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VJELz61FKJU

 

 

https://www.youtube.com/watch?v=_lhtc0i0foU

 

 

 

乃作楊柳詞其詩曰 :

내작양류사기시왈

 

이에 양류사楊柳詞를 지었는데, 그 시에 일컫기를.

 

楊柳靑如織 양류청여직

長條拂畵樓 장조불화루

願君勤種意 원군근종의

此樹最風流 차수최풍류

楊柳何靑靑 양류하청청

長條拂綺楹 장조불기영

願君莫攀折 원군막반절

此樹最多情 차수최다정

 

수양버들이 푸르러 베 짜는 듯하니

긴 가지 그림 그린 누각에 떨쳤구나.

이 나무가 가장 풍류 있으니

그대는 부지런히 심기 바란다.

수양버들이 자못 이리 푸르고 푸르니

긴 가지가 비단 기둥에 떨쳤구나.

이 나무가 가장 정이 많으니

그대는 휘어잡아 꺾지 말기 바란다.

 

詩成浪詠一遍, 其聲淸亮豪爽,

시성랑영일편 기성청량호상

宛若扣金擊石, 一陣春風吹其餘響,

완약구금격석 일진춘풍취기여향

飄散於樓上.표산어루상

 

시가 완성되어 낭랑하게 한 번 두루 읊조리니,

그 소리가 맑고 깨끗하며, 호탕하고 시원스러워서,

마치 쇠를 두드리고 돌을 치는 것 같았는데,

한줄기 시원한 봄바람이 그 소리의 울림을 불어 내니 누각 위에서 흩어졌다.

 

https://kydong77.tistory.com/4573?category=487434

 

구운몽 9

구운몽 9 自楊處士作仙之後, 母子相依經過日月, 자양처사작선지후 모자상의경과일월 少游才過數年才名藹蔚, 本郡守以神童, 소유재과수년재명애울 본군수이신동 薦于朝而少游, 以親老爲辭不��

kydong77.tistory.com

少游拜辭母親, 以三尺書童一匹蹇驢,

소유배사모친 이삼척서동일필건려

取道而行, 行之累日 至華州華陰縣,

취도이행 행지루일 지화주화음현

距長安已不遠矣.거장안이불원의

 

소유가 모친께 하직하고

석자 키의 글 배우는 아이와 한 필의 다리 저는 당나귀를 거느리고

길을 떠나 가기를 며칠 걸려 화주華州의 화음현華陰縣에 이르렀는데

장안長安과는 과히 멀지 않은 거리였다.

 

山川風物一倍明麗, 以科期尙遠 日行數十里,

산천풍물일배명려 이과기상원 일행수십리

或訪名山或尋古跡, 客路殊不寂寥矣.

혹방명산혹심고적 객로수부적료의

 

산천 풍물이 한결 맑고 고우며

과거날도 아직 멀리 남아 있어, 하루 수십 리씩 가며 혹은 명산을 찾아보고,

혹은 고적을 더듬다 보니 객지 길이 유별나게 적막하지는 않았다.

 

 

忽見一區幽庄, 近隔芳林 嫩柳交影 綠烟如織,

홀견일구유장 근격방림 눈류교영 록연여직

문득 살펴보니 한 곳에 그윽한 별장別莊이 있는데,

가까이로는 향기로운 수풀이 닿아 있고,

연약한 버들 그림자가 서로 엉켜 푸른 연기는 비단을 짠 듯하며,

中有小樓 丹碧照耀, 蕭灑遼夐幽致可想.

중유소루 단벽조요 소쇄요형유치가상

 

그 속에 작은 다락집이 있는데,

붉으락푸르락 맑게 비쳐 빛남이

아득히 멀어 그 그윽함이 상상의 극치에 이를 만 하였다.

