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 초상]

[이 초상화는 연암의 손자 박주수 작품]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http://kydong77.tistory.com/5411

 

박지원 년보

http://kydong77.tistory.com/8093

 

[주]특기사항을 표시하여 다시 읽어본다.

연암 박지원 년보

http://ko.wikipedia.org/wiki/%EB%B0%95%EC%A7%80%EC%9B%90_%EC%97%B0%EB%B3%B4

 

박지원/ 방경각외전 자서

http://kydong77.tistory.com/8092

 

이가원/열하일기 해제

http://kydong77.tistory.com/2356

 

연암소설

①初期九傳; 放경閣外傳 自序(연암집 권8)

마장전,

http://kydong77.tistory.com/7940

 

예덕선생전,

http://kydong77.tistory.com/7937

 

민옹전,

http://kydong77.tistory.com/7936

 

광문자전,

http://kydong77.tistory.com/7935

 

양반전,

http://kydong77.tistory.com/8091

http://kydong77.tistory.com/7934

 

김신선전,

http://kydong77.tistory.com/7933

 

우상전

http://kydong77.tistory.com/7932

 

(역학대도전,봉산학자전 二篇은 焚失)

http://kydong77.tistory.com/7931

 

②中期二篇;(연암집 권11~15, 別集 熱河日記 수록)

호질(권12 關內程史),

http://kydong77.tistory.com/8090

 

호질 후지

http://kydong77.tistory.com/7963

호질 김택영 발문

http://kydong77.tistory.com/7962

 

허생전(권14,玉匣夜話)

http://kydong77.tistory.com/8089

 

옥갑야화

http://kydong77.tistory.com/7961

 

허생후지1

http://kydong77.tistory.com/7960

 

.허생후지[진덕재야화] Ⅱ

http://kydong77.tistory.com/7959

 

③後期一篇; 열녀함양박씨전(권1, 연상각선본)

http://kydong77.tistory.com/7930

 

박지원/ 회우록서

http://kydong77.tistory.com/7939

 

박지원/ 原士

원사(原士) -선비란 무엇인가?

http://kydong77.tistory.com/7938

 

[추가]

위키백과

박지원 (1737년)

이 문서는 연암 박지원 연보이다.[1]

목차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8093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목차

  • 1 생애
    • 1.1 생애 초반
    • 1.2 청년기
    • 1.3 학문 연구와 정치 활동

      그는 노론임에도 열하베이징을 여행하고 돌아온 후 청나라와 서구의 문물을 적극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서구의 문물과 청나라의 기술 중 성곽 축조, 제련 기술 등을 적극 받아들여야 된다고 주장하였고, 상행위를 천시할 것이 아니라 상행위와 무역을 적극 장려하고 무역항을 개설해야 한다는 것과 화폐를 이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수많은 동지들을 규합하고 문하생을 길러내 노론당 내에서도 북학파라는 학파/정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문하생에도 양반, 중인, 서자를 차별하지 않고 학문을 배우려는 자를 모두 받아들였다. 그는 서얼을 차별하는 것은 잘못이며 능력과 실력에 따른 균등한 인재 등용을 주장하였다.

      서류(서자)들을 금고하는 것은, 옛날의 법에서 상고해 보건대 그런 법이 없으며, 예률(禮律)에서 상고해 보건대 근거할 바가 없습니다. 이것은 국초에 좀스러운 신하가 기회를 틈타 앙갚음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본디 개국했을 때 정한 제도가 아닙니다. 1백 년 뒤에 선묘(宣廟)께서 비로소 과거에 응시하는 것을 허락하였고, 인묘(仁廟) 때에 미쳐서 또 삼조(三曹)에 허통시켰습니다. 이것으로 보건대, 열성조에서 고치고 변통한 성대한 뜻을 단연코 알 수가 있습니다.

