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極>兩儀> 四象>八卦

太極>兩儀> 四象>八卦

 

太極>兩儀> 四象>八卦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9705

 

팔괘(八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팔괘는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등을 상징한다. 그 명칭과 의미를 정약용(丁若鏞)은 [표]와 같이 도표화한 바 있다. [표] 팔괘의 명칭과 의미 八卦卦象卦德

encykorea.aks.ac.kr

역학(易學)에서 자연계와 인간계의 본질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유교기호.괘명.
내용
팔괘는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등을 상징한다. 그 명칭과 의미를 정약용(丁若鏞)은 [표]와 같이 도표화한 바 있다.
 
[표] 팔괘의 명칭과 의미
 
八卦卦象卦德人倫人品遠取近取物色器物雜物
一乾天 ###i:E0059705_A1508_1### 大赤 金玉
二坤地 ###i:E0059705_A1508_2### 衆人
三震雷 ###i:E0059705_A1508_3### 長男 君子
四巽風 ###i:E0059705_A1508_4### 長女 主人
五坎水 ###i:E0059705_A1508_5### 中男
六離火 ###i:E0059705_A1508_6### 中女 武人   甲胄
七艮山 ###i:E0059705_A1508_7### 少男 小人   門闕
八兌澤 ###i:E0059705_A1508_8### 少女   剛鹵
괘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이어진 선(─)과 끊어진 선(--)인데, 이것은 일종의 범주로서 서로 반대되는 모든 현상과 관계성을 상징한다.
『주역』에서는 강유(剛柔) 혹은 음양(陰陽)으로 불리는데, 후에 음효(陰爻, ――)와 양효(陽爻, ─)로 명명되었다. 음효와 양효가 세 개씩 겹쳐질 때 나타날 수 있는 경우가 모두 여덟 가지이기 때문에 팔괘가 성립되었다.
『주역』에는 팔괘 성립에 대해 세 가지의 해석이 나와 있다. “역(易)에는 태극(太極)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
“하늘이 신물(神物)을 낳았으니 성인이 그것을 본받았으며 하늘과 땅의 변화를 성인이 본받았다. 하늘이 상(象)을 드리우고 길흉을 나타내었으니 성인이 이것을 본뜨고, 하도(河圖)와 낙서(洛書)가 나오니 성인이 이것을 본받았다.”
“옛날 포희씨(包犧氏)가 천하에 왕 노릇 할 때 위로는 하늘에서 상(象)을 관찰하고 아래로 땅에서 법(法)을 살피고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함을 살펴, 가까이는 자기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사물에서 취해 이에 팔괘를 지었다.”
첫 번째의 것은 복서(卜筮)할 때 서죽(筮竹)을 사용하여 괘를 뽑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팔괘 성립의 수리적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두번째는 팔괘 내지 『주역』의 신비적 계기를 말한다. 특히, 황하(黃河)에서 용마(龍馬)가 지고 나온 이른바 하도는 복희팔괘(伏羲八卦)의 직접적 근거라는 전설이 통설로 되어 있다.
세번째는 팔괘 성립의 합리적 해석이다. 자연과 인간의 모든 현상을 관찰, 그 경험적 내용을 귀납해 얻은 원리로서 팔괘를 그었다는 것이다. 이 밖에 고대의 결승문자에서 유래했다는 설, 남방 전래설 등 이설(異說)이 많다.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와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는 『주역』 본문에는 실려 있지 않다. 한대(漢代)의 상수역학(象數易學)에서 주로 논의된 것인데, 주희(朱熹)가 『역학계몽 易學啓蒙』에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확정지었다.
복희팔괘도는 음양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순서가 순리대로 되어 있으나 문왕팔괘도는 상극(相克)·패도(卦道)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주역』은 문왕팔괘도에 의해 구성되었다고 한다.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34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주역은 8괘가 기본이다.

8개의 괘는 각각 3개의 막대기로(3효) 구성돼 있고,

8괘를 상하로 배치해 괘상을 만들면 모두 64개가 된다.(8X8=64)

64개의 괘는 각각 6개의 막대기로(6효) 구성돼 있고,

64괘가 가진 효는 모두 384효가 된다.(64X6=384)

 

8괘가 국어의 자음, 모음에 해당된다면,

64괘는 하나의 단어가 되고,

384효는 하나의 문장이 된다.

 

8괘는 23,

64괘는 26,

384효는 27x3  이 된다.

주역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공부하는 것은 2진법으로 해결되는데

주역의 문장에 해당되는 384효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괘상의 의미에(2진법)

3효가 가진 의미를 다시 첨가해 주어야 한다.