 

遂垂鞭徐行進以視之, 則長條細枝拂地嫋娜,

수수편서행진이시지 즉장조세지불지뇨나

 

若美女新浴, 綠髮臨風自梳, 可愛亦可賞也,

약미녀신욕 록발임풍자소 가애역가상야

 

드디어 말채찍을 드리우고 천천히 걸어 다가가서 그것을 보니,

긴 가지 짧은 가지가 땅에 얽혀 하늘거리는 품이

마치 미녀가 새로 목욕하고

검은 머리가 바람에 휘날리어 저절로 빗질되어지는 것 같아

또한 가히 아름답고 구경할 만하므로,

少游手攀柳絲, 躕踟不能去歎賞曰 :

소유수반류사 주지불능거탄상왈

 

소유가 버들가지를 휘어잡고

머뭇거리며 능히 더 나아가지 못하고 구경하면서 매우 탄복하여 말하기를,

 

“吾鄕蜀中雖多珍樹, 曾未見裊裊千枝,

오향촉중수다진수 증미견뇨뇨천지

毶毶萬縷若此柳者也.”

참참만루약차류자야

 

“내 고향 촉蜀 안에도 비록 진귀한 나무가 많으나,

천 가지가 나긋나긋하고

만 가지 실들이 너울거리는, 이런 버들은 일찍이 본 적이 없구나.”

 

乃作楊柳詞其詩曰 :

내작양류사기시왈

이에 양류사楊柳詞를 지었는데, 그 시에 일컫기를.

 

楊柳靑如織 양류청여직

長條拂畵樓 장조불화루

願君勤種意 원군근종의

此樹最風流 차수최풍류

楊柳何靑靑 양류하청청

長條拂綺楹 장조불기영

願君莫攀折 원군막반절

此樹最多情 차수최다정

 

수양버들이 푸르러 베 짜는 듯하니

긴 가지 그림 그린 누각에 떨쳤구나.

이 나무가 가장 풍류 있으니

그대는 부지런히 심기 바란다.

수양버들이 자못 이리 푸르고 푸르니

긴 가지가 비단 기둥에 떨쳤구나.

이 나무가 가장 정이 많으니

그대는 휘어잡아 꺾지 말기 바란다.

 

詩成浪詠一遍, 其聲淸亮豪爽,

시성랑영일편 기성청량호상

宛若扣金擊石, 一陣春風吹其餘響,

완약구금격석 일진춘풍취기여향

飄散於樓上.표산어루상

 

시가 완성되어 낭랑하게 한 번 두루 읊조리니,

그 소리가 맑고 깨끗하며, 호탕하고 시원스러워서,

마치 쇠를 두드리고 돌을 치는 것 같았는데,

한줄기 시원한 봄바람이 그 소리의 울림을 불어 내니 누각 위에서 흩어졌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4573?category=48743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blog.daum.net/leejh1938/18344345

 

楊柳詞(양류사) 양류사-琴恪(금각)

楊柳詞(양류사) 양류사-琴恪(금각) 送君心逐光風去 송군심축광풍거 去掛江頭綠柳枝 거괘강두록류지 綠柳能知心裏事 록류능지심리사 煙絲强欲繫郎衣 연사강욕계낭의 당신을 보낸 아쉬움에 내

blog.daum.net

 

楊柳詞(양류사) 

琴恪(금각)

 

送君心逐光風去 송군심축광풍거

去掛江頭綠柳枝 거괘강두록류지

綠柳能知心裏事 록류능지심리사

煙絲强欲繫郎衣 연사강욕계낭의

 

당신을 보낸 아쉬움에 내 마음 따사론 봄바람 쫓아가다가

강가 푸른 버드나무 가지에 걸렸네.

버드나무 내 마음 다 알겠거니

실버들이여, 억지로라도 님의 옷자락 잡아다오.

 

스승인 許篈[허봉]의 딸을 연모 하면서 지은 시라고 전해진다.

 

琴恪(금각 1569-1586 본관 봉화(奉化)  彦恭(언공) 許篈[허봉]의 애제자 였고 許筠[허균] 詩友이었는데 18세의 어린나이로 요절했다고만 알려져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uN3JcIcAMg

 

'고전문학 > 구운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중, 구운몽 총정리/ 임명덕 한문소설전집  (0) 2020.06.30
김만중, 구운몽 96회  (0) 2020.06.30
김만중, 구운몽 1회  (0) 2020.06.30
구운몽 96회/ 최종회  (0) 2011.04.09
구운몽 95회  (0) 2011.04.09

'고전문학 > 구운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중, 楊柳詞/ 구운몽 9  (0) 2020.07.01
김만중, 구운몽 96회  (0) 2020.06.30
김만중, 구운몽 1회  (0) 2020.06.30
구운몽 96회/ 최종회  (0) 2011.04.09
구운몽 95회  (0) 2011.04.09

 

 

 

 

https://www.youtube.com/watch?v=tKrGbvhX6Qw

 

 

 

96회 /449. [쪽수는 임명덕본 원문]

大師曰 “善哉! 善哉!

