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mWcW3m564zg 

 

 

 

https://www.youtube.com/watch?v=Mo1Qpus1LKA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4318 

 

세계한민족문화대전

「배뱅이굿」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족의 전통적인 생활 풍습과 신앙 습속이 많이 담겨져 있다. 첫째, 옛날 민간에는 자식을 낳기 위해서는 부녀자들이 정성들여 신령에게 치성을 드리

www.okpedia.kr

조선족 사회에서 불리는, 조선서도 지방에서 전해진 민속 음악극의 한 형태.

개설

「배뱅이굿」은 원래 조선평안도 지방에서 창극으로 유행하였는데 19세기 말엽에 서도 소리꾼들 사이에서 오랜 구전 설화에 기초하여 창작된 것이다. 당시 평양을 중심으로 하여 활동하던 서도 명창인 김관준은 용강 일대에서 명창으로 소문났던 계장화로부터 전수받아 그 내용과 가락들을 보충하고 다듬어서 창극으로서의 「배뱅이굿」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은 김관준의 제자이며 평양의 이름난 소리꾼들인 최배뱅이로 불리운 최순경, 김배뱅이로 불리운 김종조, 평안북도의 유명한 소리꾼인 정배뱅이 등에 의하여 서도 지방에 널리 퍼지게 되다가 20세기 초에 중국 조선족의 이주와 더불어 연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 거주 지역에 전해지게 되었다.

「배뱅이굿」은 창사에 나오는 박수 무당의 형상을 통하여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들을 저주하고 풍자하고 있다. 「배뱅이굿」은 인형극, 가면극으로부터 창극으로 발전해 왔으며 불교도들의 불경, 무당들의 굿놀이, 당시의 생활 풍속과 세태 등을 아주 섬세하게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구성 및 형식

「배뱅이굿」의 예술적 특징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해학적 방법으로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다. 작품은 실현할 수 없는 배뱅이 사랑의 비극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비판 대상에 대한 조소를 작품의 주요한 예술수단으로 삼았다. 이로써 사건 엮음과 개성적인 인물 창조, 음악적인 운율과 절주가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고 있다.

「배뱅이굿」은 한 개인이 창작한 대본이 아니라 순전히 평안도 인민들에 의하여 집단적으로 창작된 작품으로서 음악적으로는 서도 민요의 「산념불」과 「엮음수심가」조와 결합되어 있다. 그것은 말과 노래, 춤과 행동을 배합시켜 혼자서 공연할 수 있는 예술 형태를 갖고 있다. 해학적이고 풍자적이며 폭로적이고 희극적인 요소를 가진 이 작품은 강한 극적 갈등을 통하여 소박한 비판적 사실주의를 보여주고 있다.

「배뱅이굿」은 판소리 음악 형태로 중국 조선족 사이에 전해졌는데 주요한 소리 단락으로는 ‘어화둥둥 내사랑아’, ‘팔도 무당의 굿’, ‘배뱅이 이제 왔나이다’, ‘박수무당 떠나간다’ 등으로서 「긴 염불」, 「잦은 염불」, 「황해도 배노래」, 「사설 난봉가」, 「어랑 타령」, 「강원도 아리랑」, 「창부 타령」, 「장타령」 등 민요 가락으로 소리를 이루었고 선율은 성태형으로 이루어지고 조식은 평조로 구성되었으며 자진모리 장단이 쓰이고 있다.

내용

「배뱅이굿」의 창사 내용을 개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옛날 서울 장안에 사는 리정승, 김정승, 최정승이 재산은 많으나 슬하에 일점 혈육이 없어 그 부인들이 명산대찰을 찾아가 아들딸을 낳아달라고 백일 기도를 드렸다. 과연 세 부인은 돌아오자 그날부터 태기가 있어 열 달 만에 모두 딸을 낳았다. 이정승의 딸 이름은 세월이요, 김정승의 딸 이름은 네월인데 최정승의 딸 이름은 백발 노인한테서 달비 한 쌍을 받아 치마폭에 배배틀어 싼 꿈을 꾸고 낳았다하여 ‘배뱅이’이라고 지었다. 배뱅이가 처녀로 자라니 최정승집은 예장감을 받고 딸을 약혼시켰다.

바로 이때 배뱅이는 동냥을 왔던 중과 연분이 들었다. 그 중은 절간으로 돌아가자 배뱅이는 상사병에 걸려 앓아 눕게 되었다. 중들이 이 사연을 알게 되어 계책을 꾸며가지고 싸리나무채 독을 걸어 그 속에 중을 넣어 배뱅이집 방구석에 감춰 두었다. 이리하여 그 중은 낮이면 채독 속에 숨고 밤이면 나와서 배뱅이와 사랑을 주고받았다. 그러다가 그 중이 황해도로 떠나 가서 소식이 없게 되니 배뱅이가 남몰래 그리워 하다가 앓아눕게 되고 나중에 죽고 말았다. 최정승네는 조선 팔도 무당을 죄다 불러들여 굿을 하였으나 어느 누구도 배뱅이 혼을 불러오지 못하였다.