  

1. 64괘 공부방법

최소한 단어가 되어야 의미가 통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64괘를 공부하는 것이 주역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주역 자료를 보면 8괘 象意라고 해서 건곤감리나 천지수화같은 8괘의 이름과

오행, 구성, 방위, 육친관계에 대한 표식이 나온다.

 

8괘가 자음 모음에 해당된다면, 굳이 자음과 모음의 세세한 의미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그림상을 직관적으로 느껴본 후,

주역의 기본단어인 64괘를 이해하려 노력하는 것이

더 재미있게 주역을 공부하는 방법인 듯하다. 

 

한편 64괘에 대해 정리된 책들과 자료들을 보면,

64괘를 풀어가는 관점과 초점이 다양함을 느낄 수 있다.

하나의 괘상에 대해서, 많은 해석자들의 다양한 풀이가 나올 수 있지만

한 해석자가 여러 괘상을 풀이해 나갈 때는, 일관된 관점이 필요하다.

관점이 단일하면 64괘의 맥락이 한 궤에 꿰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64괘상을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먼저 이해하는 것이

주역 64괘를 이해하는 기본열쇠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기존 괘상의 설명 중에 '자연상'이 일관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아쉬웠다.

이 부분을 보완해 개인적으로 좀 더 궁리해, '자연상'에 대한 설명을 일관성있게

해석하려고 노력했다.(자연상은 다시 직유와 은유부분으로 나눴고, 주역 괘상 번호 중

빨간 색으로 된 부분 중 직유 부분은 기존 설명에 없어 개인적으로 궁리한 부분이다)

 

하단에 제시된 '주역64괘 정리표'를 만드는 과정은

우선 64괘에 대한 자료를 모아 이를 주역괘상 그 자체가 가지는 그림상으로 그려본 후

(창작사주이야기29 참조) 다시 자연상/인간상/조언/핵심키워드로 나눠

일관되게 분류, 정리해 보았다.

 

2. 주역64괘 정리표

괘명의 검정색 부분은 상괘와 하괘의 이름이고, 빨간색 부분은 64 괘상의 이름이다.

예를 들어 天澤履의 경우 앞의 두 글자 天과 澤은 상괘와 하괘의 이름이고,

履는 괘상의 이름이자 괘상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설명한 단어이다.

 

8괘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반복된다는 의미에서 重OO라고 표현하거나,

괘상의 이름을 앞에다 두고, 8괘의 의미를 뒤에다 배치해 부르기도 한다.

 

*確乎其不可拔(확호기불가발) : 확고하여 가히 뽑을 수 없다.

<주역>  01_건위천(乾爲天)

初九曰

(초구왈) : 초구에 이르기를,

潛龍勿用

(잠룡물용) : 잠용물용이라 하였는데,

何謂也

(하위야) : 무엇을 말한 것인가?

子曰

(자왈) :  공자가 이르기를,

龍德而隱者也

(룡덕이은자야) : 용의 덕은 숨어 있는 것으로서,

不易乎世

(불역호세) : 세상을 바꾸지 아니하며,

不成乎名

(불성호명) : 이름을 이루지 아니 하며,

遯世無悶

(둔세무민) : 세상을 피해 살아도, 고민하지 아니 하며,

不見是而無悶

(불현시이무민) : 옳음이 알려지지 않아도 고민함이 없으며,

樂則行之

(악칙행지) : 즐거우면 행하고,

憂則違之

(우칙위지) : 근심하면 어겨서,

確乎其不可拔

(확호기불가발) : 확고하여 가히 뽑을 수 없는 것이

潛龍也

(잠룡야) : 잠룡이라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1건위천乾爲天 [빈막(賓幕)]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9727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kjn1217.tistory.com/15945015

 

주역 64괘풀이

주역은 8괘가 기본이다. 8개의 괘는 각각 3개의 막대기로(3효) 구성돼 있고, 8괘를 상하로 배치해 괘상을 만들면 모두 64개가 된다.(8X8=64) 64개의 괘는 각각 6개의 막대기로(6효) 구성돼 있고, 64괘

kjn121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343

 

주역(周易) 목차, 괘사(卦辭) 64괘, 효사(爻辭) 384효/ 陰陽五行 원리

주역은 역경(易經)이라고도 한다 자료 활용을 가능케 하신 작성자 이즈래님께 감사드립니다. 우리는 애국가를 부르면서도 태극기의 음양과 건곤감리의 상징을 이해하지 못해 대한민국 국민으

kydong77.tistory.com

 

