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자신을 알라. > 나 지신을 알자
www.youtube.com/watch?v=X2Oxkp0SpL8&t=329s
만족을 부르는 내 마음 사용법
www.facebook.com/sebasi15/videos/490466241511424/
담백하게 산다는 것
www.youtube.com/watch?v=AU8pmjKIlUQ
www.youtube.com/watch?v=AjgFrG22ZQE
www.youtube.com/watch?v=kdLGqIfR7t8
[8818회] 아침마당
양창순님의 강의는 시각바 10:40이후에 시작됩니다.
ko.wikipedia.org/wiki/%EC%98%A4%ED%96%89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으로[1], 5행이라는 것은 인간 사회의 다섯 개 원소로 생각된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운행변전(運行變轉)을 말한다. 행(行)이라는 것은 운행의 뜻이다
상생(相生)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낳는다. 나무에서 불이 난다.
화생토(火生土): 불은 흙을 낳는다. 불이 나면 재가 나와 흙이 된다(재가 흙을 비옥하게 만든다).
토생금(土生金): 흙은 쇠를 낳는다. 흙에서 쇠가 난다.
금생수(金生水): 쇠는 물을 낳는다. 쇠에서 물이 맺힌다(쇠가 물을 맑게한다).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낳는다. 물은 나무를 살린다.
상극(相剋)
목극토(木剋土): 나무는 흙을 이긴다. 나무가 흙에 뿌리를 내린다.
토극수(土剋水): 흙은 물을 이긴다. 흙은 물을 가둔다.
수극화(水剋火): 물은 불을 이긴다. 물은 불을 끈다.
화극금(火剋金): 불은 쇠를 이긴다. 불은 쇠를 녹인다.
금극목(金剋木): 쇠는 나무를 이긴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www.youtube.com/watch?v=RunHfos38fo
m.blog.naver.com/gdsolitary/150172407940
건강한 까칠함
www.youtube.com/watch?v=vlN6rb1f60s
www.youtube.com/watch?v=KLpOIbt-VCE
www.youtube.com/watch?v=P4l6Q-hs2Mc]
namu.wiki/w/%EC%86%8C%ED%81%AC%EB%9D%BC%ED%85%8C%EC%8A%A4
오행과 중국문화의 관계[편집]
중국문화에서 오행과 방위, 색, 신수 모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
오행-목화토금수
오재(五材)오색(五色)오방(五方)오계(五季)오시(五時)오절(五節)오성(五星)오성(五聲)오음(五音)오장(五臟)
오부(五腑)오체(五體)오지(五志)오지(五指)오관(五官)오각(五觉)오액(五液)오미(五味)오취(五臭)오기(五氣)
오영/오화(五榮/五華)오수(五獸)오축(五畜)오충(五蟲)오곡(五穀)오과(五果)오채(五菜)오상(五常)오경(五經)
오정(五政)오악/오기(五惡/五氣)오화(五化)오사(五祀)괘상(卦象)성수(成數)병변/오변/오동(病變/五變/五動)
병위(病位)
파랑(青) |
빨강(赤) |
노랑(黄) |
하양(白) |
검정(黑) |
동(東) |
남(南) |
중(中) |
서(西) |
북(北) |
봄(春) |
여름(夏) |
사계(四季) |
가을(秋) |
겨울(冬) |
오전(平旦) |
한낮(日中) |
오후(日西) |
저녁(日入) |
밤(夜半) |
설날(新年) |
상사(上巳) |
단오(端午) |
칠석(七夕) |
중양절(重阳) |
목성(木星) |
화성(火星) |
토성(土星) |
금성(金星) |
수성(水星) |
부름(呼) |
웃음(笑) |
가창(歌) |
울음(哭) |
읊조림(呻) |
각(角) |
치(徵) |
궁(宮) |
상(商) |
우(羽) |
간(肝) |
심장(心) |
비장(脾) |
허파(肺) |
콩팥(腎) |
쓸개(膽) |
소장(小腸) |
위(胃)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힘줄(筋) |
경맥(脈) |
근육(肉) |
피부(皮) |
뼈(骨) |
노여움(怒) |
기쁨(喜) |
생각(思) |
슬픔(悲) |
공포(恐) |
집게손가락(食指) |
(中指) |
(大拇指) |
(無名指) |
새끼손가락(小指) |
눈(目)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시각(色) |
촉각(觸) |
미각(味) |
후각(香) |
청각(聲) |
눈물(泣) |
땀(汗) |
침(涎) |
콧물(涕) |
가래(唾)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鹹) |
누린내(膻) |
탄내(焦) |
향기(香) |
비린내(腥) |
구린내(朽) |
힘줄(筋) |
혈액(血) |
근육(肉) |
숨(氣) |
뼈(骨) |
손톱(爪) |
얼굴(面) |
입술(唇) |
눈썹(毛) |
털(髮) |
청룡(青龍) |
주작(朱雀) |
(黄麟/螣蛇/勾陳) |
백호(白虎) |
현무(玄武) |
개(狗) |
양(羊) |
소(牛) |
닭(鸡) |
돼지(猪) |
인충 |
우충 (羽蟲: 새) |
나충 (裸蟲: 사람) |
모충 (毛蟲: 포유류) |
개충 |
모시풀(苧麻) |
기장(黍) |
쌀(稻) |
옥수수(粟) |
콩(菽) |
자두(李) |
살구(杏) |
대추(枣) |
복숭아(桃) |
밤(栗) |
부추(韭) |
염교(薤) |
해바라기(葵) |
파(葱) |
콩잎(藿)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시경》(诗) |
《의례》(礼) |
《춘추》(春秋) |
《서경》(书) |
《역경》(易) |
너그러움(宽) |
밝음(明) |
공손함(恭) |
힘(力) |
고요함(静) |
바람(風) |
열(热) |
젖음(湿) |
마름(燥) |
차가움(寒) |
생명(生) |
자람(長) |
가르침(化) |
거둠(收) |
감춤(藏) |
집(戶) |
부엌(灶) |
처마(霤) |
문(門) |
우물(井) |
진(震) |
이(離) |
곤(坤) |
태(兌) |
감(坎) |
8(八) |
7(七) |
5(五) |
9(九) |
6(六) |
쥠(握) |
우울(憂) |
구토(噦) |
기침(咳) |
소름(粟) |
목(頸項) |
흉협(胸脅) |
등마루(脊) |
견배(肩背) |
요고(腰股) |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64괘 해석, 괘사(卦辭) 64괘, 효사(爻辭) 384효/陰陽五行 원리 (0) | 2022.10.05 |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8괘> 文王 64괘, 周公 384효사 지음, 周易 (0) | 2021.02.12 |
鼠獄記(서옥기) 4 (0) | 2021.02.11 |
周易 총정리 61-64괘/ 64괘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0) | 2021.02.09 |
周易 총정리 51-60괘/ 64괘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