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신화 모음
단군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dan-gun-sin-hwa.htm
단군 신화(檀君神話)
단군 신화(檀君神話) 고기(古記)에 이렇게 전한다. 옛날에 환인(桓因) ― 제석(帝釋)을 이름 ―의 서자(庶子)인 환웅(桓雄)이 계시어,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고 인간 세상(人間世上)을 탐내
www.seelotus.com
단군신화 해설
http://kydong77.tistory.com/8033
단군신화 해설
壇君神話 해설 [은자주] 1 단군(壇君)>단군(檀君) 오늘날은 단군을 ‘檀君’으로 표기하나 삼국유사에는 ‘壇君’으로 표기하였다. 유사에는 제단을 주재하던 사제(司祭)의 기능을 중시하였던
kydong77.tistory.com
壇君王神님, 이 땅에 탄생하셨네 전체공개
http://kydong77.tistory.com/8032
壇君神王님, 이 땅에 탄생하셨네
◇古朝鮮(王儉朝鮮) -삼국유사 권1, 紀異제1 *'王儉'은 王神, 곧 神王의 뜻임. 魏書云 魏書(북제의 위수가 쓴 북위의 정사)에 이르기를, 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 지금으로부터 2천여년 전에 단군왕
kydong77.tistory.com
동명왕 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dong-myeong-wang.htm
동명성왕, 주몽 신화
동명왕 신화(東明王神話) (주몽 신화) 고구려(高句麗)는 곧 졸본 부여(卒本扶餘)다. 혹 지금의 화주(和州)니 성주(成州)니 하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遼東)의 경계에 있다. 국
www.seelotus.com
주몽신화의 세 유형
http://kydong77.tistory.com/8042
주몽신화 해설
주몽신화 해설 [은자주]순서상 사서의 ‘논어’를 실을 차례이나 그 말씀들은 공자님의 직관에 의한 단순한 진술이 많아 고도의 사색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찬 바람이 일기를 기다리기로 하고,
kydong77.tistory.com
동명왕본기[삼국사기]
http://kydong77.tistory.com/8041
동명왕본기 -삼국사기
東明王本紀 -삼국사기 始祖東明聖王 姓高氏 시조 동명성왕의 성은 고씨이고, 諱朱蒙(一云 鄒牟 一云 象解[象解 恐當作衆牟]) 이름은 주몽[추모 혹은 중해라고도 한다.]이다. 부여왕 해부루가 산
kydong77.tistory.com
영품리왕[탁리국왕]의 시비의 아들이 부여왕이 되다
http://kydong77.tistory.com/8040
영품리왕[탁리국왕]의 시비의 아들이 부여왕이 되다
[은자주] 역사에는 기술주체가 있다. 외국인의 기록이고 보면 그 신성성은 반감된다. 오죽하면 남의 나라 왕을 시비의 아들로 설정하겠는가? 이제 와서는동북공정정책에 따라 고구려는 지금의 5
kydong77.tistory.com
동명왕편서
http://kydong77.tistory.com/8039
동명왕편서
東明王篇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종22-고종48) http://blog.naver.com/bgjeong45/220360733122 동명왕편 서 http://hwalove.tistory.com/entry/%E6%9D%B1%E6%98%8E%E7%8E%8B%E7%AF%87%E5%B9%B7%E5%BA%8F%EB%..
kydong77.tistory.com
장편 영웅서사시 <東明王篇>: 五言古律 141韻 282句.
舊三國史의 東明王本紀 기록이 分注 31條에 나타남.
내용은 解慕潄, 東明王[출생,시련,투쟁,승리], 類利 三代에 걸친 행적.
김부식의 신라정통론에 반발한 북방중심의식의 고구려정통론의 역사인식. 계축년(1193) 26세 작.