      그는 선대에 조광조, 이이, 송시열이 서자들도 요직에 쓸 것을 건의했던 점을 계속 지적, 상소하여 서자들에게도 관직에 나갈 길을 줄 것과 실력에 따른 인재 등용을 주장하였다. 서얼 차별에 대해 그는 '서자를 금고하는 것은 왕조를 세운 초기에 어떤 좀스런 신하가 기회를 타서 앙갚음한데 지나지 않는다.'며 서얼을 차별할 이유가 없다고 부르짖었다. 또한 평민에게는 과거 응시 자격이 주어졌지만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환경을 지적하여 평민들에게도 과거를 보도록, 나라에서 서당에 보낼 것을 역설하였다.

    • 1.4 생애 후반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당대 양반 계층의 타락상을 고발하고 근대사회를 예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창조함으로써 많은 파문과 영향을 끼쳤다. 그는 기존의 시와 부, 문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글을 썼다. 열하일기를 비롯하여 자신이 청나라일본을 다녀오고 그 당시 본 장면과 풍경을 그대로 기술하였다. 죽은 누나의 행장을 쓸 때는 부덕이나 현모양처임을 강조하거나 찬양하지 않고 어린 시절 자신이 누나에게 서운한 일이 있어, 누나의 화장품에 물을 타서 장난친 일 등을 기록하였다. 형식과 틀에 얽매이지 않은 수필과 각종 글을 발표하였고, 글씨체 역시 기존의 서체에 구애받지 않고 글을 지었다.

      1791년(정조 15년) 12월 안의현감에 임명되어 다음 해부터 임지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안의 현감으로 내려간 연암 박지원이 부임 첫날 지역 터줏대감들과 술자리에 앉았다.[8] 토호들은 그에게 놀이나 하나 하자며 엉뚱하게도 글짓기 경연(競演)을 시작한다. 벌칙은 술, 운자(韻字)는 '지'였다. "술술 잘 넘어가는 안의 막걸리/안주도 좋아라. 황석산 멧돼지." "촌사람 섣불리 보지 마소/ 안의 사람들 정말 무섭지" "아무리 짝사랑이라도 목은 왜 매나/ 벗겨나 보든지 한 번 대어나 보고 죽지[8]" 그를 보기좋게 길들이려던 토호들은 오히려 그에게 골탕을 먹었다고 한다.

      안의현감 부임 직후 정조 임금이 문체를 타락시킨 장본인으로 《열하일기》를 지목하고는 남공철을 통해 순정한 글을 지어 바치라 명령했으나 직접 응하지는 않았다.[5] 1792년 다시 정조가 문체반정을 명하며 남공철(南公轍)을 다시 보내 통해 순정문(醇正文)으로 지을 것을 명하다. 이에 남공철에게 속죄하는 내용의 답서를 보냈는데 정조가 그의 편지를 보고 문장에 감탄하였다.

      1796년 지방관 임기 만료로 안의현감에서 물러나 한성부로 상경하였다. 이때 친구 유언호(兪彦鎬)의 부음을 듣고 그의 장레를 치루었으며, 한성부 계산동에 벽돌로 초당을 짓고 총계서숙(叢桂書塾[9])이라 이름짓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총계서숙은 그가 죽은 뒤에도 1830년대에까지 북학파 학자들이 후학을 양성하였다.

      1796년 제용감주부, 의금부도사, 의릉령(懿陵令)이 되고, 1797년(정조 21년) 7월 61세에 면천군수로 임명되었다.

      1793년 정조는 그에게 《열하일기》로 잘못된 문체를 퍼뜨린 잘못을 속죄하라고 하교하였다. 박지원은 정조의 거듭된 경고에 이에 '답남직각공철서 (答南直閣公轍書)'를 썼다. 왕의 문책을 받은 처지로 새로 글을 지어, 글로써 만든 과거 잘못을 덮으려 하는 것은 오히려 누가 되는 일이라는 내용이었다. 이덕무가 죽자, 정조는 그에게 지시하여 행장을 짓도록 하여 '형암 행장 (炯菴行狀)'을 썼다. 그해 이덕무의 유고집을 간행하는데 참여하였다.