대사왈 “선재! 선재!

대사 가로되,

“선재, 선재(善哉)라.

汝等八人也 至誠如此 寧不感動.”

여등팔인야 지성여차 녕불감동.”

너희 팔인이 지성이 이 같으니 어찌 감동치 않으랴.”

遂引上法座 講說經文

수인상법좌 강설경문

드디어 법좌에 올라 경문을 강론하니,

白毫光射世界 天花下如亂雨

백호광사세계 천화하여난우

백호(白毫) 빛이 세계에 비치고

하늘 꽃이 어지러운 비같이 내리더라.

說法將畢 乃誦四句之偈

설법장필 내송사구지게

설법함을 장차 마치려 하여

네 구 게송을 송(誦)하였다.

性眞及八尼姑 皆頓悟本性 大得寂滅之道.

성진급팔니고 개돈오본성 대득적멸지도.

성진과 팔 비구는 모두 본성을 돈오하여

크게 적멸지도를 얻었다.

大師見性眞戒行純熟 乃會衆弟子 乃言曰

대사견성진계행순숙 내회중제子 내언왈

대사는 성진의 계행(戒行)이 높고 순숙(純熟)함을 보고

이에 대중제자들을 모으고 말했다.

“我本爲傳道 遠入中國 今旣得傳法之人 我今行矣.”

“아본위전도 원입중국 금기득전법지인 아금행의.”

“내 본디 전도(傳道)함을 위하여 멀리서 중국에 들어왔더니,

이제 정법을 전할 사람을 이미 얻었으니 나는 이제 떠나가노라.”

以袈裟及一鉢淨甁錫杖金剛經一卷

이가사급일발정병석장금강경일권

가사와 바리와 정병(淨甁)과 석장과 금강경 한 권을

給性眞 遂向西天而去.

급성진 수향서천이거.

성진에게 주고 드디어 서천(西天)으로 떠나갔다.

此後性眞率蓮花道場大衆 大宣敎化

차후성진솔연화도장대중 대선교화

이후에 성진이 연화 도량 대중을 거느려

크게 교화(敎化)를 베푸니,

仙與龍神 人與鬼物 尊重性眞如六觀大師

선여용신 인여귀물 존중성진여육관대사

신선과 용신과 사람과 귀신이

한 가지로 존숭(尊崇)함을 육관대사와 같이하고

八尼姑皆師事性眞 深得菩薩大道 畢竟皆歸於極樂世界.

팔니고개사사성진 심득보살대도 필경개귀어극락세계.

여덟 비구니가 모두 성진을 스승으로 섬겨

깊이 보살 대도를 얻어

필경에는 모두 극락세계에 귀의하더라.

嗚呼異哉!

오호이재!

아, 신이롭도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42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고전문학 > 구운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중, 楊柳詞/ 구운몽 9  (0) 2020.07.01
김만중, 구운몽 총정리/ 임명덕 한문소설전집  (0) 2020.06.30
김만중, 구운몽 1회  (0) 2020.06.30
구운몽 96회/ 최종회  (0) 2011.04.09
구운몽 95회  (0) 2011.04.09

 

 

 

https://www.youtube.com/watch?v=p06xY9wawMk

 

 

 

[은자주]<구운몽>의 한문과 국역 대역을 통하여 작품을 정독할 기회를 갖기로 한다.

회수의 구분과 번역은 정열님의 것을 차용하였다. 현재 80회분을 탑재했는데 이 글이

그 부분에 이르면 나머지 부분도 원문과 번역이 탑재되기를 기대한다.

