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주문(呪文)은 산스크리트어(영어의 뿌리)

산스크리트어> 한자 음역> 한글 독음, 따라서 한자나 한국어로는 그 의미를 알 수 없음.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 주소서.)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산스크리트어 한역)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한자음 한국어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가라. 가라. 
paragate            피안으로 건너가라.
parasamgate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bodhi svaha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게 하소서.

* bodhi > 보리(菩提) - 불타 정각(正覺)의 지혜. 

* svaha - 기독교의 기도 끝에 붙이는 아멘과 같은 주문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게 하소서.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223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www.youtube.com/watch?v=xeEJxT9GhnM

 

 

극락전 앞의 이 등은 영가의 극락왕생을 비는 연등으로 백색뿐이었는데 기호에 따라 현란한 색등도 다는감?

 

                                                                                     △ 4천왕상

 

https://www.youtube.com/watch?v=ne4Q92MqNfA

 

 

                                                                                      △ 관세음보살

 

 

https://www.youtube.com/watch?v=gG0JgUyObRc

 

 

 

https://www.youtube.com/watch?v=Hx0oK9V4cgM

 

https://www.youtube.com/watch?v=h8V3bm8ioGM

 

https://www.youtube.com/watch?v=ne4Q92MqNfA

 

 

     △ 경복궁 광화문 앞의 경주 황룡사 9층석탑 모형

 출생년도

여느 고대 종교 창시자와 마찬가지로, 석가모니가 태어난 해가 정확하게 언제인지는 딱 잘라서 말할 수가 없다. 여러 경전들이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석가모니 부처의 사망 당시 나이가 80세였다는 것이다.

남방불교에서는 기원전 624-기원전 544년, 북방불교에서는 기원전 1026-기원전 949년으로 보아 그 차이가 대단히 크다. 학자들의 연구에서는 기원전 560-기원전 480년 / 기원전 460- 기원전 380년 설이 있다.[33] 와타나베 쇼코는 불타 석가모니에서 기원전 560년 무렵이라는 데에 세계 학자들의 의견이 유력하게 모인다고 설명했다. 이때 딱 '기원전 560년'이 아니라 '기원전 560년 무렵'이라고 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원전 560년을 전후로 몇 년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 대충 그 정도라는 뜻이다. 한스 볼프강 슈만(Hans Wolfgang Schumann) 같은 서양의 불교학자들은 석가모니의 생몰년을 대체로 기원전 563년 - 기원전 483년이라고 보지만, 이러한 추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주류 학설과는 100년 넘게 다른 연도를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동북아시아에서는 석가모니의 탄생 날짜를 한중일 삼국 똑같이 4월 초파일(음력 4월 8일)로 보고 기념하는데, 인도 달력으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와타나베 쇼코에 따르면 석가모니가 어머니의 태 안에 들어간 시기, 즉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 부인이 '흰 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었던 것이 '베샤카 달의 보름날'[34]이라고 한다. 겨울이 지나고 봄빛이 무르녹을 때쯤으로 4월 그믐께쯤 되는데, 이로부터 열 달 뒤에 석가모니가 태어났다고 한다면 양력으로 3월 초순이다.

 
 

 자등명 법등명(自燈明 法燈明)/ 80세 붓다의 유언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507130001891

 

[단독] 尹 "부부동반 만나자"... 유화 제스처에도 李 "위기모면용은 안돼" | 한국일보

[영수회담 막전막후]

m.hankookilbo.com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43014120000270?rPrev=A2024050507130001891

 