바로 이때 파산한 사나이가 방랑을 하다가 술집 할멈한테서 배뱅이의 내막을 알아가지고 가서 가짜 박수 무당으로 자칭하고 최정승네의 예장감을 가져간다. 최정승과 그의 부인은 배뱅이 혼이 왔다고 울고불고했지만 방랑객 사나이는 신세를 고치고 좋아서 춤을 추며 돌아간다.

장동운이 정리한 민간 서사시 「배뱅이굿」은 서두까지 포함해서 모두 1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4.4조 운문의 형식을 하고 있다.

(서두)

어느 때의 옛말이냐/손을 꼽아 헤어보니/항간에서 전해 온 지/수백 년 전 일이로세/

장안이라 동네방네/가가호호 수백인데/그중에도 세 기와집/유다르게 있었다네/

어떤 사람 이야기는/내려앉은 승상들이/양반행실 지키느라/한데 모여 산다하고/

또한 사람 이야기는/동반인지 서반인지/가문 내력 모르지만/큰 부자라 말했는데/

앞집에는 이정승이/뒤집에는 김정승이/중간집은 최정승이/호화롭게 보냈다네/

사람마다 같지 않네/하는 얘기 여러 가지/오랜 세월 흘렀으니/성함 따져 무엇하리/

세대 수를 캐지 말고/무슨 사연 잠겼는가/안부인들 내막이나/선참으로 알아보세/

(14부분)

삼년 석달 열흘이라/배뱅이굿 끝났으니/속은 것은 누구이고/돈번 것은 누군가요/

세상에는 들고 꿰는/명무당이 없답니다/궁금할 때 헛일삼아/혼 부르는 굿이라오/

마감으로 박수무당/일확천금 얻은 재물/그 어대로 싣고 가나/떠나는 것 보고가세/

떠나간다 떠나간다/배뱅이 혼 떠나간다/에헹에헹 에헤헤야/박수무당 떠나간다/

잘 속았네 잘 속았네/배뱅이의 부모들이/에헹에헹 에헤헤야/감쪽같이 잘 속았네/

이번 굿에 돈번 것은/어느 누구 덕이더냐/이덕 저덕 따져봐도/술집 할멈 덕이로다/

[이하 생략]

 

 

https://www.youtube.com/watch?v=xTKUpiyD6cY

 

 

 

https://www.youtube.com/watch?v=1O1Pf0qcx_A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23692 

 

배뱅이굿 대가 국악인 이은관옹… 향년 97세 나이로 별세 - 뉴스포스트

[뉴스포스트=강은지 기자] 배뱅이굿의 대가 이은관(97)옹이 12일 오전 9시 20분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故이은관 선생은 1917년 강원도 이천에서 태어났다. 16세 때 황덕렬에게 서도소리를 배웠고,

www.newspost.kr

 

배뱅이굿의 대가 이은관(97)옹이 12일 오전 9시 20분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故이은관 선생은 1917년 강원도 이천에서 태어났다. 16세 때 황덕렬에게 서도소리를 배웠고, 19세에는 황해도 황주권번 소리선생 이인수에게 배뱅이굿을 사사했다.

이어 광복 후 대한국악원 민요부에서 활동했다. 이후 장소팔(1922~2002), 고춘자(1922~1994)와 함께 유랑 극단을 꾸려 서민들과 함께했다.

그는 1960년대 ‘태평가’ ‘아리랑’ ‘노래가락’ 등의 경기민요를 취입하고 라디오, 영화, TV 등에서 활약했다. 1968년 한국국악협회 감사, 1975년 한국국악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민속예술학원을 설립, 제자 양성에 힘을 쏟기도 했다.

또한 198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중 배뱅이굿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1990년 보관문화훈장, 2002년 제9회 방일영국악상을 받았다. 지난 2월 건강한 모습으로 SBS TV 예능프로그램 ‘스타킹’에 출연하기도 했다.

출처 : 뉴스포스트(http://www.newspost.kr)

 

 

https://www.youtube.com/watch?v=ys-0KVfUYmg 

 

 

https://www.youtube.com/watch?v=YJHzXKs0nxw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8F%84%EC%86%8C%EB%A6%AC

 

서도소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도(西道)소리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 즉 서도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잡가 등 관서(關西) 지방의 소리를 가리킨다. 1969년 9월 27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서도소

ko.wikipedia.org

서도소리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서도지역)에서 전승되던 민요나 잡가 등을 말하며, 언제부터 부르기 시작하였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서도소리는 평안도 민요와 황해도 민요서도잡가, 한시를 읊은 시창(詩唱)과 극적 구성을 띠고 있는 배뱅이굿이 있다.

