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질 김택영 발문

《虎 叱》金澤榮 跋文

◈《虎 叱》(金澤榮本,重編 朴燕巖先生文集 권5,1917 중국 간행,李在秀 所藏本)

*이 작품이 중국인 작품이 아니라 연암 작품임을 밝힘.

 

[연암이 열하일기에서 중국 옥전현 심유붕의 골동품점에서 베꼈음을 밝혔으나 창강 김택영은 이 발문에서 네 가지 이유를 들어 연암의 작품이라 못박았다. 그런데 천하의 기문인 이 글을 연암이 자기글이 아니라고 손사레를 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은자 생각에는 유학자를 공격하고 당할 자신과 가문의 화를 피하기 위한 장치물로 이해된다. 역시 열하일기에 실은 <허생전>에서도 연경으로 돌아와 비장들과 어울린 저녁에 윤영에게서 들은 이야기임을 전제하고 연암이 전달하는 형식을 취하여 " 윤영이 말하기를[映之言曰]" 로 작품이 시작되고, 처음 쓴 후지 <진덕재야화>에는 윤영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지 않았던가? 얼마나 완벽한 장치물인가?

다음 꼭지에서 함께 읽어본다.

 

 

 

 

[金澤榮跋文]

篇首始引他獸以罵虎 忽復引人而讚虎

작품 머리에 다른 짐승들을 글여들여 범을 꾸짖다가 문득 다시 사람을 끌여들여 범을 예찬한다.

自此以下 愈出愈奇

이 아래로는 나갈수록 더욱 기이하여

雖其說狂悖 不可爲訓 而文則奇矣.

비록 사리에 맞지 않는 미치광이 소리지만 교훈이 되지는 못하지만 문장은 기이하다.


右文按燕巖先生熱河日記曰

오른쪽 글은 연암 선생의《열하일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말했다.

與鄭進士 行至玉田縣 於商客沈由朋舖壁上 得一篇奇文

“정진사와 행차가 옥전현에 이르렀을 때 상인 심유붕의 점포 벽 위에서 한편의 奇文을 얻었는데

不著作人姓名 問所從得

작가의 성명이 드러나지 않았다. 가서 얻은 곳을 물었더니

沈云 收買於薊州市

沈은 "계주장에서 샀다." 고 말했다.

乃偕鄭謄之 而鄭所謄字句 多漏落

鄭군과 함께 베꼈으나 정군이 베낀 字句는 누락된 것이 많았다.

故就以補潤以成其篇

그러므로 처소로 가서 보충하고 윤문하여 작품을 이루었다.”

又繼之以跋 以爲是華人罵人之狐媚淸廷者也.

또 이어서 跋文하여, 이는 중화인이 사람들이 청나라 조정에 여우처럼 아첨함을 꾸짖은 것이다.”라고 여겼다.

然以余觀之 蓋沈舖所在者 卽稗官小說數行之文

그러나 내가 보건대, 대개 沈의 점포에 있는 것은 곧 패관소설 몇 행의 글이었으나

而先生認爲前明遺民之所托 遂推演以爲大篇耶?

연암 선생이 고의로 앞의 명나라 유민이 가탁한 것으로 하여 드디어 퇴고하고 부연하여 대작을 만든 것인가 한다.

抑先生素嫉世俗僞儒之無實行好苛論者.

아니면 선생이 평소 세속의 엉터리 유학자들이 실행은 없고 지독한 논쟁을 좋아하는 이들을 미워하거나,

及見其文 有感於中

이 글을 보고 중간에서 느꺼움이 있어

遂乃因其題以作 而恐招謗怨 諉之華人耶?

드디어 제목을 지음으로 인하여 비방과 원망을 부를까 두려워하여 이를 중화인에게 위탁함인가?


或謂先生旣已明言 爲中國人所作

혹은 말하기를, 선생이 이미 밝혀 중국인 작품이라고 말했다면

則今不可歸之先生. 是殆不然

지금 그것을 선생에게로 돌릴 수는 없다고 하지만 이것은 아마 그렇지 않을 것이다.

夫是文雖似胠篋盜跖等篇之誕妄

대개 이 작품이 비록 거협 도척 등 편의 허탄하고 망령됨은 같으나

而其體裁之奇古 辭氣之俊傑

그 체재의 기이하고 고고함과 어조의 준걸함은

直與先秦諸子竝驅 而爭先.

곧바로 先秦 諸子百家와 함께 달려도 앞을 다툰다.

若曰中國人作 必在於一代之一二文章大家

만약 중국인 작품이라고 한다면 한 시대의 한두 문장가에 있지

非三家村中無名之士之所可擬議

산골 마을의 이름없는 선비가 모방하고 논의할 바는 아니나

而今攷有淸諸文集 未嘗有此 此一也.

지금 청나라 여러 문집을 고구해도 이 작품이 없었으니 이것이 첫째 이유다.


且又使是文 眞出於中國人 先生修而雅之

또 설사 이 작품이 진짜로 중국인에게서 나왔다 치더라도 선생이 다듬고 전아하게 했다면

則卽是先生之文 而不復繫中國人 此二也.

곧 선생의 것이지 다시 중국인에 연계되지 아니하니, 이것이 둘째 이유다.

其中五行定位 未始相生

작품 가운데 "五行은 定位요 처음부터 相生함이 없다."는 것은

卽先生平日所常持之新論 而無於古者 此三也.

선생이 평소 늘 가졌던 새로운 논의요 옛날에는 없었으니 이것이 셋째 이유다.


又其衰[縗]服者 不食一句 卽本國之諺也.

또 "상복 입은 이는 잡아먹지 않는다."는 한 구절은 곧 우리나라 속담이다.

余疑中國亦或有此諺 試叩之淮南文士 皆以未聞答之

나는 중국에도 혹시 이러한 속담이 있는가 하여 시험삼아 회남 문사들에게 물었으나 모두 듣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此又可知其爲先生之作者 四也.

이것이 또한 선생이 작자임을 알수 있는 네번째 이유다.

世之覽者 或以爲然否? 澤榮識

세상의 독자들은 그렇다고 여기지 않겠는가? 택영 적다.

 





'한문학 > 연암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생후지1  (0) 2008.09.07
옥갑야화  (0) 2008.09.07
호질후지(虎叱後識)  (0) 2008.09.07
박지원(朴趾源), 허생전(許生傳)/ 이용, 후생, 정덕, 현실비판  (0) 2008.08.05
박지원, 虎叱(호질)  (0) 2008.08.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