"이재명, 싸우려고 나온 줄 알았다"… '대리공격' 나선 국민의힘 | 한국일보

"이재명 대표가 싸우려 나온 줄 알았다." (김용태 국민의힘 경기 포천가평 당선자) 30일 국민의힘은 전날 영수회담 결과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날 선 반응을 보였다. 회담 배석자였던 진성

m.hankookilbo.com

윤재옥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면서 "모처럼 성사된 귀중하고 의미 있는 자리를 어느 한쪽의 정치적 목표가 달성되지 않았다고 해서 폄훼하고 평가 절하해서야 더 나은 다음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거부한 민주당의 1인당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 "과학적 근거나 사회적 합의 없이 단순히 정치적 이유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정부로선 무책임한 일"이라고 엄호했다. 유상범 의원도 SBS라디오에서 "굉장히 정치적으로 쟁점화되고 정쟁으로 활용되는 의제들이 많다"며 "자기가 총선에서 승리한 거대야당의 대표라는 존재감을 보이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TE_rTrcnVc

 

 

https://www.youtube.com/watch?v=bgWT5SpWRHo

 

 

https://www.youtube.com/watch?v=n-iqRQX6Vv8

 

 

https://www.youtube.com/watch?v=w-mV7KVoQV8

 

 

https://www.youtube.com/watch?v=0yxcuDbxypg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235

 

'한동훈식'에서 '우병우식'으로…민정수석 되살린 윤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윤석열 대통령이 예상대로 민정수석실을 되살리고 김주현 전 대검찰청 차장을 수석으로 임명했다. 물론 '민심 청취 기능 강화'를 명분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야권은 일제히 검찰을 비롯한 사정

www.mindlenews.com

 

 

https://www.youtube.com/watch?v=8Etl7ns5cow

 

 

https://www.youtube.com/watch?v=s2YvLKRaejc

 

효제충신예의염치는 仁을 실현하는 실천유학이었다.

송대에 이르러 무이산에 거처를 정한 주희는 유학을 철학화한 理氣철학을 정립한다.

송시열은 주자학을 조선에 받아들이는 한편 그의 삶은 주희를 모델로 했다.

화양구곡이 그것인데, 충북 영동 월류봉 아래에도 그의 서당터였었다고 유허비를 세웠다. 천하절경이라는 말씀.

유학에는 사후 세계에 대한 이상향으로 신선들이 산다는 명산대천을 꼽았다.

경치좋은 곳은 유학자들의 이상향이었고 이이(李珥) 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는 연시조로 모두 10수로 되어 있다. 그가 해주 수양산 밑 고산면에 은거했을 때 주자(朱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떠서 그 곳 경치를 관암(冠巖)·화암(花巖) 등 9곡으로 나누어 읊은 것이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898

 

송시열(宋時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송시열은 조선 후기 효종~숙종 대 문신이이자 학자로서 김장생·김집의 제자이며, 주희와 이이의 학문을 모범으로 삼았다. 효종 대 중국 청나라에 대한 복수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북벌에 동참하였고, 현종 대 화양동을 비롯한 고향에 은거하며 존주대의의 확립에 힘썼다. 숙종 대 초반 예송의 책임을 지고 유배 생활을 겪은 뒤, 경신환국 이후 다시 출사하여 조선중화주의의 실현에 앞장섰다. 그러나 원자 정호를 반대한 이유로 기사환국 때 사사되었다.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 우재(尤齋) · 문정(文正)이다. 아버지는 강릉참봉(康陵參奉)을 지낸 송갑조(宋甲祚), 어머니 선산곽씨(善山郭氏)는 임진왜란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에서 전사한 곽자방(郭自防)의 딸이다. 1607년(선조 40) 외가인 충청도 옥천 구룡촌(九龍村)에서 태어났다.

수학 과정

1613년(광해군 5) 곽지인(郭志仁)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이듬해부터 3년간 회덕(懷德) 송촌(宋村) 송이창(宋爾昌)의 집에 머물며 그 아들 송준길(宋浚吉)과 함께 『 소학(小學)』과 『 가례(家禮)』 등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주1에게 배사(拜謝)주2한 일로 금고(禁錮)주3되어 집으로 돌아온 아버지에게 『 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을 배우며 주희(朱熹)와 이이(李珥)의 학문을 모범으로 삼았다. 1625년(인조 3) 이색(李穡)의 후손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결혼하였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맏형 송시희(宋時熹)와 자형(姊兄) 윤염(尹爓)을 잃었다.