평안도 민요에는 수심가엮음수심가긴아리자진아리안주애원성 등이 있는데, 조선 전기부터 서도지방 사람들의 벼슬길이 막히자 그 설움을 푸념으로 읊은 수심가가 가장 유명하다. 평안도 소리는 일반적으로 레, 미, 솔, 라, 도의 다섯 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떠는 음인 ‘라’에서 완전 5도 내려가는 것으로 선율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대체로 사설이 길며 장단도 일정하지 않아 적당히 사설에 맞추어 치는 것이 특징이다.

황해도 민요에는 긴난봉가자진난봉가병신난봉가사설난봉가산염불자진염불몽금포타령 등이 있는데 난봉가와 산염불이 유명하다. 황해도 소리는 평안도 소리와 함께 서도소리의 일반적인 선율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선율진행에 있어서는 조금 다르다. 또한 평안도 민요에 비하여 일정한 장단을 가지고 있으며, 밝고 서정적이다.

서도잡가는 서도입창에 반대되는 말로서 앉아서 부르는 소리이며, 공명가사설공명가초한가제전추풍감별곡 등이 있는데 이 중 공명가가 유명하다. 서도잡가는 긴 사설을 가지고 있으며, 장단은 노래말의 자수에 따라 불규칙적이다. 끝을 여밀 때는 반드시 수심가조로 끝나는 공통점이 있다.

서도소리의 가락은 흔히 수심가토리라고 하여 대개 위에서부터 질러내며, 위의 음은 흘려 내리고, 가운데 음은 심하게 떨며, 아래의 음은 곧게 뻗는 특이한 선율 진행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들 소리를 느긋하게 부르면 구슬픈 느낌을 주게 된다. 서도소리 창법은 좀 특이한데 속청과 본청이 있어서 속청은 속소리로 당겨서 직선타법으로 잘게 떠는 소리, 본청 같은 경우 두성과 뒷덜미로 당겨서 음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도소리는 예로부터 대륙과 인접한 거친 풍토에서 북방 이민족과 함께 겨루며 굳세게 살아온 서도지방민들의 생활속에서 면면이 이어져 내려온 소리로, 노랫가락에도 그들의 생활감정이 잘 드러나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세부 기·예능에는 수심가, 관산융마, 배뱅이굿이 있다. 배뱅이굿은 흔히 남도의 판소리와 비교되는 음악으로, 한 사람의 소리꾼이 장구 반주에 맞춰 배뱅이 이야기를 서도의 기본 음악 어법을 바탕으로 민요와 무가, 재담 등을 섞어 해학적으로 엮어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wW791UgtaXQ 

 

 

https://www.youtube.com/watch?v=xyZ2JciJsKI

 

 

https://www.youtube.com/watch?v=gUF2tMcf3Wk 

 

 

https://www.youtube.com/watch?v=RSJo2GjVbq8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9E%80%EC%B8%A0_%EC%8A%88%EB%B2%A0%EB%A5%B4%ED%8A%B8

 

프란츠 슈베르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빈에 위치한 슈베르트의 생가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독일어: Franz Peter Schubert, 1797년 1월 31일 ~ 1828년 11월 19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음악의 최고봉 중 한 사람이다. 관현악곡·교회 음악·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jGHg03V6NY8 

 

https://www.youtube.com/watch?v=KQnQYA2pq88

 

 

[세상풍경] 수원수구(誰怨誰咎), 어물전 정치판

https://www.youtube.com/watch?v=GDVaoqD5hFY 

 

 

https://www.youtube.com/watch?v=CiA-0CPVG4Y 

 

https://www.youtube.com/watch?v=uUlJ0nE4m_4 

 

https://m.khan.co.kr/view.html?art_id=201909092054005#c2b 

 

[속담말ㅆ·미]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

분수와 주제를 모르고 덩달아 남 따라 하면 끌끌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더니” 한소리 듣...

m.khan.co.kr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못난 사람일수록 같이 있는 동료를 망신시킨다는 뜻의 속담이다. 

어물전의 크고 잘 생긴 생선 사이에 작고 못생긴 꼴뚜기는 잘 팔리지도 않고, 다른 생선과 어울리지 않는 데서 생겨난 말이다.

꼴뚜기가 뛰니 망둥어가 뛴다고 해 비웃음을 산 정치인도 있다.

나원참. 못난 인간들.

꼴값하느라 생긴 대로 살아가는 물고기까지 조롱하다니. 천벌을 받을기여.

정치한다면서 국민이 하늘인 걸 모르나 봐. 요순시대부터 국리민복이 정치지도자의 기본덕목인데.