*cf.李承休(1224-1300) 『帝王韻紀』
상권 中國歷代帝王 七言
하권 韓國歷代帝王
其一 ‘東國君王開國年代’ 七言
其二 ‘本朝君王世系年代‘ 五言
기쁘다, 해모수 오셨네 -동명왕편1
http://kydong77.tistory.com/8038
기쁘다, 해모수 오셨네 -동명왕편1
기쁘다, 해모수 오셨네 東明王篇1 -이규보 五言古律 282句 1,410言, 舊三國史의 東明王本紀를 分注 31條에 남김.) ◊천지가 열리고 삼황오제, 삼대의 성인들 오시다 元氣判混渾 혼돈의 원기 갈라져
kydong77.tistory.com
해모수, 하백의 딸 유화와 성혼 후 유기하다 -동명왕편2
http://kydong77.tistory.com/8037
해모수, 하백의 딸 유화와 성혼 후 유기하다 -동명왕편2
동명왕편2 2.해모수, 하백의 딸 유화와 성혼 후유기(遺棄)하다 1)해모수, 하백의 딸 유화를 사통(私通)하다 49-50句.◇注4. 城北有靑河 城北에 靑河 있어 河伯三女美 河伯 세 딸 예쁘더라. ◇注4. 靑
kydong77.tistory.com
주몽의 탄생과 고구려 건국 -동명왕편3
http://kydong77.tistory.com/8036
주몽의 탄생과 고구려 건국 -동명왕편3
동명왕편3 3. 주몽의 탄생과 고구려 건국 1]주몽의 탄생 우발수에서 얻은 유화왕비 새알을 낳다 -알을 깨고 주몽이 출현하다 1)어부가 우발수에서 유화를 건져오다 116-123句.◇注14. 漁師觀波中 어
kydong77.tistory.com
비류왕이 왕위를 다투어 그 도읍을 수몰시키고 -동명왕편4
http://kydong77.tistory.com/8035
비류왕이 왕위를 다투어 그 도읍을 수몰시키고 -동명왕편4
4.비류왕이 왕위를 다투어 그 도읍을 수몰시키고, 재위19년에 승천하시다 203-210句.◇注25. 咄哉沸流王 한심하다 비류왕은 何奈不自揆 어찌하여 분수 잊고 苦矜仙人後 괴로이 선인의 후예 인정하
kydong77.tistory.com
유리왕자가 아비 찾아 태자가 되다 -동명왕편5
https://kydong77.tistory.com/8034
유리왕자가 아비 찾아 태자가 되다 -동명왕편5
동명왕편5 5.유리왕자가 아비 찾아 태자가 되다 [주] 중심축이 동명왕신화임은 부인하지 않지만 해모수나 동명왕의 거창하고 현란한 등장에 비해 유리왕자의 내용을 4구에 그치고 구삼국사의 내
kydong77.tistory.com
[각술1]
하백이 말하기를
王是天帝之子. 有何神異.
「왕이 진실로 천제의 아들이라면 무슨 神異한 것을 가졌느냐?」
王曰. 唯在所試.
왕이 대답하기를 「한번 시험해 봅시다.」라고 하였다.
於是. 河伯於庭前水.
이에 하백이 뜰 앞 물에서 몸을 변하여
化爲鯉. 隨浪而遊.
잉어가 되어 물결을 타고 노니니
王化爲獺而捕之.
왕은 수달이 되어 그를 잡았다.
河伯又化爲鹿而走.
하백이 또 사슴이 되어 뛰어가니
王化爲豺逐之.
왕은 늑대가 되어 그를 좇았다.
河伯化爲雉. 王化爲鷹擊之.
하백이 꿩이 되니 왕은 매가 되어 그를 쳤다.
河伯以爲誠是天帝之子. 以禮成婚.
하백은 그가 진실로 천제의 아들임을 알고 예로써 혼례를 치렀다.
[각술2]
송양은 왕이 여러 번 천손(天孫)이라고 일컫자 속으로 의심을 품고 그 재주를 시험코자 하여 말하되 "왕으로 더불어 활쏘기를 하자."고 하였다.