    • 1.5 사후 영향
    • 1.6 현대
  • 2 사상과 신념
  • 3 문학 세계
  • 4 인물평
  • 5 가족 관계
  • 6 주요 저서와 관련서
  • 7 평가
  • 8 기타
  • 9 함께 보기
  • 10 참고 자료
  • 11 각주
  • 12 바깥고리

참고 자료[편집]

  • 박희병, 《연암을 읽는다》. 돌베게. 2006년. ISBN 89-7199-237-9
  • 최정동, 《연암 박지원과 열하를 가다》. 푸른역사. 2005년. ISBN 89-91510-10-8
  • 김지용, 《연암 박지원의 이상과 그 문학》. 명문당. 2005년.
  • 박수밀, 《박지원의 미의식과 문예이론》. 태학사. 2005년.
  •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 2003년.
  • 이현식, 《박지원 산문의 논리와 미학》. 이회문화사. 2002년.
  • 김혈조, 《박지원의 산문문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2년.
  •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 조선조 근대화의 기수》. 한양대학교출판부. 2000년.
  • 강혜선, 《박지원 산문의 고문 변용 양상》. 태학사. 1999년.
  •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비. 1990년.
  • 간호윤, 《개를 키우지 마라》. 경인문화사, 2005년.
  • 김영동, 《박지원 소설연구》. 태학사, 1988년.
  • 김영동, 증보《박지원 소설연구》. 태학사, 1993년.

 

[최치원 존영]

카테고리: 한문학

한문학 (358) N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참고]

이 블로그 운영자가 정리한 금오신화 자료는 다음과 같다.

김시습전 -율곡 이이

http://kydong77.tistory.com/8088

 

김시습전 -율곡 이이

[주]세조의 왕위찬탈로 파탄난 인생, 그는 장부의 표상이라며 수염을 기른 중으로 일생을 방랑했다.47세때 환속하여 조부신께 사죄문도 올렸지만 충신불사이군의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태생의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7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上

[주]금오신화 5편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인귀교환설화를 소재로 하였다.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의 영혼과 생시처럼 육체적 관계를 나누는 것을 인귀교환설화라 한다. 얼마나 지독한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6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下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摴蒲記 下 2]무덤에서 사흘간 처자 환신과 지내다 1)처자 환신을 따라 개령동 처자의 집에 가다 生執女手, 經過閭閻, 양생이 여인의 손을 잡고 마을을 지나가는데, 犬吠於籬,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5

 

김시습, 이생규장전 上

[주]담장은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다. 담장 안은 이생이 경험하지 못한 이상세계였다. 담장을 넘어 최랑과 시를 창수하니 신선세계에서 선녀를 만난 기분이었다. 어떻게 빠져들지 않을 수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4

 

김시습, 이생규장전 下

[주]연애[풋사랑]-울산 농장, 결혼-홍건적의 난에 피살, 인귀교환-명수 다해 영별. 이 작품은 세 차례에 걸친 만남과 이별의 변주곡이다. 2]이생, 최랑과 이별하다 1)이생의 행동이 탄로나 울주로

kydong77.tistory.com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3

 

김시습, 취유부벽정기

[주] 이 작품은 부벽루에서 시를 창수할 짝을 만난 홍생과 기씨녀의 회고시의 향연이다. 홍생의 칠률 6수, 기씨녀의 칠률 6수, 40운 80구의 기씨녀의 오언고시 <강정추야완월(江亭秋夜玩月)> 등이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2

 

김시습,남염부주지 上

이 작품에는 매월당이 20년에 걸친 정신적 방황에서 도출하려 했던, 삶과 죽음에 대한 존재론적 회의와 불교의 세계관 및 의식의 오류에 대해 염왕과 대화하는 형식을 통해 정리하고 있다. 박생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1

 

김시습, 남염부주지 下

3]염왕과의 담론 1)유불을 비교하다 生問曰(생문왈) : 박생이 물었다. 周孔瞿曇(주공구담) : "주공과 공자와 석가는 何如人也(하여인야) : 어떤 사람들입니까?" 王曰(왕왈) : 임금이 말하였다. 周孔(

kydong77.tistory.com

 

