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繫頸住持[村談]207/4․4

계경주지(繫頸住持)

-주지의 목을 묶다

 

견훤의 옛 도읍지 김제 금산사(金山寺)에 

적을 둔 여종으로 연화(烟花)라고 하는 자가 있었는데

그녀는 아주 음탕하고 간교하여 여러 차례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주지 혜능이 이에 분개했다.

『우리들이 계율을 엄격히 지킨다면 어찌 한 여자에게 농락당하겠는가?』

곧 여러 중들을 경계하여 타이르며 인화를 쫓아 버리고는

다만 남승으로 하여금 음식을 공양하고 의복을 빨래하여

도량을 맑고 정숙하게 했다.

 

어느 날 혜능이 절 문을 나서 마침 인화의 집앞을 지나쳤다.

연화가 울타리 틈으로 그를 엿보고는, 

『이 중놈의 밤사냥은 쉬울 뿐이다.』

 

뭇 중들은 그녀의 말을 듣고나서 말했다.

『네가 만일 이 스승님을 농락할 수 있다면

이 절의 전토(全土)를 모두 너에게 주겠다.』

연화가 말했다.

『그렇게 하겠다. 

내일 내가 마땅히 주지의 목을 절 앞 커다란 나무 아래 매어달 것이니,

그대들은 미리 와서 기다려라.』

드디어 변발과 남장을 하고 <효경(孝經))>을 옆에 끼고 혜능을 찾았다.

혜능은 그의 얼굴이 예쁜 것을 보고서 물었다.

『넌 뉘 집 아들이냐?』

 

연화가 대답했다.

『저는 아무 곳에 살고 있는 선비의 아들이온대,

전임 주지께 글을 배웠으나 폐학(廢學)한 지 이미 오래 되었으므로

감히 와서 뵙습니다.』

혜능이 기뻐했다.

“가르칠 만하구나.”

 

인하여 절에 유숙시켰다.

연화는 밤에 거짓으로 참어(讒語)를 짓기에 혜능이 그 김새를 채고

안으로 불러들이고 보니, 곧 완연히 아리따운 한 여인이었다.

혜능이 놀랐다.

『이게 어찌된 일이냐?』

 

그제야 연화는, 『나는 곧 연화입니다.

사내와 계집 사이의 커다란 정욕은 곧 천지간 생물의 마음이니

옛날 아난(阿難)은 마등가녀(摩登迦女)란 음녀에게 미혹되었고,

나한(羅漢)은 운간(雲間)에 떨어졌거늘,

하물며 스님은 그 두 분에게 미치지 못하겠습니까?』

 

혜능은 그 말을 듣고 말했다.

『원통하구나, 원통하구나. 이제 나의 법계로 이룩된 몸을 헐게 되었구나.』

마침내 그녀와 정교를 통하게 되자 연화는 거짓으로 배가 아픈 척하며

울부짖는 소리가 문 밖으로 나니, 혜능은 남들이 알까 두려워하여

다만 제입으로 연화의 입에다 맞추어 탄성을 방호했다.

연화는, 『이제는 병이 급하니,

밤이 어둡거든 나를 업어서 절 문 밖 큰나무 밑에다 버려둔다면

날이 밝으면 기어서 집으로 돌아가겠습니다.』

하고 애원하는 것이었다.

 

혜능은 그녀의 말과 같이 하여 연화를 등에다 업고

연화로 하여금 두 손을 뽑아서 그의 목덜미를 껴안게 하고 방장을 나오니,

연화는 짐짓 두 손을 풀어 늦추어서 땅에 떨어뜨리고는 아픔을 호소하며 말했다.

『배는 부르고 등은 높아서 손으로 잡기가 진실로 어려우니

허리띠를 풀어서 스님 목 앞에다 두르고 두 손으로 안정되게 잡는다면

거의 떨어지지 않을 듯합니다.』

 

혜능이 그녀의 말하는 대로 하고 나무 아래 이르니,

여러 중들은 이미 앉아서 기다리고 있었다.

혜능이 당황하는 즈음에 연화가 벌떡 일어나서

혜능의 목을 졸라매어 이끌고는 뭇 중들 앞에 이르러,

『이것이 주지의 목을 매어단 것이 아니오?』

여러 중들은 이를 보고서 크게 놀라서

그들의 모둔 전토를 연화에게 넘겨주었다.

 

태사공은 논평한다.

“안으로는 욕정이 많으면서도 밖으로는 인의를 베푸는 자 치고

종국에 이르러서는 탄로나지 않음이 드물다.