사슴을 그려서 백보 안에 놓고 쏘았는데 그 화살이 사슴의 배꼽에 들어가지 못했는데도 힘에 겨워하였다.
왕은 사람을 시켜서 옥지환(玉指環)을 백보 밖에 걸고 이를 쏘니 기와 깨지듯 부서졌다. 송양이 크게 놀랐다.
박혁거세왕 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bak-hyeok.htm
박혁거세 신화
박혁거세 신화 - 신라 시조 혁거세왕 원문 일부 다운 전한(前漢) 지절(地節) 원년(元年) 임자(壬子) 3월 초하루에 육부의 조상들이 각각 젊은이들을 거느리고 알천 언덕 위에 모여서 의논하기를,
www.seelotus.com
아기왕이 한 번 일어나리라
http://kydong77.tistory.com/8002
아기왕이 한 번 일어나리라
아기왕이 한 번 일어나리라 -신라시조 혁거세왕 新羅始祖 赫居世王, 삼국유사 권1 前漢地節元年壬子(古本云建虎元年, 又云建元三年等, 皆誤)三月朔, 民皆放逸 自從所欲 백성들이 방 전한 지절
kydong77.tistory.com
오릉
http://kydong77.tistory.com/7010
오릉 & 대릉원 외관
kydong77.tistory.com
http://blog.paran.com/kydong/32179446
http://blog.paran.com/kydong/32179829
알영정
http://kydong77.tistory.com/search/오릉?page=5
육부촌장 신화
http://kydong77.tistory.com/search/육부촌장%20신화?page=2
표암-이알평공 탄강지
http://kydong77.tistory.com/6691
표암-이알평공 탄강지
[은자주]경주시청에서 백률사쪽으로 가다가 산업도로를 건너 백률사로 오르지 말고 탈해왕릉 방향으로 가다 보면 금강산 기슭에 어른 두 길은 된 비석과 사당 건물이 나온다. 산기슭의 바위 위
kydong77.tistory.com
석탈해왕 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seok-tal-hae.htm
석탈해신화(昔脫解神話)
석탈해신화(昔脫解神話) 가락국 바다 가운데 어떤 배가 와서 닿았다. 그 나라의 수로왕이 신민들과 함께 북을 치고 맞아 들여 머물게 하려 하니, 배가 곧 달아나 계림 동쪽 하서지촌(下西知村)
www.seelotus.com
탈해왕릉
http://blog.paran.com/kydong/27313555
http://blog.paran.com/kydong/31999145
마린보이 탈해왕 신화
http://kydong77.tistory.com/6692
탈해왕릉
[은자주]마린보이 석탈해, 토함산에서 초사흘달 모양의 땅을 보고 박씨에게서 그 집터를 빼앗은 걸 보면, 그는 적십자 대신 신월성 마크를 쓰는, 파키스탄 등지의 인도 남부 출신으로 보인다.[은
kydong77.tistory.com
김알지 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kim-al-ji.htm
금빛 아기 일어나시다
http://kydong77.tistory.com/search/금빛%20아기%20일어나시다?page=2
계림
http://blog.paran.com/kydong/31290277
김수로왕 신화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kim-su-lo.htm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http://kydong77.tistory.com/799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 김해 망월석탑 보주태후허씨릉 가락국기 駕洛國記 [은자주]가락국은 나라 이름부터 문화 전체가 한반도의 것이 아닌 해양문화다. 수로왕은 이름뿐이고 허황후의 나라라고 해도 지나친 말
kydong77.tistory.com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남선, 삼국유사 해제 (0) | 2010.03.08 |
---|---|
일연(一然), 삼국유사 9편(編), 138조(條)로 구성/설화 포스트 모음 (0) | 2010.03.08 |
한국의 설화문학 포스트 모음 02 (0) | 2009.09.14 |
한국의 설화문학 포스트 모음 01 (0) | 2009.09.14 |
원효와 설총 부자 (1) | 200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