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youtube.com/watch?v=8AqYoYMurVY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11

 

십이가사(十二歌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십이가사의 특징은 ① 전통적인 가사보다 길이가 짧으며, ② 시조와 같이 음계는 대개 계면조(界面調)로 이루어지며 향제(鄕制)에 속하고, ③ 십이잡가와 같이 단조로운 가락의 반복이 많으며,

encykorea.aks.ac.kr

작품 대부분이 지은이·연대 미상이나 이 중의 「어부사(漁父詞)」만은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 것이다. 「수양산가(首陽山歌)」·「처사가(處士歌)」·「백구사(白鷗詞)」·「죽지사(竹枝詞)」·「춘면곡(春眠曲)」·「상사별곡(相思別曲)」·「어부사」·「행군악(行軍樂)」·「황계사(黃鷄詞)」·「권주가(勸酒歌)」·「양양가(襄陽歌)」·「매화타령(梅花打令)」을 말한다.

조선 중종 이후 선조 사이에 무르익어 향토적인 가락에 옮겨진 것으로 점잖고 유장한 맛이 있으며, 풍류적인 서정을 담고 있다. 이것은 정격(正格)과 변격(變格)의 두 형태로 구분되며, 십이잡가(十二雜歌)와 다른 점은 내용보다 창조(唱調)에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십이가사(十二歌詞))]

 

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23&pageNo=1_1_1_0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1호 경기12잡가 (京畿十二雜歌)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12잡가는 긴잡가라 하기도 하고, 좌창이라 하기도 한다.19세기경 발생한 장르로서 사계축 소리꾼들 사이에서 만들어져 불렸다. 역사적으로 조선말기에 공예인, 상인, 기녀들이 즐겨 불…

www.heritage.go.kr

 

초기 12잡가는 8잡가와 잡잡가로 구분되었는데

8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등이고,

잡잡가는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의 네 곡을 말한다.

이들을 12잡가로 묶은 것은 12가사의 영향인 것으로 본다.

현재 부르는 12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이다.

 

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35

 

가사 매화가(梅花歌)와 기생 - 이코노뉴스

[이코노뉴스=하응백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매화가’는 12가사의 하나이다. 사설은 민요풍이며 통속적이라 하며 격이 ...

www.econonews.co.kr

‘매화가’는 12가사의 하나이다. 사설은 민요풍이며 통속적이라 하며 격이 낮은 가사로 취급했지만, 대중적으로는 더 잘 알려져 ‘매화타령’이라고도 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www.youtube.com/watch?v=dHzcGGp3xs0

 

매화(梅花)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를 온다

옛 피었던 가지마다 피염즉도 하다마는

춘설(春雪)이 하 분분(紛紛)하니 필지말지 하노매라

북경가는 역관(譯官)들아 당사(唐絲)실을 붙임을 하자

맺세 맺세 그물을 맺세 오색당사(五色唐絲)로 그물을 맺세

치세 치세 그물을 치세 부벽루하(浮碧樓下)에 그물을 치세

걸리소서 걸리소서 정든 사랑만 걸리소서

물 아래 그림자 졌다 다리 위에 중이 지나를 간다

중아 중아 거기 잠깐 섰거라 너 가는 인편(人便)에 말 물어를 보자

그 중이 백운(白雲)을 가르치며 돈단무심만 하는구나

성천(成天)이라 통의주(通義州)를 이리로 접첨 저리로 접첨 개어 놓고

한 손에는 방추 들고 또 한 손에 물박 들고

흐르는 청수(淸水)를 드립더 덥석 떠서

이리로 솰솰 저리로 솰솰 출렁 축쳐

안 남산(南山)에 밖 남산(南山)에 개암을 심거라 못 다 먹는 저 다람

 

www.youtube.com/watch?v=tMszTQQmG80

 

 

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culture&id=&board_seq=45264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09 : 가사 매화가 / 좋구나 매화로다 / 경기민요 매화타령

1. 가사 매화가 / 전진경 노래퇴계 이황 선생은 평소에 매화를 무척 아꼈는데, 그가 세상 떠날 때 마지막 남긴 말씀도 ‘저 매화 화분에 물 주어라’였다고 한다. 이황 선생이 단양 군수였을 때

world.kbs.co.kr

 

www.youtube.com/watch?v=lyoMCT3WJm0

 

가사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헤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이 상사난이란다 *

안방 건너방 가루닫이 국화 새김에 완자문이란다 *

어저께 밤에도 나가 자고 그저께 밤에는 구경가고

무슨 염치로 삼승버선에 볼 받아 달라느냐 *

나 돌아감네 나 돌아감네 떨떨거리고 나 돌아가노라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헤

두견이 울어라 사랑도 매화로다

 

송소희, 매화타령 태평가

www.youtube.com/watch?v=NO8wj9e5ot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