1630년(인조 8) 연산(連山)의 김장생(金長生) · 김집(金集) 부자에게 종유주4하며 본격적인 학문의 길에 들어선 뒤, 1632년(인조 10) 회덕으로 이사하여 송준길과 함께 강학주5에 전념하였다. 1633년(인조 11) 생원시에서 이이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근거하여 성리학적 우주론을 해명한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로 장원을 차지하였다.

1636년(인조 14) 인조의 둘째 아들 봉림대군주6의 사부(師傅)가 되어 『주역(周易)』과 『서경(書經)』을 가르쳤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였다. 삼전도의 항복으로 전쟁이 끝나자 고향으로 물러나 은거하며 평생토록 산림(山林)으로 자처하였다.

정치사상

송시열은 주나라의 예악문물(禮樂文物)로 상징되는 유교 문명의 계승[존주(尊周)] 및 송대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 사상의 수호[위주(衛朱)]를 평생의 과업으로 자임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이이의 성리설(性理說), 김장생의 예설(禮說), 김상헌(金尙憲)의 척화론(斥和論) 등의 영향 아래 형성된 것이지만, 금나라의 침략에 직면했던 남송 시기 주희의 학문에 기반하여 1644년 이후 만주족의 청나라가 중원을 차지한 동아시아 질서의 대변동 속에서 조선 왕조의 유교적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대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양란 후유증의 극복이라는 과제에 직면하였던 17세기 후반 조선의 상황 속에서, 송시열의 정치사상은 부자(父子)와 군신(君臣)의 유교적 인륜 질서를 근간으로 삼아 조선 사회의 기강을 바로잡고자 하는 내수(內修)의 이념과, 이적(夷狄)인 청나라의 침략으로 말미암은 남한산성의 치욕을 복수하고 붕괴된 중화(中華) 질서를 회복하려는 외양(外攘)의 염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의 내수외양론은 유교적 화이론(華夷論)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있었다. 중화를 높이고[존중화(尊中華)] 이적을 배척하는[양이적(攘夷狄)] 화이분별론은 중국 고대부터 존재해 왔는데, 중화와 이적을 구분하는 지역 · 혈통 · 문화 등 기준 가운데 후천적 · 가변적 요소인 문화를 가장 중시하였음이 유교적 화이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었다. 이때 문화란 예의(禮義)와 인륜(人倫)을 핵심으로 하는 유교 문명을 의미하였다.

송시열은 소중화(小中華)로 자부해 온 조선 왕조가 이적이 세운 청나라에 사대하게 된 병자호란 이후의 상황을 개탄하며, 천리(天理)의 실현이라는 성리학적 토대 위에서 청에 대한 복수설치(復讎雪恥)주29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금나라의 침략을 겪었던 남송대 주희의 학문을 새롭게 해석하며 17세기 조선 사상계의 전범으로 삼고자 하였다.

효종의 죽음과 남명(南明)주30의 멸망으로 중원 회복의 가능성이 사라진 현종 대에 들어서는 문화적 화이론에 입각하여 주나라로 상징되는 유교 문명의 부흥을 자신의 책무로 자임하였다. 특히 조선 왕조의 정체성을 유학의 의리론적 전통 위에 수립하려는 새로운 역사의식으로 표출되었다. 은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킨 기자(箕子)에 대한 존숭과 원나라에 신복(臣服)했던 고려 말의 역사에 대한 비판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태조비 신덕왕후의 부묘 및 단종 사육신 추숭을 통하여 태종 세조가 부자 및 군신 의리를 저버렸던 도덕적 과오를 바로잡고 조선 왕조의 의리론적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은 왕조의 차원을 넘어 유교 문명의 계승이라는 문제의식을 담은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으로 확대되었다. 임진왜란 때 원군을 파병하여 소중화를 지켜준 만력제(萬曆帝)주31와 나라가 망하자 자결을 선택한 숭정제주32의 의리를 추모하며, 북벌을 통해 화이분별의 의리를 실천하고자 했던 효종을 그 계승자로 설정한 유교 문명의 새로운 계보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명 멸망 이후 조선이 중화의 적통을 계승하였다는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의 이념은 명 멸망 60주년인 1704년(숙종 30)에 이르러 제자 권상하(權尙夏)가 화양동에 건립한 만력제와 숭정제의 사당 만동묘(萬東廟)를 통해 상징화되었다. 또한 같은 해 숙종이 창덕궁 북원(北苑)에 대보단(大報壇)을 건립하여 만력제에 대한 제사를 거행함으로써 조선 왕조의 국가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송시열의 조선중화주의는 그간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매몰된 관념적 · 비주체적 사대주의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명대의 정치와 문화 전반에 대하여 부정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황제 중심의 전제정치와 환관의 발호로 집약되는 명의 정치제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양명학(陽明學)이 주류를 이루던 명의 사상 역시 배척하였다.