용궁부연록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0

 

김시습, 용궁부연록

[주]한생이 용궁의 상량식 잔치에 초대되어 상량문 짓고, 용궁의 풍류잽이들과 초대받은 사람들이 돌아가며 재주를 보이며 시를 지은 후, 한생은 용궁을 두루 구경하고, 진주 두 알과 비단 두 필

kydong77.tistory.com

 

구우 / 전등신화

http://kydong77.tistory.com/5439

 

구우 / 전등신화

[은자주]전등신화의 목차를 정리해 본다. 하단에 금오신화와 연관된 작품을 적시하고 걸작을 발췌해 본다. 전등신화(剪燈新話)_구우(瞿佑) 작자소전_주릉가(周楞伽) 서문 1. 구우(瞿佑)의 '전

kydong77.tistory.com

 

금오신화 작품 요약

http://kydong77.tistory.com/5413

 

금오신화 작품 요약

금오신화 [참고]금오신화 vs 구우/전등신화 http://blog.paran.com/kydong/34822337 현존하는 5편은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등 다섯편이다. 이들은 각기 소재가

kydong77.tistory.com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2585

 

김시습

김시습(金時習) 1435년(세종 17)∼1493년(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강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http://kydong77.tistory.com/2584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주]한문만 제시하면 의미를 알 수 없고, 국역만 처리하면 중요한 부분을 놓치기 쉬워 한문을 짧게 끊고 국역으로 대역(對譯)하였다. 금오신화 5편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인귀교환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http://kydong77.tistory.com/2583

 

김시습, 이생규장전

[주]담장은 빈부의 세계, 서민과 귀족,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다. 담장 안은 이생이 경험하지 못한 이상세계였다. 담장을 넘어 최랑과 시를 창수하니 신선세계에서 선녀를 만난 기분이었다

kydong77.tistory.com

 

취유부벽정기

http://kydong77.tistory.com/2577

 

김시습, 취유부벽정기

[주] 이 작품은 부벽루에서 시를 창수할 짝을 만난 홍생과 선녀 기씨녀의 회고시의 향연이다. 고양된 회고의 정서를 응축한 홍생의 칠률 6수, 기씨녀의 칠률 6수, 五言 40운 80구의 기씨녀의 오언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http://kydong77.tistory.com/2576

 

김시습, 남염부주지

[주]금오신화 5작품 중 유일하게 한시를 사용하지 않은 사상소설이다. 남염부주지 -김시습 成化初, 慶州有朴生者, 以儒業自勉. 성화(成化) 초년에 경주에 박생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유

kydong77.tistory.com

 

용궁부연록

http://kydong77.tistory.com/2575

 

김시습, 용궁부연록

용궁부연록 松都有天磨山. 其山高揷而峭秀, 故曰天磨山. 개성에 천마산이 있는데, 그 산이 공중에 높이 솟아 가파르므로 '천마산(天磨山)'이라 불리게 되었다. 中有龍湫, 名曰瓢淵, 窄而深, 不知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873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금오신화 정리

이 블로그 운영자가 정리한 금오신화 자료는 다음과 같다. 김시습전 -율곡 이이 http://kydong77.tistory.com/8088 만복사저포기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7 만복사저포기 하 -김시습 http://k..

kydong77.tistory.com

 

[최치원 사산비명] 外

최치원의 사산비명  (0) 2012.09.27

최치원 - 격황소서  (0) 2012.09.25

경주 초월산 숭복사 비명 /사산비명  (0) 2010.10.02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영탑비명/ 사산비명  (0) 2010.09.26

문경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명/ 사산비명  (0) 2010.09.23

최치원의 사산비명  (0)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category/한문학/최치원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다산 정약용  (0) 2014.04.14

한문사대가  (0) 2013.12.18

장유 - 서산대사비명 병서  (0)

이정구 - 서산대사비명 병서  (0)

 

조선시대의 한문학 요약분

http://kydong77.tistory.com/3301

 

조선시대의 한문학/요약본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kydong77.tistory.com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盧守愼, 芝川 黃廷彧이다.

