.

 

 

영녕전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KxWMSPf-E

 

유튜브에 탑재된 종묘 동영상을 함께 올립니다.

종묘 1부 종묘 정전, 101M에 500년을 담다

https://www.youtube.com/watch?v=54rFhVseK5E

종묘 2부 신주를 사수하라

https://www.youtube.com/watch?v=CqyU7gloARM

종묘 3부 600년의 길, 종묘제례

https://www.youtube.com/watch?v=_LNA9KBut2s

[참고]

종묘는 일제가 창경궁에서 분리하고 도로를 개설함. 그 도로가 지금의 율곡로.

https://www.youtube.com/watch?v=zLWaWbFxev0&t=318s

시각바 3:45 종묘와 창경궁 분리.

1909년 동식물원 개장. 창경궁 후원 춘당지 뒤의 식물원은 현존함.

1924년4월 창경궁 밤벚꽃놀이 시작.

1983년 동물원 이전, 벚꽃나무 이식 계획에 따라 동물원은 서울대공원으로,

꽃나무는 여의도 윤중로와 서울 대공원으로 이식함.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덕분.

 

앞 꼭지에서는 사마천의 정신과 육체의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철학적으로 부연하면

인간에게 있어 정신은 본질이고 육신이란 현상일 뿐이다.

제례의식을 통해 죽음의 문제를 분석하면 호흡을 멈추는 순간, 영혼은 승천하고 육신은 지하에서 소멸한다는 것이 사후의 인간에 대한 유교적 분석이다. 제례에서 향과 술이 빠지지 않는 것은 향불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함이요, 술은 지하의 그 육신에게 바치는 의식이다. 종묘제레 동영상에서는 주전자의 술을 분명히 마루 구멍에 붓는 것을 목도할 수 있다. 술자리에는 일반적으로 지각한 동료에게 후래자 삼배의 벌칙이 있는데 이 관습의 근원적 심층을 파고 들면 죽은 사람과 동격으로 대한다는 겁나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이 블로그 사이드바 사진 아래 글구에도 올린, 생사에 대한

사마천의 <사기>열전 제70 ‘태사공 자서’에 나오는 말입니다.


凡人所生者神也 所託者形也. 神大用則竭하고 形大勞則敝 .
범인소생자신야 소탁자형야 신대용즉갈 형대로즉폐
形神離則死. 死者不可復生하고 離者不可復反 故聖人重之.
형신리즉사 사자불가부생 리자불가불반 고성인중지

由是觀之컨대 神者生之本也요 形者生之具也. 不先定其神[形]하고서
유시관지 신자생지본야 형자생지구야 불선정기신[형]
而曰「我有以治天下.」라 하면 何由哉?
이왈 아유이치천하 하유재

무릇 사람이란 살아 있는 것은 정신이고, 정신이 의탁하는 것은 육신이다.
정신은 크게 쓰면 고갈되고, 육신은 크게 쓰면 무너진다.
육신과 정신이 분리되면 죽는다. 죽은 자는 다시 살아날 수 없고
분리된 것은 다시 돌이킬 수 없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것을 중히 여긴다.
이로써 보건대, 정신은 생명의 근본이고 육신은 생명의 도구이다.
먼저 그 정신[육신]을 정하지 않고서 「내가 천하를 다스릴 것이다.」
라고 말한다면 무엇을 말미암을 것인가?

사마천은 전한 시대 사람인데 어떻게 정신과 육체를 이처럼 간단명료하게 정리했을까요?
과연 춘추시대를 지나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제자백가 시대인 전국시대를 거친지라
인생에 대한 지혜가 많이 축적되었나 봅니다. 사마천은 눈에 보이는 것만을 믿는 현실론자
였던가 봅니다.

그렇습니다. 부활은 서력 기원후,1,300년에 걸쳐​ 완성한 신화입니다.

슬픈 일이지만 육신은 사후에 끝내 소멸합니다. 육신은 물질이기 때문이지요.