아울러 “나는 평생 명나라의 글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단언하며 16세기 후반 이후 조선에 풍미하던 명의 문풍을 배격하고, 명 학자들의 예학 또한 주자의 본뜻과 어긋난다는 이유로 혹평하였다. 요컨대, 송시열의 중화주의는 혈통(한족) 또는 왕조(명나라)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 아니라, 예의를 핵심으로 하는 유교적 문화 가치에 대한 존숭 및 계승 의식을 의미하였다.

학술과 사상

송시열의 학문은 송대 신유학(新儒學)을 집대성한 주희에 대한 절대적 존신(尊信)에 기반하였다. 천리의 보편성과 인간의 도덕적 자각을 전제로 의리(義理)과 정통(正統)의 가치를 강조하였던 주희의 학문과 행적을 통하여, 양란 직후 조선 사회가 직면한 혼란을 극복할 전범(典範)을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특히 요순삼대(堯舜三代) 이후 유학의 종지(宗旨)가 공자(孔子) · 맹자(孟子) 이후 송대 도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었다는 주희의 도통론(道統論)을 충실히 계승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숙종 대 문묘 개혁에서 볼 수 있듯이 한 · 당 유학자들에 대한 배척으로 드러나는 한편, 주희를 비롯한 송대 학자들이 남긴 방대한 저술의 핵심을 요약하고 상호모순된 언설을 교감 ·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물로는 『주자대전(朱子大全)』 가운데 의심스럽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을 뽑아 해설을 덧붙인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이정전서(二程全書)』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한 『정서분류(程書分類)』, 주희 문인들이 기록한 『주자어류(朱子語類)』의 내용을 교감하여 재편집한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송 이방자(李方子)의 『주자연보(朱子年譜)』와 명 대선(戴銑)의 『주자실기(朱子實紀)』를 통합하여 정리한 『기보통편(紀譜通編)』, 이황(李滉)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와 정경세(鄭經世)의 『주문작해(朱文酌海)』를 합치고 보완한 『절작통편(節酌通編)』, 『논어』와 『맹자』에 대한 주희의 초기 견해를 조목별로 정리한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考)』 등이 있다.

한편, 송시열은 주자 이후 조선의 도학 전통을 정리하며, 고려 말 절의의 상징인 정몽주(鄭夢周)와 유교적 이상국가를 수립하려 했던 조광조(趙光祖)를 거쳐 이이와 성혼(成渾) 그리고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도통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이 · 성혼을 비롯하여 정철(鄭澈)과 조헌(趙憲) 등 16세기 후반 서인의 결집을 주도한 주요 인물들의 행적을 정리하며, 선조 대 동서분당(東西分黨) · 기축옥사(己丑獄事) · 임진왜란 당시 그들의 처신이 정당하였음을 옹호하였다. 이는 이황을 정점으로 삼아 학문적 정체성을 견고하게 다져오며 일원적 도통의식을 형성해 온 남인과 비교하여, 17세기 전반까지도 명확하지 못했던 서인의 학문 계보를 주자학적 도통관에 입각하여 정비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그 과정에서 이이의 입산(入山) 행적을 거론하며 그의 이기설(理氣說)을 가리켜 불교와 육상산(陸象山)주33의 영향을 받은 이단(異端)이라 규정한 남인들과 여러 차례 충돌하였다. 또한 주희의 경서 주석을 따르지 않았던 윤휴 사문난적(斯文亂賊)주34이라 지목하고, 윤휴에 대해 우호적 태도를 보인 친구 윤선거(尹宣擧)마저 주자학의 배신자로 비난한 일은 숙종 연간 노소 분기의 중요한 원인을 이루었다.

