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25수 정리를 재수록한다.

http://kydong77.tistory.com/10200

[참고]

이 블로그의 오른쪽 메뉴 <카테고리> 아래 <분류전체보기> 앞의 [T]자를 클릭하시면 세부 분류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제목을 클릭하거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꼬지의 글을 볼 수 있습니다. 포터 이동으로 글씨가 흐리니 전체를 복사하여 한글 빈 페이지에 붙이면 읽기에 편리합니다.

고전문학 (336)N

 

향가 外 (43)
고려가요 (22)
고소설 (75) N
민요 가사 (23)
설화 (41)

2008/08/19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

 

 

 

2008/08/21 도솔가 -월명사

 

 

 

2008/08/22 온달

 

 

 

2008/08/23 혜성가 -융천사

 

 

 

2008/08/27 도천수관음가 -희명

 

 

 

2008/08/28 금빛 아기 일어나시다

 

 

5

2008/08/29 보현행원품 도입부

 

 

 

2008/09/01 3.광수공양가

 

 

 

2008/09/03 7.청불주세가

 

 

 

2008/09/03 11.총결무진가

 

 

 

2009/09/15 보현십원가 11수 모음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0200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균여전소재 11首]

普賢十願歌(均如大師)

◇普賢菩薩十種願王歌(原題)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7997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보현십원가 11수 모음

 

p.48. 고려시대의 향가

2)普賢十願歌[普賢十種願王歌]

1. 예경제불가  (0)

2.칭찬여래가  (0) 2008.08.30

3.광수공양가  (0) 2008.09.01

4.참회업장가  (0)

5.수희공덕가  (0) 2008.09.01

 

5.수희공덕가

5.수희공덕가 隨喜功德歌 (남의 공덕을 함께 기뻐하는 노래)迷悟同體叱緣起叱理良尋只見根佛伊衆生毛叱所只吾衣身不喩仁人音有叱下呂修叱賜乙隱頓部叱吾衣修叱孫丁得賜伊馬落人米無叱昆於

kydong77.tistory.com

 

6.청전법륜가  (0) 2008.09.03

7.청불주세가  (0) 2008.09.03

8.상수불학가  (0) 2008.09.03

9.항순중생가  (0)

10.보개회향가  (0) 2008.09.03


11.총결무진가  (0) 2008.09.03

 

보현행원품 게송  (0) 2008.09.03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게송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게송 부분 所有十方世界中 三世一切人師子 我以淸淨身語意 一切遍禮盡無餘 끝없는 시방 세계 가운데 삼세의 모든 부처님들께 깨끗한 몸과 말과 뜻을 다하여 한 분도

kydong77.tistory.com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五

題詞 제5

5

先人永言舊擅華

선인들의 부른 노래 예부터 꽃을 피워

蘇塗瓊芳長婆娑

소도(蘇塗)의 고운 송이를 항시 너훌 춤추었네.

彗星一曲天下晏

<혜성가> 한 곡조에 온 누리가 평안했고

落葉齋妹不勝嗟

<제망매가> 누이 제()엔 설움이 많았었지.

餘韻嫋嫋入無際

남은 가락 가늘게 가없는 데 올라가

海雲如縷至今多

지금도 바닷구름이 실오리 같이 많것다!

   

邇來求索何皇惑

이즈음 연구란 것 어찌 그리 허망한고

焦明廖廓視藪澤

하늘 높이 솟은 봉황을 숲·늪에서 찾다니!

釋之彌苦去彌遠

애써 풀이할수록 참과는 더 멀어져

幾令雅韻付

훌륭한 그 옛노래가 어둠에 묻힐 뻔했더니,

   

雲錦七襄章采殊

구름비단일곱 필이 무늬 워낙 다르니

辨此先要胸有

이를 제법 알려면 가슴에 짠 것있어야네.

爲謝流俗莫漫讀

이보아, 류속(流俗)들아, 허투루 이를 읽지 마소

千載沾襟有于勒*

천년 전 우륵이 읽고 흐느껴서 우옵네.

 

* 끝구 千載沾襟有于勒

정인보 문록의 원시엔

于勒沾襟聽萬德이라 한 것을 (양주동)가 사사로이 고치다.

 

[해설]

總括的 結辭.

落葉齋妹가 말뜻을 따지면 좀 어긋나나,

海雲如縷가 또 絶唱(海雲臺를 아울러 상상할 것).

邇來 皇惑日人學者 某등을 가리킴인가.

焦明廖廓視藪澤 1는 그들뿐 아니라, 厥後 諸子에게도 該當되는 名口.

雲錦七襄過情讚辭인 채로, 胸有識 3가 또 아는 이의 말.

