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_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重巽(중손) : 거듭한 손으로써

以申命(이신명) : 명을 펴나니,

剛巽乎中正而志行(강손호중정이지행) : <강>효가 중정에 겸손해서 뜻이 행하며,

柔皆順乎剛(유개순호강) : <유>효가 모두 <강>효에 순응함이라.

是以(시이) : 이로써

小亨(소형) : 小亨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隨風巽(수풍손) : 따르는 바람이 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申命行事(군자이신명행사) : 군자가 이로써 명을 거듭해서 일을 행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進退(진퇴) : 나아가고 물러남이니,

利武人之貞(이무인지정) : 무인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進退志疑也(진퇴지의야) : '진퇴'는 뜻이 의심함이요,

利武人之貞志治也(이무인지정지치야) : '이무인지정'은 뜻이 다스러짐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巽在牀下(손재상하) : <손>효가 평상 아래에 있으니,

用史巫紛若(용사무분약) : <사>와 무당을 불러 씀이 많으면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紛若之吉(분약지길) : '분약지길'은

得中也(득중야) : 중정을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頻巽吝(빈손인) : 자주 겸손함이니,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頻巽之吝(빈손지린) : '빈손지린'은

志窮也(지궁야) : 뜻이 궁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悔亡(회망) : 후회가 없어지니,

田獲三品(전획삼품) : 사냥하여 삼품을 얻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田獲三品(전획삼품) : '전획삼품'은

有功也(유공야) : 공이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貞吉悔亡(정길회망) : 바르면 길해서 뉘우침이 없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无不利无初有終(무부리무초유종) : 처음은 없고 마침은 있느니라.

先庚三日(선경삼일) : <경>효로 앞서 삼일하며,

後庚三日吉(후경삼일길) : <경>효로 뒤로 삼일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五之吉(구오지길) : '九五之吉'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위가 바르고 중정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巽在牀下(손재상하) : 겸손한 것이 상아래에 있어서,

喪其資斧(상기자부) : 그 몸에 지닌 도끼를 잃으니

貞凶(정흉) : 집착하여 고집함에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巽在牀下(손재상하) : '손재상하'는

上窮也(상궁야) : 위에서 궁함이요,

喪其資斧(상기자부) : '상기자부'는

正乎凶也(정호흉야) : 바르겠는가, 흉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7손위풍巽爲風?category=343349 [빈막(賓幕)]

 

57_손위풍(巽爲風)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7_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