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_수화기제(水火旣濟)
旣濟(기제) : 기제는
亨小(형소) : 형통할 것이 적으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初吉終亂(초길종란) : 처음은 길하고 마침은 어지러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旣濟亨小者亨也(기제형소자형야) : '기제형'은 작은 것이 형통함이니,
利貞剛柔正而位當也(이정강유정이위당야) :
'이정'은 <강>효와 <유>효가 발라서 자리에 마땅함이라.
初吉柔得中也(초길유득중야) : '초길'은 <유>효가 중정을 얻음이요,
終止則亂其道窮也(종지칙란기도궁야) : 마침에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가 궁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水在火上旣濟(수재화상기제) : 물이 불 위에 있는 것이 기제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思患而豫防之(군자이사환이예방지) : 군자가 이로써 근심될 것을 생각하여 미리 막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曳其輪(예기륜) : 그 수레를 끌며
濡其尾无咎(유기미무구) : 그 꼬리를 적시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曳其輪(예기륜) : '예기륜'은
義无咎也(의무구야) : 의리가 허물이 없느니라.
六二(육이) : 육이는
婦喪其茀(부상기불) : 지어미가 그 포장을 잃음이니,
勿逐七日得(물축칠일득) : 좇지 않으면 7일만에 얻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七日得(칠일득) : '칠일득'은
以中道也(이중도야) : 중도로써 함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高宗(고종) : 고종이
伐鬼方(벌귀방) : 귀방을 쳐서
三年克之(삼년극지) : 삼년만에 이김이니,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은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三年克之憊也(삼년극지비야) : '삼년극지'는 곤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繻有衣(수유의) : 물이 새는데, 천을 가지고
終日戒(종일계) : 종일토록 경계함이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終日戒(종일계) : '종일계'는
有所疑也(유소의야) : 의심하는 바가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東隣殺牛(동린살우) : 동쪽 이웃의 소를 잡음이
不如西隣之禴祭實受其福(부여서린지약제실수기복) :
서쪽 이웃의 간략한 제사로 실제로 복을 받음만 못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東隣殺牛(동린살우) : '동린살우'가
不如西隣之時也(부여서린지시야) : 서쪽 이웃의 때만 같지 못하니
實受其福(실수기복) : '실수기복'은
吉大來也(길대래야) : 길함이 크게 옴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濡其首厲(유기수려) : 그 머리를 적심이니 위태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濡其首厲(유기수려) : '유기수려'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오래할 수 있으리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63수화기제水火旣濟?category=343349 [빈막(賓幕)]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64괘의 명칭과 그 의미/ 태극기의 상징물들 (0) | 2021.02.09 |
---|---|
주역(周易) 64. 화수미제(火水未濟) (0) | 2021.02.09 |
주역(周易) 62. 뇌산소과(雷山小過) (0) | 2021.02.09 |
주역(周易) 61. 풍택중부(風澤中孚) (0) | 2021.02.09 |
주역(周易) 60. 수택절(水澤節)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