우리의 혼령은 영원하다고 하더라도 몸붙일 육신이 있어야지요.​

그래서 아무리 인간이 무한을 꿈꾸며 조작하려 해도 인간의 생명은 유한한 존재일 따름입니다.​

개체의 생명체로 태어나지 않았으면 그것이 영원할지도 모르는 일이지만.​

[주]
사마천 (BC145~BC86)
BC 108년 태사령 임명
BC 104년 태초력(太初曆)의 제정에 참여
BC 99년 이릉의 패전을 합리화하는 발언하다가 궁형(宮刑) 당함.
BC 95년 중서령(中書令) 임명
BC 90년 사기(史記) 완성. 부명(父命)에 따른 수성(守成)의 업적임.

[해설] 종묘 정

https://www.youtube.com/watch?v=FGHKvB-mUlk

https://www.youtube.com/watch?v=NXIEuDYCkFc

 

종묘 정전의 동영상 몇 꼭지 올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Rn0qBR5x4o

https://www.youtube.com/watch?v=lnKEMpoLdiw

https://www.youtube.com/watch?v=dQ15Y-C7LSk

 

[참고]

종묘는 일제가 창경궁에서 분리하고 도로를 개설함. 그 도로가 지금의 율곡로.

https://www.youtube.com/watch?v=zLWaWbFxev0&t=318s

시각바 3:45 종묘와 창경궁 분리.

1909년 동식물원 개장. 창경궁 후원 춘당지 뒤의 식물원은 현존함.

1924년4월 창경궁 밤벚꽃놀이 시작.

1983년 동물원 이전, 벚꽃나무 이식 계획에 따라 동물원은 서울대공원으로,

꽃나무는 여의도 윤중로와 서울 대공원으로 이식함.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덕분.

<뉴스>

일본, 방탄소년단(BTS) 때리기가 오히려 '일본 전범국' 세계에 알렸다

https://www.youtube.com/watch?v=qaNA1pKLKzY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허준' & 타고르 - <동방의 등불>  (0) 2018.11.17
종묘 영녕전  (0) 2018.11.11
워매, 감 봐라 !/ 종묘 1  (0) 2018.11.10
월남 이상재 선생  (0) 2018.11.09
창덕궁 비원의 단풍  (0) 2018.10.27

 

이것이 뭐시다냐? 종묘 방문을 축하하는 꽃다발인가?

종묘 정원의 단풍에 정신이 팔려 있던 운영자는 미모의 자상한 해설자 '나하나'양과 떨어져 감다발에 정신을 잃었다. 덤으로, 요즈음 여자아이들 왜 이리 이름을 이쁘게 짓나? 唯一神인가?

종묘 정실의 입구에는 난생 처음 보는 감다발이 관광객들을 반겼다.

시골에서의 유년시절, 우리집에도 하늘을 찌르는 감나무가 다섯 그루나 있어 씨름꾼 주먹보다 큰 삐죽감, 넙적감들이 많이도 달려 있어 또래들의 부러움을 샀지만. 바닷가 조갑지들보다 더 많은 감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감다발은 처음었다. 건물들이야 언제 보아도 그대로지만 낙엽과 감다발은 제철을 놓지면 일 년을 기다려야 하는 것들이기에 더욱 부지런히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더구나 감 같은 과일은 해갈이를 하는 경우가 많아 2년을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

정문 앞 연못을 지나 첫 번쩨 만난 감다발에도 놀랐는데 이정도라면 기절초풍할 일이었다. 이 감은 하단에 탑재하였다.