아래는 정열님의사이트 주소다.

http://www.cyworld.com/yulchung/2757763

九雲夢구운몽 01

天下名山曰有五焉, 東曰東嶽卽泰山, 西曰西嶽卽華山

천하명산왈유오언 동왈동악즉태산, 서왈서악즉화산

천하에 다섯 명산이 있으니, 동에는 동악東嶽, 즉 태산泰山이고,

서에는 서악西嶽, 즉 화산華山이며,

南曰南嶽卽衡山, 北曰北嶽卽恒山, 中央之山曰中嶽卽崇山,

남왈남악즉형산 북왈북악즉항산 중앙지산왈중악즉숭산

남에는 남악南嶽, 즉 형산衡山이고, 북에는 북악北嶽, 즉 항산恒山이며

한가운데는 중악中嶽, 즉 숭산崇山으로

此所爲五岳也.

차소위오악야

오악五岳이라 불렀다.

五岳之中, 惟衡山距中土最遠, 九疑之山在其南,

오악지중 유형산거중토최원 구의지산재기남

이 오악 중에 오직 형산만이 중토中土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구의산九疑山이 그 남쪽에 있고,

洞庭之湖經其北, 湘江之水環其三面,

동정지호경기북 상강지수환기삼면

동정호洞庭湖가 그 북쪽을 지나며,

소상강瀟湘江물이 그 삼면을 둘러 있는데,

若祖宗, 儼然中處而子孫, 羅立而拱揖焉.

약조종 엄연중처이자손 라립이공읍언

마치 조상을 의연하게 그 가운데 모시고, 자손들이

그 주위에 벌려 서서 손을 모아 공손히 읍揖을 하는 형상 같았다.

七十二峰, 惑騰踔而矗天, 惑嶄巖而截雲,

칠십이봉 혹등탁이촉천 혹참암이절운

일흔두 봉우리가 혹은 곧추서서, 하늘을 떠받치고,

혹은 깎아 세운 묏부리가 구름을 자르니,

如奇標俊彩之美丈夫, 皆秀麗淸爽, 無非元氣所鍾也.

여기표준채지미장부 개수려청상 무비원기소종야

현란한 미장부美丈夫처럼 온몸이 수려하고 청상하여, 기운이 뭉친 바 아님이 없었다.

其中最高之峯, 曰祝融, 曰紫盖, 曰天柱, 曰石廩,

기중최고지봉 왈축융 왈자개 왈천주 왈석름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봉우리는 축융祝融, 자개紫盖, 천주天柱, 석름石廩,

曰蓮花五峯也.

왈연화오봉야

연화蓮花의 다섯 봉우리였다.

其形擢竦其勢陟高, 雲翳掩其眞面, 霞氛藏其半腹,

기형탁송기세척고 운예엄기진면 하분장기반복

그 형세가 자못 가파르게 치솟고, 무척 높아서

구름이 그 낯을 가리고, 안개가 그 허리를 감싸고 있어,

非天氣廓掃日色晴朗, 則人不能得其彷佛焉.

비천기곽소일색청랑 즉인불능득기방불언

날씨가 청명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그 참모습을 볼 수가 없었다.

昔大禹氏治洪水, 登其上立石記功德,

석대우씨치홍수 등기상립석기공덕

옛적에 대우씨大禹氏께서 홍수를 다스리고

이 산에 올라 비석을 세워 공덕功德을 기록하였으니,

天書雲篆歷千萬高而尙存.

천서운전력천만고이상존

하늘 글과 구름 전자篆字가 천만 년을 지났는데도 아직 남아 있었다.

秦時仙女衛夫人, 修鍊得道 受上帝之職,

진시선녀위부인 수련득도 수상제지직

진秦나라 때에 선녀仙女 위부인衛夫人이 도를 닦아 깨친 다음, 옥황상제의 분부를 받들어

率仙童玉女永鎭此山,卽所謂南岳衛夫人也.

솔선동옥녀영진차산 즉소위남악위부인야

선동仙童과 옥녀玉女를 거느리고 이 산에 와 지키니 이른바 남악위부인南岳衛夫人이었다.

盖自古昔以來, 靈異之蹟 瓌奇之事 不可殫記.

개자고석이래 령이지적 괴기지사 불가탄기

예부터 그 영험한 자취와 기이한 일은 이루 다 기록하지 못할 것이다.