혜능이 계율을 지키고 자신을 검속하여

상색(相色:육안으로 볼 수 있는 만물의 형상)을 초월하여

불조(佛祖)의 반열에 올랐으나,

마침내 연화의 교묘한 술책에 걸려들어

불심의 자리를 치우고 정욕의 물결에 빠지고 말아

자신을 붙들지 못하였으니, 이는 세상의 명예를 구하고

절개를 칭탁하는 부류가 마침내 관리사회의 미망의 세계에 빠져

침몰하고 만 자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진실로 가소롭도다.”

 

 

 

https://www.youtube.com/watch?v=TJmbfvYpmGk 

 

菁父毒果3[村談]206/3․3

청부독과(菁父毒果)

-무우청 애비와 독이 든 과실

 

충주 야산에 있는 산사의 주지승이 탐욕스럽고 인색함이 비할 데 없었다.

한 사미(沙彌)를 길렀으나 남은 음식도 주지 않았다.

 

그 중은 항상 깊은 산집에 시계가 없어 시간을 알기 어렵다며

닭 몇 마리를 알을 취하여 달걀을 삶아 놓고는

사미승이 깊이 잠들기를 기다렸다가 혼자서 먹었다.

사미는 짐짓 모르는 듯이 물었다.

『스님께서 먹는 것이 무슨 물건입니까?』

주지가 대답했다.

『무우 뿌리다.』

 

어느 날 주지가 잠을 깨어 사미를 불러 물었다.

『밤이 몇 시쯤 되었냐?』

때마침 새벽 닭이 홰를 치면서 ‘꼬끼오’ 하고 울었다.

 

사미는 하품을 하고 기지개를 켜며 대답했다.

『이 밤이 벌써 깊어서 무우 아버지가 이미 울었습니다.』

또 동산에 감이 무르익었는데

주지는 감을 따서 광주리 속에 간직하여 대들보 위에 숨겨 두고

매양 목이 마르면 홍시 핥아 먹었다.

사미는 그게 무슨 물건이냐고 물었다.

주지는 설명했다.

『이건 독한 과실인데, 아이들이 먹으면 혀가 타서 죽는다.』

 

어느 날, 일이 있어서 밖을 나갈 제 사미로 하여금 방을 지키게 하였다.

사미는 댓가지로 들보 위의 감 광주리를 낚아 내려서 마음대로 먹고는

차를 가는 맷돌인 차년(茶碾)으로 꿀단지를 두들겨 부순 뒤에

나무 위에 올라앉아서 주지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주지가 급기야 돌아와 보니,

꿀물이 방에 가득 차고 감 광주리는 땅 위에 떨어져 있었다.

주지는 크게 노하여 막대를 메고 나무 밑에 이르러 말했다.

『빨리 내려와라, 빨리 내려와라.』

 

사미는,

『소자 불민하여 마침 차년을 옮기다가

잘못하여 꿀단지를 깨뜨리고는 황공하여

죽기를 결심하여 목을 달려니 노끈이 없고, 

목을 찌르려니 칼이 없으므로

한 광주리의 독과를 다 먹었으나,

모진 이 목숨이 끊어지지 않기에

이 나무 위로 올라와 죽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주지는 웃으면서 그 사미승을 놓아 주었다.

 

태사공은 논평한다.

“어린 사람을 은혜로 어루만지면

어린 사람은 반드시 그의 어짊을 생각하고

어린 사람을 정성으로 대접하면

어린 사람은 반드시 그의 신의에 감복하게 된다.

늙은 중이 어짊과 신의를 모두 잃어 버렸으니,

사미승에게 사기를 당하는 것도 당연하다.”

 

 

2.痴奴護妾[村談]205/2․2

 https://kydong77.tistory.com/14750

https://kydong77.tistory.com/14750


치노호첩(癡奴護妾)

-어리석은 종이 첩을 호송하다.

 

어느 선비가 예쁜 첩을 하나 두었는데,

하루는 첩이 친정에 근친가기를 청했다.

선비는 남녀간의 음사(淫事)를 알지 못하는 자를 얻어

첩을 호행하고자 하여

여러 종들을 불러 모았다.

『너희들은 옥문(玉門)이 어디에 있는지 아느냐?』

모두 미소를 지으며 대답치 않았다.

한 어리석은 종놈이 있어,

그는 겉으론 순박한 체하나 속으로 엉큼하여 갑자기 대답했다.

『바로 두 눈썹 사이에 있습지요.』

선비는 그의 무지함을 기뻐하여 곧 첩을 호행하게 했다.