 

2.방외인문학 김시습 허균/3

김시습(), 1435(세종 17)∼1493(성종 2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650&cid=46644&categoryId=46644

 

김시습

조선전기 『매월당집』·『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문인.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

terms.naver.com

허균 [許筠] (1569~161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7428&cid=46644&categoryId=46644

 

허균

조선시대 첨지중추부사, 형조참의,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아버지는 서경덕(

terms.naver.com

 

3.사림파 김종직 영남사림/3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김인후

 

4.해동의 강서파 /5

용재 이행, 읍취헌 박은

이행()의 시문집.용재집 [容齋集]

박은()의 문집 ≪읍취헌유고 稿

 

5.삼당파시인/5

고죽 최경창, 옥봉 백광훈, 손곡 이달

孤竹 崔慶昌, 玉峯 白光勳, 손곡(蓀谷) 이달(李達)


6.한문사대가 /7

월사 이정구, 상촌 신흠, 계곡 장유, 택당 이식

조선 중기 문장에 뛰어났던 월사 이정구()·상촌 신흠()·계곡 장유()·택당 이식() 등 네 사람.

이들의 호를 한 자씩 따서 월상계택(月象谿澤)

 선조·인조( ) 연간의 4가 상월계택(谿)

곧 상촌 신흠( ), 월사 이정구( ), 계곡 장유(谿 ), 택당 이식( )

 

7.후사가의 한시/8

한국 한시의 개발, 新體文

아정 이덕무,영재 유득공, 초정 박제가,강산 이서구

조선 정조() 때 실학() 관련의 네 학자.

아정·형암 이덕무( 1741~1793),

초정박제가( 1750~1815),

냉재齋  유득공 [柳得恭] (1748~?),

강산(薑山) 척재 이서구( 1754 ~1825) 등에 대하여 라 함.

법고창신의 신체문을 주창하고 실천한 연암 박지원은 지금의 탑골공원에서

대개 서자출신인 이들과 어울림.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330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조선시대의 한문학/요약본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kydong77.tistory.com

 

고소설 관련 자료목록 재정리

http://kydong77.tistory.com/2580

[주] 이 블로그의 고소설 관련 자료목록을 다시 정리해 보았다.

 

고소설 자료 제3차 정리 

이전 블로그가 없어져  아래 주소창에 새로 정리했습니다.

http://kydong77.tistory.com/

카테고리: 고전문학> 고소설

고소설 자료 제3차 정리 

* 위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열립니다.

 
고전문학 (334)
향가 外 (43)
려요 (22)
고소설 (75)
민요 가사 (23)
설화 (41)
구운몽 (97)
운영전 (26)
종옥전 (6)

카테고리: 한문학

한문학 (343)
성수시화 (88)
학산초담 (96)
연암소설 (59)
동명왕편 (11)
금오신화 (20)
전등신화 (28)
최치원 (7)

[참고] 

제목을 클하거나

제목을 복사하여 오른편 메뉴 <글쓰기> 아래의 검색란에 붙이면 검색이 가능합니다.

 

제1차정리

이 블로그의 고소설 자료 목록

http://kydong77.tistory.com/4677

 

제2차정리

고소설 관련 자료목록 재정리 

http://kydong77.tistory.com/2580

 

쌍녀분설화

[또는 최치원전, 최치원설화]

http://kydong77.tistory.com/2290

 

허균 5전[실전]

종옥전5 <끝>  (0) 2008/11/24

종옥전4  (0)

2008/11/24

종옥전3  (0)

2008/11/24

종옥전2  (0)

2008/11/21

종옥전1  (0)

2008/11/15

종옥전 해설  (0)

2008/11/15

 

적성 아침날에

http://kydong77.tistory.com/571

 