唐時有高僧, 自西域天竺國 入中國 愛衡山秀色,

당시유고승 자서역천축국 입중국 애형산수색

당唐나라때에 고승高僧 한 분이

서역천축국西域天竺國으로부터 중국에 들어와,

형산의 뛰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就蓮花峰上 ,結草庵而居,

취연화봉상 결초암이거

연화봉 위에 암자를 짓고 거처하며,

講大乘之法以敎衆生, 以制鬼神,

강대승지법이교중생 이제귀신

대승불법을 강론하여 중생을 가르치고, 귀신의 발호를 막아내니

於時西敎大行皆敬信, 以爲生佛復出於世.

어시서교대행개경신 이위생불부출어세

불교가 크게 행해지고 사람들이 모두 존경하여 믿으며

그를 가리켜 '생불生佛이 다시 세상에 나셨다.'고 말하였다.

其和尙惟手持金剛經一卷, 惑稱六如和尙, 或稱六觀大師,

기화상유수지금강경일권 혹칭육여화상 혹칭육관대사

그 화상은 다만 금강경金剛經 한 권만을 지녔는데,

혹은 육여화상六如和尙 혹은 육관대사六觀大師라고도 불렀으며,

弟子五六百人中, 修戒行得神通者三十餘人.

제자오육백인중 수계행득신통자삼십여인

제자 오륙백 인 가운데 계행戒行을 닦아 신통한 자는 삼십여 인이었다.

有小闍利名性眞者, 貌瑩氷雪神凝秋水, 年才二十歲三莊經文無不通解,

유소사리명성진자 모형빙설신응추수 년재이십세삼장경문무불통해

한 나이 어린 중이 있었는데, 이름은 성진性眞으로,

그는 얼굴이 영롱한 빙설氷雪같고 정신이 가을 물같이 맑아서,

나이 겨우 이십 세에 삼장경문三莊經文을 다 익혀 모르는 것이 없었고,

聰明知慧卓出諸髡, 大師極加愛重, 將欲以衣鉢傳之.

총명지혜탁출제곤 대사극가애중 장욕이의발전지

총명과 지혜가 여러 중들 가운데서 훨씬 뛰어나니,

대사가 지극히 애중愛重하여 장차 그에게 의발衣鉢을 전하고자 하였다.

大師每與衆弟子講論大法, 洞庭龍王化爲白衣老人, 來參法席味聽經文,

대사매여중제자강론대법 동정용왕화위백의노인 내참법석미청경문

대사가 매양 뭇 제자들과 더불어 대법大法을 강론할 때,

동정호의 용왕이 흰 옷차림의 노인이 되어,

그 법석法席에 참여하여 경문經文을 음미하며 들였다.

 

https://kydong77.tistory.com/5544

 

노존본이 구운몽의 원본이다

인터넷에 <구운몽> 원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어 정규복의 저서를 원용해 이를 밝힌다. 그 원전이 한문본이냐, 한글본이냐 하는 것은 한국적 문화의 수치에 속한다. 한문본 노존본이 김만중의 �

kydong77.tistory.com

인터넷에 <구운몽> 원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어 정규복의 저서를 원용해 이를 밝힌다. 그 원전이 한문본이냐, 한글본이냐 하는 것은 한국적 문화의 수치에 속한다. 한문본 노존본이 김만중의 초본이다. 이를 정리해 메모하면 아래와 같다.

정규복, 구운몽 원전의 연구, 일지사,1977.

<구운몽> 한문본 20여종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한글본은 한문본의 국역본임을 밝혔다.

한문본

I. 노존본: [원본]

II. 을사본:영조원년(1725)

III. 계해본: 순조3년(1803)

정규복,九雲夢「老尊本」에 대하여,文化財管理局藏書閣

 

국역본의 계열

I. 경판본-노존본 계열

II. 완판본-을사본 계열

III. 석헌본 -상권:을사본 계열, 하권:노존본 계열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554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고전문학 > 구운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중, 구운몽 총정리/ 임명덕 한문소설전집  (0) 2020.06.30
김만중, 구운몽 96회  (0) 2020.06.30
구운몽 96회/ 최종회  (0) 2011.04.09
구운몽 95회  (0) 2011.04.09
구운몽 94회  (0) 2011.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