 

첩과 종이 집을 떠나 한 냇가에 이르러

첩은 종으로 하여금 말안장을 풀고 잠깐 쉬게 했다.

어리석은 종은 벌거벗고 개울 속에서 미역을 감거늘,

첩은 종의 양물이 건장함을 보고 희롱했다.

『네 두 다리 사이의 고기 몽둥이는 무슨 물건이냐?』

종놈이 말했다.

『태어날 때 혹부리 같은 살이 점점 뾰죽해지더니

오늘날 이만큼 커졌습니다.』

첩이 말했다.

『나도 또 날 때부터 양다리 사이에

오목함이 점점 커져서 지금은 깊은 구멍이 되었다.

너의 그 뾰죽이와 나의 오목이가 서로 문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드디어 그와 더불어 간통했다.

 

선비는 어리석은 종에게 호송시킨 뒤에도

오히려 의심이 없지 않아 몰래 뒤따라오다가

산꼭대기에 올라 그들이 하는 짓을 보니,

그 첩이 종과 함께 숲속에 가리어

운우(雲雨)가 바야흐로 무르익을 새,

선비는 분기가 탱천하여 크게 고함치며 산을 내려오며 말했다.

『방금 무슨 짓을 했느냐?』

종은 속일 수 없게 되자

주머니 속을 더듬어 송곳과 노끈을 꺼내어

몸을 굽혔다 폈다 하며 무엇인가 깁는 시늉을 했다.

선비가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종이 울면서 고했다.

『낭자께서 저 끊어진 다리를 건너지 못하시는 고로

소인이 온몸을 받들어 살펴보니 한 곳도 상처가 없었습니다.

오직 배꼽 아래 몇 치쯤에 세로로 한 치가 찢어져 있었는데

그 깊이를 가히 측량할 수 없는지라.

혹시 풍독(風毒)이라도 입으실까 두려워

곧 깁고 꿰매고자 하였습니다.』

 

선비가 기뻐하며 말했다.

『진실한지고, 너의 어리석음이여!

천생의 세로 구멍을 삼가하여 번거롭게 하지 말라.』

 

태사공은 논평한다.

“사람을 아는 것이 가장 어려워

‘아주 간사한 사람은 충신 같고,

큰 사기꾼은 신의가 있는 듯하다.‘고 하더니,

바로 이 종을 두고 이르는 것이로다.

진실로, 선비가 법도로써 가정을 바르게 하고

일찍부터 간사한 사람을 분변하였다면

어리석은 종이 가정을 더럽히고 어지럽게 하는 길이

틀림없이 열리지 않았을 것이다.

집안에서 어른으로 아랫사람을 부리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면

경계할 것이 무엇인지를 어찌 알지 못할 리 있겠는가?”

 

 

운영자의 다른 블로그인 아래 주소창에 고금소총의 설화 작품을 탑재하기로 했다.

인터넷에서 사라져가는 한국설화문학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임을 전제로 한다.그 선행작업으로 사기의 골계열전과 태평한화골계전 서문을 탑재한 바 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성원을 바란다.

http://kydong47.blog.me/40200611108

생활상식>고금소총

 

油印本/번역본․골계잡록

 

작품 목록

牧丹奪財1[村談]203/1․1

痴奴護妾2[村談]205/2․2

菁父毒果3[村談]206/3․3

繫頸住持4[村談]207/4․4

鼠入其穴5[村談]209․5

稱医取膿6[村談]210․6

鼻勝於陽7[村談]211․7

陽物有垢8[村談]212

神僧藁俵9[村談]213

鬼棒變怪10[村談]214

  

모란탈재(牧丹奪財)

-기생 모란이 재산을 빼앗다.

 

평양에 기생 모란이 있었다.

재주와 아름다움으로 뽑혀 서울의 기적에 올랐다.

시골의 생원 이서방이란 사람이 나라의 지인(知人)이 되어 취임할 새,

처가집에서 그의 노자와 옷을 화려하게 차려주어,

서울의 객사에 와서 머물렀다.

마침 기생 사는 집과 서로 가깝거늘,

기생이 그의 가진 물건이 많은 것을 보고,

이를 낚기 위하여 이서방 있는 곳에 와서 거짓으로 놀라며 말했다.

『높으신 어른께서 와 계신 줄을 몰랐습니다.』

그녀가 곧 돌아가거늘,

이서방이 몰래 그녀를 사모하게 되었다.

 

어느 날 저녁, 기생은 이서방이 홀로 있는 것을 엿보고

술과 안주를 차려 와서 이생을 위로했다.

『꽃다운 나이에 나그네 생활에 적막하지 않으신지요?