침중기 03  (0) 2012/03/25
침중기 02  (0) 2012/03/25
침중기 01  (0) 2012/03/25

 

http://kydong77.tistory.com/577

 

남가태수전 04  (0) 2012/03/22
남가태수전 03  (0) 2012/03/22
남가태수전 02  (0) 2012/03/22
남가태수전 01  (0) 2012/03/22

 

http://kydong77.tistory.com/588

 

이옥 - 심생전 

http://kydong77.tistory.com/938

 

인간문화재 박초월 수궁가 듣기  (0)

2011/09/02
흥보가 중 화초장타령/ 소리 조통달, 고수 정화영  (0) 2011/09/01

 

 

조통달 `조관우 가성은 `내시 목소리`  (0) 2011/09/01

고소설 관련 자료목록 재정리  (0)

2011/03/13

이 블로그의 고소설 자료 목록 01  (0)

2010/02/22

김운태류 /채상소고춤  (0)

2009/11/27

춘향가 /농부가  (0)

2009/11/25

여창가곡  (0)

2009/11/25

 

 

고소설 관련 자료목록 재정리 제2차

http://kydong77.tistory.com/2580

 

이 블로그의 고소설 자료 목록1차

http://kydong77.tistory.com/4677

 

김운태류 /채상소고춤

춘향가 /농부가

 

여창가곡 

http://kydong77.tistory.com/5394

 

남창가곡 

http://kydong77.tistory.com/5395

 

최봉조 /청산은 어찌하여

http://kydong77.tistory.com/5396

 

단가 / 추억

 http://kydong77.tistory.com/5397

 

여창가곡  (0)

2009/11/25

남창가곡  (0)

2009/11/25
최봉조 /청산은 어찌하여  (2) 2009/11/25

단가 / 추억  (2)

2009/11/25

박동진/춘향가  (1)

2009/11/25

춘향가 / 사랑가  (2)

2009/11/24 

 

 

춘향가 / 춘향모 기뻐하는 모습  (0) 2009/11/24

춘향가 / 어사출도 대목  (0)

2009/11/24

춘향가 / 십장가  (0)

2009/11/24

 

춘향가 / 옥중가 대목  (0)

2009/11/24

춘향가 / 갈까부다 대목  (1)

2009/11/24
춘향가 / 천자 뒷풀이 대목  (0) 2009/11/24

 

춘향가 / 오리정 이별 대목  (0)

2009/11/24

춘향가 / 천자 뒷풀이 대목  (0)

2009/11/24
`설공찬전`속의 빙의현상과 고대의 퇴마의식  (1) 2009/11/24

채수 /설공찬전  (0)

 

`설공찬전`속의 빙의현상과 고대의 퇴마의식

http://kydong77.tistory.com/5407

 

채수 /설공찬전 

http://kydong77.tistory.com/5408

 

채수/ 설공찬전 해설 

http://kydong77.tistory.com/5409

 

김소희 춘향가  (0)

2009/11/24
판소리, 허균의 전 & 종옥전  (0) 2009/11/23

경복궁타령  (1)

2009/11/08

 

판소리, 허균의 전 &종옥전

http://kydong77.tistory.com/5412

 

경복궁타령  (1)

2009/11/08
창부타령 / 경기민요  (1) 2009/11/08

재담굿 03  (1)

2009/11/08

재담굿 01  (1)

2009/11/08

재담굿 02  (1)

2009/11/08

재담소리  (4)

2009/11/08

 

경기민요 02  (1)

2009/11/08

경기민요 01  (1)

2009/11/08

서도아리랑  (0)

2009/07/15
김광숙 / 수심가  (1) 2009/07/15

육자배기  (1)

2009/07/15

 

육자배기 

http://kydong77.tistory.com/6123

 

정선아리랑  (1) 2009/07/15

 

중국조선족 / 아리랑  (1)

2009/07/15

김영임 / 강원도아리랑  (0)

2009/07/15
김용임 / 강원도 아리랑  (0) 2009/07/15

서편제 / 진도 아리랑  (0)