 

 

 

www.youtube.com/watch?v=91sfkX0is3A

 

 

 

   夏 복희 -하도> 은[상] 文王 - > 周 周公

ko.wikipedia.org/wiki/%ED%95%98%EB%8F%84%EB%82%99%EC%84%9C

 

하도낙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o.wikipedia.org

 

 

夏 이전 복희 -하도> 은[상] 文王 - > 周 周公 > 公子'十翼(십익)'

복희씨 河圖를 보고 8괘를 그림 (BC3천년경)

禹王은[상] 文王 홍수가 나서 洛水에서 神龜가 지고 나온 그림, 곧 洛書를 전함. 후에 夏나라 시조.

殷末周初 文王(BC. 1,10년 경) 문왕8괘를 긋고, 64괘의 괘사를 지음.

(문왕의 아들 武王이 周나라 건국)

文王의 둘째 아들 周公 384효에 대한 효사를 지은 것이 周易[易經]

公子(BC500년경)는 주역 해설서인 '十翼(십익)'을 지음

周子(1,170년경) 소강절(1150년경) 등이 易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킴.

 

ko.wikipedia.org/wiki/%EC%8B%AD%EC%9D%B5

 

십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

ko.wikipedia.org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으로 이루어져 있다.[1] 역경 64괘가 상경(上經) 30괘 및 하경(下經) 34괘로 나뉘어 있어[2] 십익도 따라서 상하 편으로 나뉜다.

이러한 십익은 때로는 단전(彖傳), 대상(大象)과 소상(小象)의 상전,문언전(文言傳), 계사전(繫辭傳)상하,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상하[3],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등의 조합일수도 있다.

주역이라 불리는 역경의 주석 및 해설서이다.]

 

 

 

ko.wikipedia.org/wiki/%EC%8B%AD%EC%9D%B5

 

십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

ko.wikipedia.org

 

 

www.youtube.com/watch?v=5y5rxO3buYE

 

너 자신을 알라. > 나 지신을 알자

 

 

 

www.youtube.com/watch?v=X2Oxkp0SpL8&t=329s

 

 

만족을 부르는 내 마음 사용법

www.facebook.com/sebasi15/videos/490466241511424/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담백하게 산다는 것

www.youtube.com/watch?v=AU8pmjKIlUQ

 

 

www.youtube.com/watch?v=AjgFrG22ZQE

 

 

www.youtube.com/watch?v=kdLGqIfR7t8

 

 

[8818회] 아침마당

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0-0032&program_id=PS-2021006902-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section_code=05&section_sub_code=03

 

아침마당 - KBS

VOD 페이지

vod.kbs.co.kr

양창순님의 강의는 시각바 10:40이후에 시작됩니다.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kng&logNo=22099630157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사주관련 개념과 용어

​사주[四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의 사람의 난 해[年]·달[月]·날[日]·시(時)를 간지(干支)로 계산하...

blog.naver.com

 

 

ko.wikipedia.org/wiki/%EC%98%A4%ED%96%89

 

오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행(五行, 영어: Wu Xing, Five Elements, Five Phases, Five Agents, Five Movements, Five Processes, Five Steps/Stages, Five Planets)은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

ko.wikipedia.org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으로[1], 5행이라는 것은 인간 사회의 다섯 개 원소로 생각된 (火)·(水)·(木)·(金)·(土)의 운행변전(運行變轉)을 말한다. 행(行)이라는 것은 운행의 뜻이다

상생(相生)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낳는다. 나무에서 불이 난다.
화생토(火生土): 불은 흙을 낳는다. 불이 나면 재가 나와 흙이 된다(재가 흙을 비옥하게 만든다).
토생금(土生金): 흙은 쇠를 낳는다. 흙에서 쇠가 난다.
금생수(金生水): 쇠는 물을 낳는다. 쇠에서 물이 맺힌다(쇠가 물을 맑게한다).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낳는다. 물은 나무를 살린다.