감다발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ekFk-0eCbk

 

눈운동하는 그림을 보았으니 심심풀이로 해골운동도 좀 하지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24154&cid=42583&categoryId=42583

육자배기 / 자진육자배기

전라도민요. 농부들이나 밭매는 아낙네들이 소박하게 부르던 노래였으나 전문소리꾼들이 다듬어서 오늘날과 같이 부르게 되었다.
분류 민속악 > 성악 > 민요 > 통속민요 > 남도민요
장단 육자배기:진양조장단, 자진육자배기:세마치장단
관련악곡 삼산은 반락, 개고리타령, 흥타령

대표적인 전라도 민요이다. 전라도 소리조를 흔히 ‘육자배기토리’라고 한다. 그만큼 육자배기는 전라도 민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노래이고 전라도 음악의 기본이 되는 민요이다. 전라도 무가()나 전라도의 민속합주인 시나위 합주도 다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육자배기’는 농부들이나 밭매는 아낙네들이 소박하게 부르던 노래였으나 전문소리꾼들이 가락과 가사를 다듬어서 오늘날과 같이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전문소리꾼이 부를 때는 육자배기 한 곡만 부르지 않고 육자배기 · 자진육자배기 · 삼산은 반락 · 개고리타령 · 흥타령을 연속해서 불렀다고 한다.

지금도 명창들이 남도민요를 부를 때에는 이와 같이 짜서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육자배기의 음악적 특징은 전형적인 남도 계면조로 되어 있고 박자도 느린 6박자의 진양조장단으로 되어 있다. 매 절 끝에서 “거나 헤-”를 제창으로 불러 끝맺는 점도 특징적이다. 자진육자배기는 육자배기와 짝을 이루는 곡으로 음악적 특징은 육자배기와 같으나 세마치장단으로 보다 흥겹게 부르는 점이 다르다.

노랫말은 아래와 같다.

-육자배기-

① 사람이 살면은 몇 백년이나 살더란 말이냐
죽음에 들어서 남녀노소 있느냐
살아 생전 시에 각기 맘대로 놀(거나 헤- )

② 연당의 밝은 달 아래 채련()하는 아이들아
십리장강 배를 띄우고 물결이 곱다고 자랑 마라
그 물에 잠든 용이 깨고 나면 풍파일까 염려로(구나 헤- )

③ 새벽 서리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럭아
너 가는 길편에 내 한 말 들어다가
한양성중 들어가서 그리던 벗님께 전하여 주려(무나 헤- )

④ 백초를 다 심어도 대는 아니 심으리라
살대 가고 젓대 우니 그리나니 붓대로다
어이타 가고 울고 그리난 그 대를 심어 무삼할(거나 헤- )

⑤ 꿈아 꿈아 무정한 꿈아 오시는 님을 보내는 꿈아
오시는 님은 보내지를 말고 잠든 나를 깨워나 주지
이후에 유정님 오시거든 님 붙들고 날 깨워줄(거나 헤- )

⑥ 내 정은 청산이요 님의 정은 녹수로다
녹수야 흐르건만 청산이야 변할소냐
아마도 녹수가 청산을 못 잊어 휘휘 감돌아 들(거나 헤-)
(후략)

-자진육자배기-

① 나는 그대를 생각을 하기를 하루도 열두 번이나 생각허는디
그대는 날 생각허는 줄 알 수 없(구나 헤)

② 밤 적적 삼경인데 궂은 비 오동에 흩날렸네
적막한 빈 방안에 앉으나 누우나 두루 생각하다가 생각이 겨워 수심이로구나.
수심이 진하여 심중에 붙는 불은 올 같은 억수장마라도 막무가내로(구나 헤 ).

③ 세상사를 다 믿어도 못 믿을 건 님이로다
이내 정을 옮겨다가 다른 님께 고이느냐
아마도 생각하는 것이 내가 오해로(구나 헤 )

④ 꽃과 같이 고운 님을 열매 같이 맺어 두고
가지 같이 많은 정에 뿌리 같이 깊었건만
언제나 그립고 못 보는 게 무슨 사정이로(구나 헤 )

[네이버 지식백과] 육자배기 / 자진육자배기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위 파란 글씨를 클릭하면 우측 화면에 나오는 동영상을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종묘 연못에는 향나무를 심는 게 특징이란다.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 영녕전  (0) 2018.11.11
종묘 정전  (0) 2018.11.11
월남 이상재 선생  (0) 2018.11.09
창덕궁 비원의 단풍  (0) 2018.10.27
인류문명탐험  (0) 2018.10.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