 

영동 송시열 유허비는송시열 선생이 서재를 짓고 강학하던 곳이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258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kydong77.tistory.com/21649

 

주희(朱熹),朱子十悔 & 武夷九曲歌/ 도연명, 桃花源記 & 歸去來辭

주희(朱熹), 朱子十悔 or 朱子十訓 不孝父母死後悔 (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후에 뉘우친다. 不親宗族疎後悔 (부친종족소후회) 종친들에게 친밀하밀 않으면 헤어진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2112

 

주희, 무이도가(武夷櫂歌)- 武夷九曲歌

https://kydong77.tistory.com/21649 주희(朱熹),朱子十悔 & 武夷九曲歌/ 도연명, 桃花源記 & 歸去來辭 주희(朱熹), 朱子十悔 or 朱子十訓 不孝父母死後悔 (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

kydong77.tistory.com

 

이이(李珥, 1537년 1월 17일(음력 1536년 12월 26일)~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https://kydong77.tistory.com/8117

 

高山九曲歌 10수 -율곡 이이

[무료] 계림 팔각채 http://blog.daum.net/guideman/14050397 무이산 http://blog.daum.net/guideman/14050453 장가계 천자산 http://blog.daum.net/guideman/14049890 화산잔도 http://blog.daum.net/guideman/14494709 [화면이 뜨지 않으면 제

kydong77.tistory.com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804

 

원문/전문 보기 - 高山九曲歌 (고산구곡가)

4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고 學朱子(학주자)를 리라.

www.davincimap.co.kr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D%B4

 

이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율곡이이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사람의 호와 이름을 딴 대한민국의 구축함에 대해서는 DDG-992 율곡이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이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축

ko.wikipedia.org

이이(李珥, 1537년 1월 17일(음력 1536년 12월 26일)~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관직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서인(西人)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이언적이황송시열박세채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하나다. 아홉 차례의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의 업적은 성리학에서의 이기일원론의 학문을 밝힌것으로 잘알려져있다.[3]

율곡 이이는 1536년 강원도 강릉부 죽헌동에 있는 외가인 오죽헌(烏竹軒)에서, 덕수 이씨 통덕랑 사헌부감찰 이원수와 평산 신씨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오죽헌 별채에서 태어났는데, 신사임당이 태기를 느끼게 된 계기가 흑룡이 바다에서 하늘로 오르는 꿈이었기 때문에, 나중에 그가 태어난 방은 몽룡실(夢龍室)이라 일렀고, 아이 때의 이름은 '현룡'(見龍)이라 지었다가 뒤에 이(珥)로 바꾸었다. 이후 경기도 파주에 자리한 본가로 와서 생활하였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648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고산구곡도는 이이가 정계에서 물러나 은거하였던 황해도 해주 고산면에 있는 석담구곡(石潭九曲)의 경치를 읊은「고산구곡가」를 그림으로 옮긴 것이다.

이이가 1569년(선조 2) 교리직(校理職)을 그만두고 해주 야두촌(野頭村)으로 물러갔을 때 경향 각지에서 그의 학문과 덕행을 흠모하던 선비들이 모여들었다. 이듬해 이이는 문인들과 고산의 석담을 돌며 구곡의 이름을 짓고 이 곳에 정착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리고 1575년(선조 8) 황해도 관찰사로 있다가 다시 석담으로 돌아와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