原詩 結句 聽萬德’(聆也, 又 任爲也)萬德用典이 모두 작자의 薇指를 보이나, 이는 결코 事實實情이 아니어서 後代謬傳치 못하겠기, 이를 짐짓 千載沾襟有于勒으로 고쳤다.

[참고]

原詩2차 번역은

이병주,한국한시의 이해,민음사,pp.228-232에도 있음.

[11장 조선시대의 선가시]

詞腦歌 證釋 題詞 其四

題詞 제4

4

 

君才炳蔚少與倫

그대의 빛난 재주 뭇 사람에 뛰어나서

弱歲操筆已動人

약관(弱冠)에 붓을 들어 사람을 이미 놀랫것다!

玆基索具菑畚善

그 천품에 꾸준히 처녀지(處女地)를 개척터니

眷言土風嘆荒榛

국고(國故)가 폐허됨을 탄식코 되 이룩하려

過余爲言願委身

날 찾아 이르는 말몸을 이에 바치리니

先哲有遺可終湮

서닌(先民)이 남기신 것을 끝내 인몰(湮沒)시키리?“

 

燈前細雨相可否

비오는 밤 등불 앞에 앉아 토론하니,

深知長識貫簡編

깊은 지식, 높은 식견이 만권서(萬卷書)를 꿰뚫어,

一鼓能使堅疊

한 번 북을 치매 굳은 성벽 무너지고

再鼓四面寂然

두 번 북을 치니 사면이 모두 고요!

猶然俛首不敢逸

그리고도 머리 숙여 잠시도 안 게을러

疏證纖悉究曉曛

새벽에 자다란 주석(注釋), 저녁에도 치밀한 고증(考證).

 

聞君成書使我喜

이제 책이 되었다니 얼마나 반가운가!

欲取黃花佐淸罇

국화를 가져다가 술과 안주로 내 이받네

酒以暢君解久悴

술론 오래 꾀죄한 그대 얼굴 펴게 하고

花以賁君

꽃으론 의로운 그대 빛내어 위로콰저.

 

[해설]

두 사람의 文交 · 學硏을 서한 1.

過余爲言內容과 특히 相可否’ 3가 반드시 實事가 아니나, 아마 그의 矜持거나 行文鋪張일 터.

그가 이처럼 鄙學과의 史的 因緣과 관련을 矜張하여서까지 굳이 後代에 전코자 意圖했음은 오히려 令譽.

燈前細雨가 그 분의 아기자기한 필치.

一鼓 · 再鼓絶唱, 絶唱.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其三

題詞 제3

3 

誰道史志非活物

뉘라서 역사의 기록이 죽은 것이라 말하는가?

噓吸故與後昆一

그 속의 숨결이 후손과 하나인 걸!

細如毫芒迷如煙

털끝마냥 가늘고 연기처럼 아스름해도

有由來者不容忽

유래가 있는 건 호리(毫厘)도 어김 없거니,

矧伊動天感鬼神

하물며 천지 · 귀신을 감동턴 것이야

殷殷未隨風雲沒

그 어찌 풍운을 따라 영영 없어지오리?

 

未之思也遠何有

미쳐 생각 못했을 뿐, 무엇이 멀 것가?’

今人盡從古人出

지금 사람 모두 다 엣 사람서 나온 것을.

知君爲此洗心久

그대 이를 위해 맘 씻는 지 오래지만,

古意要從見在掇

옛 뜻은 요컨댄 현재로써 거둘[]

吾情吾詞之所安

내 정과 내 글로써 만족타 여겨지면

千載之上豈必別

천년 전 원[] 노래인들 어찌 그리 다르리?

   

不離喉嚨無麗羅

목청 내어 읊어서 고려 · 신라 매만지고

證以文獻若合節

문헌으로 대증(對證)하니 대쪽처럼 들어맞네

兒女完孌大同花

여인의 고운 맵씨 대동강 건너편 꽃’,

亂離慘悽井邑月

처참한 난리 중에 정읍골의 돋는 달’.

春木之芚援我手

봄 나무의 새싹이 나의 손을 당기니

今夕何夕皓齒發

이 저녁 어인 저녁고! 내 흰 이[]가 드러나네.

 

  :생략

[해설]

古歌史的 位置와 그 傳統的 永遠存在道破.

細如毫茫云云史志의 이른바 草蛇灰線을 터득한 말이나,

그의 得意한 간드러진 표현.

今人盡從古人出이 또 그의 體得史觀一端.

철학적 차원은 다르나, T. S. 엘리옽의 名句

현재의 시간과 과거의 시간은

아마 未來의 시간에 現存하고

未來의 시간은 過去의 시간에 포함된다.”

<四重奏>偶合된다 할까.

洗心’ 2字 知心의 말.

1112吾情吾詞’ ‘豈必別云云은 그가 鄙解에 약간 疑念을 품었음인가.

春木之芚를 너무 後生한 듯하나, 亦復何害?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