상극(相剋)

목극토(木剋土): 나무는 흙을 이긴다. 나무가 흙에 뿌리를 내린다.
토극수(土剋水): 흙은 물을 이긴다. 흙은 물을 가둔다.
수극화(水剋火): 물은 불을 이긴다. 물은 불을 끈다.
화극금(火剋金): 불은 쇠를 이긴다. 불은 쇠를 녹인다.
금극목(金剋木): 쇠는 나무를 이긴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www.youtube.com/watch?v=RunHfos38fo

 

 

m.blog.naver.com/gdsolitary/150172407940

 

60갑자(60干支)

갑자, 을축, 병인, ... 계해까지 모두 60개의 기둥(柱)입니다. 가로방향, 세로방향 자유자재로 외우면 나중...

blog.naver.com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dsolitary&logNo=15017240638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명리학의 기초 - 음양, 오행, 생, 극, 합, 충

명리학에서 제일 중요하면서 기초가 되는 것은 당연히 음양과 오행입니다. 오행은 木, 火, 土, 金, 水 5개...

blog.naver.com

 

 

건강한 까칠함

www.youtube.com/watch?v=vlN6rb1f60s

 

 

 

www.youtube.com/watch?v=KLpOIbt-VCE

 

 

www.youtube.com/watch?v=P4l6Q-hs2Mc]

 

 

 

namu.wiki/w/%EC%86%8C%ED%81%AC%EB%9D%BC%ED%85%8C%EC%8A%A4

 

소크라테스 - 나무위키

γνῶθι σεαυτόν( 그노시 씨아똔 )너 자신을 알라. [2] ὁ δὲ ἀνεξέταστος βίος οὐ βιωτὸς ἀνθρώπῳ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3] 소크라테스는

namu.wiki

 

오행과 중국문화의 관계[편집]

중국문화에서 오행과 방위신수 모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

오행-목화토금수

오재(五材)오색(五色)오방(五方)오계(五季)오시(五時)오절(五節)오성(五星)오성(五聲)오음(五音)오장(五臟)

오부(五腑)오체(五體)오지(五志)오지(五指)오관(五官)오각(五觉)오액(五液)오미(五味)오취(五臭)오기(五氣)

오영/오화(五榮/五華)오수(五獸)오축(五畜)오충(五蟲)오곡(五穀)오과(五果)오채(五菜)오상(五常)오경(五經)

오정(五政)오악/오기(五惡/五氣)오화(五化)오사(五祀)괘상(卦象)성수(成數)병변/오변/오동(病變/五變/五動)

병위(病位)

 

 목                         화                         토                       금                        수 

나무

파랑(青)   

빨강(赤)   

노랑(黄)   

하양(白)   

검정(黑)   

(東)

(南)

(中)

(西)

(北)

(春)

여름(夏)

사계(四季)

가을(秋)

겨울(冬)

오전(平旦)

한낮(日中)

오후(日西)

저녁(日入)

(夜半)

설날(新年)

상사(上巳)

단오(端午)

칠석(七夕)

중양절(重阳)

목성(木星)

화성(火星)

토성(土星)

금성(金星)

수성(水星)

부름(呼)

웃음(笑)

가창(歌)

울음(哭)

읊조림(呻)

(角)

(徵)

(宮)

(商)

(羽)

(肝)

심장(心)

비장(脾)

허파(肺)

콩팥(腎)

쓸개(膽)

소장(小腸)

(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힘줄(筋)

경맥(脈)

근육(肉)

피부(皮)

(骨)

노여움(怒)

기쁨(喜)

생각(思)

슬픔(悲)

공포(恐)

집게손가락(食指)

가운뎃손가락

(中指)

엄지손가락

(大拇指)

약손가락

(無名指)

새끼손가락(小指)

(目)

(舌)

(口)

(鼻)

(耳)

시각(色)

촉각(觸)

미각(味)

후각(香)

청각(聲)

눈물(泣)

(汗)

(涎)

콧물(涕)

가래(唾)

신맛(酸)

쓴맛(苦)

단맛(甘)

매운맛(辛)

짠맛(鹹)

누린내(膻)

탄내(焦)

향기(香)

비린내(腥)

구린내(朽)

힘줄(筋)

혈액(血)

근육(肉)

(氣)

(骨)

손톱(爪)

얼굴(面)

입술(唇)

눈썹(毛)

(髮)

청룡(青龍)

주작(朱雀)

기린/등사/구진

(黄麟/螣蛇/勾陳)

백호(白虎)

현무(玄武)

(狗)

(羊)

(牛)

(鸡)

돼지(猪)

인충

(鱗蟲: 물고기곤충파충류)

우충

(羽蟲: )

나충

(裸蟲: 사람)

모충

(毛蟲: 포유류)

개충

(介蟲: 거북갑각류양서류)

모시풀(苧麻)

기장(黍)

(稻)

옥수수(粟)

(菽)

자두(李)

살구(杏)

대추(枣)

복숭아(桃)

(栗)

부추(韭)

염교(薤)

해바라기(葵)

(葱)

콩잎(藿)

(仁)