2009/07/15

밀양아리랑  (0)

2009/07/15
뉴욕 필/ 아리랑 공연  (3) 2009/07/15

 

[시조]고 최봉조/청산은 어찌하여 01  (0) 2009/05/08

육자배기  (3)

2008/12/31

회심곡  (1)

2008/12/30

꿈이로다 꿈이로다  (2)

2008/12/30

 

육자배기 

http://kydong77.tistory.com/7572

 

회심곡 

http://kydong77.tistory.com/7574

 

방아타령

http://kydong77.tistory.com/7625

 

판소리 춘향가 6 -김소희  (0)

2008/11/25

판소리 춘향가5 - 김소희  (0)

2008/11/25

판소리 춘향가 4 - 김소희  (0)

2008/11/25
영화 파헤치기 - 역대 춘향전 영화  (0) 2008/11/24

 

[시조]박종순/청산은 어찌하여 02  (0)  

가곡과 시조의 차이점  (0)

2009/05/08

가곡(歌曲)이란  (0)

2009/05/08

[가곡]모란은  (0)

2009/05/08

[가곡]북두칠성  (0)

2009/05/08

 

마당놀이 심청 -심봉사 눈을 뜨다  (0) 2008/11/22
마당놀이 심청 -김성녀의 독무대  (0)

2008/11/22  

마당놀이 심청 -심청, 환생하다  (0) 2008/11/22
마당놀이 심청 -민은경 심청, 용궁에 오다  (0)

2008/11/22  

춘향가3 -김소희 창  (0) 2008/11/15

춘향가 2 -김소희  (0)

2008/11/08

춘향가1 -김소희  (0)

2008/11/08

영화 역대 춘향전  (0) 2008/11/08
영화 역대 춘향전  (0) 2008/11/08

 

방아티령 -식물원 앞  (0) 2008/11/07

  

신재효본 , <변강쇠가> 全文  (2)

http://kydong77.tistory.com/8634

 

별주부전 외- 나이 자랑2  (0) 2008/02/13
박동진,수궁가 -나이자랑1  (1)

2008/02/13 

 

 

정강우 판소리, 변강쇠가  (2)

http://kydong77.tistory.com/8637

 

삼국유사 설화 포스트 모음

http://kydong77.tistory.com/4626

 

건국신화 모음

http://kydong77.tistory.com/5704

한국의 설화문학 01

http://kydong77.tistory.com/5706

한국의 설화문학 02

http://kydong77.tistory.com/5705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2580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이참에 무애 양주동 선생님이 향가 다음으로 힘을 기울였던 고려가요 경기체가 등에 대하여 재정리해 본다.

고려가요 총목차  (0) 2009.11.04

경기체가의 구조와 형식적 특징  (0)

안축,죽계별곡/경기체가  (0) 2009.11.05

안축, 관동별곡/경기체가  (0) 2009.11.05

한림별곡 /경기체가  (0) 2009.10.29

정읍사/ 백제가요  (0) 2009.10.29

 

고려가요 총목차 

http://kydong77.tistory.com/5501

 

[참고문헌]

양주동,려요전주,을유문화사,1959.

김형규,고가요주석,일조각,1977.

박병채,고려가요의 語釋연구,이우출판사,1982.

전규태,고려가요,정음사,1978.

김명준,고려속요집성,다운샘,2002.

 

1. 속요의 작자와 작품

국문표기 13편. [出典] 약호:[樂學]軌範, [樂章]歌詞, [時用]鄕樂譜, [高麗史]樂志

①動 動: [樂學] (메모)달거리 노래→ 軍樂[長生浦의 軍旅]→ 속악가사 動動

②處容歌: [樂學]* [樂章][高麗史](漢譯) (메모)驅儺後. 鳳凰吟*. 10구체 향가의 잔재.