 

https://www.youtube.com/watch?v=qo7aVSUjy24 

 

 

www.youtube.com/watch?v=8AqYoYMurVY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11

 

십이가사(十二歌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십이가사의 특징은 ① 전통적인 가사보다 길이가 짧으며, ② 시조와 같이 음계는 대개 계면조(界面調)로 이루어지며 향제(鄕制)에 속하고, ③ 십이잡가와 같이 단조로운 가락의 반복이 많으며,

encykorea.aks.ac.kr

작품 대부분이 지은이·연대 미상이나 이 중의 「어부사(漁父詞)」만은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 것이다. 「수양산가(首陽山歌)」·「처사가(處士歌)」·「백구사(白鷗詞)」·「죽지사(竹枝詞)」·「춘면곡(春眠曲)」·「상사별곡(相思別曲)」·「어부사」·「행군악(行軍樂)」·「황계사(黃鷄詞)」·「권주가(勸酒歌)」·「양양가(襄陽歌)」·「매화타령(梅花打令)」을 말한다.

조선 중종 이후 선조 사이에 무르익어 향토적인 가락에 옮겨진 것으로 점잖고 유장한 맛이 있으며, 풍류적인 서정을 담고 있다. 이것은 정격(正格)과 변격(變格)의 두 형태로 구분되며, 십이잡가(十二雜歌)와 다른 점은 내용보다 창조(唱調)에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십이가사(十二歌詞))]

 

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23&pageNo=1_1_1_0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1호 경기12잡가 (京畿十二雜歌)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12잡가는 긴잡가라 하기도 하고, 좌창이라 하기도 한다.19세기경 발생한 장르로서 사계축 소리꾼들 사이에서 만들어져 불렸다. 역사적으로 조선말기에 공예인, 상인, 기녀들이 즐겨 불…

www.heritage.go.kr

 

초기 12잡가는 8잡가와 잡잡가로 구분되었는데

8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등이고,

잡잡가는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의 네 곡을 말한다.

이들을 12잡가로 묶은 것은 12가사의 영향인 것으로 본다.

현재 부르는 12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이다.

 

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35

 

가사 매화가(梅花歌)와 기생 - 이코노뉴스

[이코노뉴스=하응백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매화가’는 12가사의 하나이다. 사설은 민요풍이며 통속적이라 하며 격이 ...

www.econonews.co.kr

‘매화가’는 12가사의 하나이다. 사설은 민요풍이며 통속적이라 하며 격이 낮은 가사로 취급했지만, 대중적으로는 더 잘 알려져 ‘매화타령’이라고도 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www.youtube.com/watch?v=dHzcGGp3xs0

 

매화(梅花)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를 온다

옛 피었던 가지마다 피염즉도 하다마는

춘설(春雪)이 하 분분(紛紛)하니 필지말지 하노매라

북경가는 역관(譯官)들아 당사(唐絲)실을 붙임을 하자

맺세 맺세 그물을 맺세 오색당사(五色唐絲)로 그물을 맺세

치세 치세 그물을 치세 부벽루하(浮碧樓下)에 그물을 치세

걸리소서 걸리소서 정든 사랑만 걸리소서

물 아래 그림자 졌다 다리 위에 중이 지나를 간다

중아 중아 거기 잠깐 섰거라 너 가는 인편(人便)에 말 물어를 보자

그 중이 백운(白雲)을 가르치며 돈단무심만 하는구나

성천(成天)이라 통의주(通義州)를 이리로 접첨 저리로 접첨 개어 놓고

한 손에는 방추 들고 또 한 손에 물박 들고

흐르는 청수(淸水)를 드립더 덥석 떠서

이리로 솰솰 저리로 솰솰 출렁 축쳐

안 남산(南山)에 밖 남산(南山)에 개암을 심거라 못 다 먹는 저 다람

 

www.youtube.com/watch?v=tMszTQQmG80

 

 

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culture&id=&board_seq=45264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09 : 가사 매화가 / 좋구나 매화로다 / 경기민요 매화타령

1. 가사 매화가 / 전진경 노래퇴계 이황 선생은 평소에 매화를 무척 아꼈는데, 그가 세상 떠날 때 마지막 남긴 말씀도 ‘저 매화 화분에 물 주어라’였다고 한다. 이황 선생이 단양 군수였을 때

world.kbs.co.kr

 

www.youtube.com/watch?v=lyoMCT3WJm0

 

가사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헤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이 상사난이란다 *

안방 건너방 가루닫이 국화 새김에 완자문이란다 *

어저께 밤에도 나가 자고 그저께 밤에는 구경가고

무슨 염치로 삼승버선에 볼 받아 달라느냐 *

나 돌아감네 나 돌아감네 떨떨거리고 나 돌아가노라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헤

두견이 울어라 사랑도 매화로다

 

송소희, 매화타령 태평가

www.youtube.com/watch?v=NO8wj9e5ot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