(禮)

(信)

(義)

(智)

《시경》(诗)

《의례》(礼)

《춘추》(春秋)

《서경》(书)

《역경》(易)

너그러움(宽)

밝음(明)

공손함(恭)

(力)

고요함(静)

바람(風)

(热)

젖음(湿)

마름(燥)

차가움(寒)

생명(生)

자람(長)

가르침(化)

거둠(收)

감춤(藏)

(戶)

부엌(灶)

처마(霤)

(門)

우물(井)

(震)

(離)

(坤)

(兌)

(坎)

8(八)

7(七)

5(五)

9(九)

6(六)

(握)

우울(憂)

구토(噦)

기침(咳)

소름(粟)

(頸項)

흉협(胸脅)

등마루(脊)

견배(肩背)

요고(腰股)

 

 

 

 

www.youtube.com/watch?v=KLpOIbt-VCE 

 

 

위와 같이 쥐를 아무리 고문해 봐야 자백하지 않았다.

드디어, 크게 성이 난 쥐를 결박하여 기둥에다 매달고

神兵들에게 五刑을 갖추게 하고,

큰 가마솥에 물을 끓여 집어 넣겠다고 위협하며 고문했다.

위와 같이 쥐를 아무리 고문해 봐야 자백하지 않았다.

 

드디어, 크게 성이 난 쥐를 결박하여 기둥에다 매달고  

神兵들에게 五刑을 갖추게 하고,  

큰 가마솥에 물을 끓여 집어넣겠다고 위협하며 고문하여 쥐의 죄상을 폭로했다.  

 

“老獪(노회)한 도적놈이 천지간 크고 작은 날짐승, 길짐승들을 모조리 끌어들여

허망하게 誣告하였도다.“

 

드디어 창고의 神은 형벌을 가하게 했다.

쥐의 입을 베고, 가죽을 벗기고, 다리를 찢고, 가슴을 쪼개고,

꼬리를 끊고, 귀를 베고, 눈을 빼고, 목을 끊고서

허리를 끓는 물 속에 넣어 삶으니,

쥐 도적이 크게 두려워하여 울면서 하소연했다.

죽어도 여한이 없으니 한 번만 말하게 해 달라면서,

모든 동물들의 사악한 간교함을 이야기하고는,

절대로 자신에게는 죄가 없다고 우겼다.

 

이에 창고 神은 文簿(문부, 문서)를 정리한 후 천상으로 올라가서

上帝께 獄事(옥사)를 고했다.

 

上帝는 즉시 창고 神에게 명하여,

쥐도적들을 米倉(미창, 곡식 곳간) 앞에서 베어 九街에 버려두어,

새들과 짐승들로 하여금 쪼고 물어뜯도록 하라고 한 후,

죄 없는 여러 새들와 길짐승들은 방면하여 보내라고 명했다.

 

倉庫神이 명을 받고 지상으로 돌아와,

쥐도적을 베고 쥐구멍을 파헤치고 쥐떼를 모두 잡아 죽이니,

그 이후로는 창고의 곡식들이 소모되지 않았다.

 

 

kydong77.tistory.com/20421

 

鼠獄記(서옥기) 1

www.youtube.com/watch?v=KLpOIbt-VCE  [출전]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pp.146-148. 필사본 26면, 每面12행, 평균28자씩 쓴 漢文寫本  * 필서본 표기 소설명은 '鼠獄記'임. 쥐 한 마리가 여러..

kydong77.tistory.com

 

kydong77.tistory.com/20422

 

鼠獄記(서옥기) 2

쥐는 또 猫(묘, 고양이)와 犬(개)라 하다가 兎(토기) 鹿(사슴) 豕(시, 돼지) 羊 羔(고, 양새끼) 猿(원, 원숭이) 熊(웅, 곰) 䮫(루, 큰 노새) 驢(려, 나귀) 牛 馬 驎(린, 얼룩말) 獅(사, 사자) 虎(호, 범) 龍(

kydong77.tistory.com

 

kydong77.tistory.com/20423

 

鼠獄記(서옥기) 3

쥐는 또다시 蝙踾(편복, 박쥐)과 鳥雀(조작)이라 하다가, 烏(오, 까마귀)와 雀(작, 참새)이라 하다가, 鴟(치, 솔개) 鵻(추. 산비둘기) 鳩(구, 비둘기) 雉(치, 꿩) 鷹(응, 매) 鴻(홍, 큰기러기) 鵠(곡, 고

kydong77.tistory.com




 

www.youtube.com/watch?v=91sfkX0is3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