③鄭瓜亭:[樂學]* [高麗史](漢譯) (메모)제5-6행 = 만전춘 제3연. 忠臣戀主之詞(성종실록)

④雙花店: [樂章] [時用](한문가사)쌍화곡,속칭 쌍화점. (메모)제2연 三藏寺

⑤西京別曲: [樂章] [時用]제1연의 1행. (메모)곡조 靖東方曲에 이용함. 제2연=정석가6연

⑥靑山別曲: [樂章] [時用]제1연. (메모)곡조 納氏歌에 이용. 가사는 민중생활의 난잡함.

⑦鄭石歌: [樂章] [時用]제1연. (메모)제6연 頌禱歌 = 서경별곡 제2연

⑧履霜曲: [樂章]

⑨思母曲: [樂章] [時用]俗稱 엇노리. (메모)木州歌→ 엇노리→ 思母曲

⑩가시리: [樂章] [時用]歸乎曲,俗稱 가시리. (메모)창작초기단계→가시리→歸乎曲

⑪滿殿春別詞*: [樂章]. (메모)제2연과 제5연은 시조형식. 제3연 = 정과정.

⑫維鳩曲: [時用]俗稱 비두로기. (메모)睿宗의 伐谷鳥→비두로기→維鳩曲

⑬相杵歌: [時用]

 

⑭井邑詞(백제가요): [樂學]

 

⑮翰林別曲: [樂章] [高麗史](詞俚不載). (메모)선초 속악 정리 아악 제정시에 가사를 배격하고 곡조만 사용함. ‘詞俚不載’라 하여 국문표기는 한문에 단 吐(虛辭)에 그침.

※③鄭瓜亭: 작자(鄭敍 작)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작품.

⑨ ⑫ ⑬은 비연시.

① ② ④ ⑭는 俗樂 呈才(놀이를 하면서 노래 부름)

②, ③제1-4행, ④, ⑤제2연, ⑦은 小樂府(七絶)로도 전함.

②處容歌: [樂學]* 권5, 鶴․蓮花臺․處容舞 合設 조

鳳凰吟*: 세종이 배경설화를 듣고 가사를 고쳐 부르게 함.

③鄭瓜亭: [樂學]* 三眞勺

⑪滿殿春別詞*: 定大業 가운데 順應 또는 赫整이라는 기악곡에 사용함.

忠臣戀主之詞는 적고 대부분 男女相悅之詞.

 

[동일가사 비교]

③鄭瓜亭:제5-6행 = 만전춘 제3연

[大葉]넉시라도 님은  녀져라 아으

[附葉]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⑪滿殿春別詞*: 제3연 = 정과정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⑤西京別曲: 제2연=정석가6연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 아즐가 긴히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⑦鄭石歌: 제6연 頌禱歌 = 서경별곡 제2연

구스리 바회예 디신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힛 긴히 그츠리잇가

◇김학성,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한국학보》 31집,일지사,1983.

 

2.작품감상

1.動動/45
http://kydong77.tistory.com/5626

2.處容歌/50
http://kydong77.tistory.com/5625

3.鄭瓜亭/53
http://kydong77.tistory.com/5624

4.雙花店/54
http://kydong77.tistory.com/5623

5.西京別曲/55
http://kydong77.tistory.com/5622

6.靑山別曲/57
http://kydong77.tistory.com/5621

7.鄭石歌/58
http://kydong77.tistory.com/5620

8.履霜曲/60
http://kydong77.tistory.com/5619

9.思母曲/61
http://kydong77.tistory.com/5618

10.가시리/61
http://kydong77.tistory.com/5617

11.滿殿春別詞/62
http://kydong77.tistory.com/5616

12.維鳩曲/63
http://kydong77.tistory.com/5615

13.相杵歌/63
http://kydong77.tistory.com/5614

[백제가요] 井邑詞/64
http://kydong77.tistory.com/5613


경기체가

구조와 형식

http://kydong77.tistory.com/5611


한림별곡
http://kydong77.tistory.com/5612

안축/관동별곡

http://kydong77.tistory.com/5500

죽계별곡

http://kydong77.tistory.com/5499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550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