첩의 지아비가 멀리 전장에 나가 여러 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속담에 이르기를, ‘과부가 마땅히 홀아비의 마음을 안다.’고 하였으니,

별로 이상하게 생각지 마십시오.』

교태 어린 말로 유혹하자 드디어 간통했다.

이서방이 가진 물건을 다 기생의 집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기생이 매일 아침에 식모를 불러 귀에다 대고 말했다.

『올리는 반찬을 풍성하게 하라.』

이서방이 아름다운 여인을 만났음에 기버하여,

갖고 있는 자물쇠 꾸러미를 다 기생에게 맡겼다.

 

하루는 기생이 문들 시무룩해서 즐기지 않았다.

이서방이 그녀를 위로했다.

『정분이 점점 식어가느냐? 의식이 모자라느냐?』

『어느 관리는 아무 기생을 사랑하여 금비녀와 비단 옷을 해 주었다 하니,

그 사람이야말로 참말로 기생서방의 자격이 있다 하겠소이다.』

『이는 과히 어렵지 않은 일이니 너의 하고자는 바를 좇으리라.』

하고 패물을 사주었다.

『이렇게 함께 사는 처지에 무엇을 그리 함부로 낭비하시오.』

『재물은 나의 재물이니 무슨 관계fi?』

하며 이서방이 노여워하며 말하는데,

또한 장삿군이 값진 비단을 팔러 왔으며,

이서방이 그 나머지 재물을 가지고 사려고 한즉,

기생이 일부러 제지하여 가로되,

『곱기는 곱지만 입는 데 완급이 있으니, 어쩌리요.』

이서방이 꾸짖었다.

『내가 있으니 걱정이 없느니라.』

 

기생이 일보는 계집으로 더불어 비단을 가지고 밤을 타서 도망했다.

이서방은 등불을 켜고 홀로 앉아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녀는 새벽에 이르러 해가 높이 떠오르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조반을 짖고자 궤짝을 연즉, 한 푼의 돈도 남겨 두지 않았다.

이에 이서방이 분김에 스스로 죽고자 해 봤으나

이웃 노파가 와서 말했다.

『이는 기생집의 보통 있는 일이니, 그대는 그것을 실로 모르느뇨?

매일 아침에 부엌데기에게 한 은밀한 얘기는 가만히 재물을 뺏고자 함이었고

다른 사람을 칭찬한 것은 낭군으로 하여금 격분케 해서 효과를 보고자 함이었고, 그 나중에 비단을 와서 팔게 한 것은,

밀통했던 간부로 더불어 나머지 재물을 뺏고자 함이오.』

이서방이 심히 분했다.

『만약 그 요귀를 만나기만 하면

한 몽둥이로 때려죽이어 꺼꾸러뜨린 다음

옷과 버선을 벗기리라.』

드디어 교방(敎坊) 길가를 엿보던 중

기생이 그 동무 수십 명을 이끌고 떠들면서 지나갔다.

 

이서방이 막대기를 가지고 앞으로 뛰어나가며 말했다.

『요귀 요귀여,

네가 비록 창녀이긴 하나, 어찌 차마 이와 같은고?

나의 금비녀와 비단 등속을 돌려보내라!』

한즉 기생이 박장대소하여 말했다.

『여러 기생들은 와서 이 어리석은 놈을 보라.

어떤 시러배아들놈들이 기생에게 준 물건을 돌려달란 놈이 있더냐.』

여러 기생들이 앞을 다투어 그 모양을 보고자 하니

이서방이 얼굴이 붉어지고 부끄러워 군중 가운데 숨어 피해 달아났다.

이서방이 의지할 데 없이 길가에서 구걸을 하며 얻어먹더니,

비로소 처가에 이른즉, 장모가 노하여 문을 닫고 내쫓았다.

이서방이 스스로 살 수 없어 드디어 동네에서 걸식하거늘

사람들이 손가락질하며 비웃지 않은 자가 없었다.

 

태사공은 논평한다

“심하도다, 미색이 사람을 미옥함이여!

요염한 자태와 아첨하는 말로써

처음에는 아양을 부리고

호리려고 본심을 드러내지 않으며

절약하는 체하더니.

중간에는 기묘한 꾀와 속이는 계책을 써서

사랑을 굳게 하였고,

끝에는 재산을 탈취하려고

이생으로 하여금 믿고 의심하지 않게 하다가

마침내 패망하도록 하였도다.

 

아! 일찍 분별하여 거절하고 멀리하지 못한다면,

남이 파놓은 함정에 빠져들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고?

어찌 삼가지 않겠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