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_뇌화풍(雷火豊)

 

豊(풍) : 풍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之(왕가지) : 왕이 그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勿憂宜日中(물우의일중) : 근심치 않아도 마땅히 해가 중천에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豊大也(풍대야) : 풍은 큰것이니,

明以動(명이동) : 밝음으로써 움직임이라.

故豊(고풍) : 그러므로 풍이니,

王假之(왕가지) : '왕가지'는

尙大也(상대야) : 숭상함이 큰것이요,

勿憂宜日中(물우의일중) : '물우의일중'은

宜照天下也(의조천하야) : 마땅히 천하를 비침이라.

日中則仄(일중칙측) : 해가 가운데 위치하면 기울어지며,

月盈則食(월영칙식) : 달이 차면 먹히나니,

天地盈虛(천지영허) : 천지가 차고 비어감도

與時消息(여시소식) : 때로 더불어 줄고 부는데,

 

而況於人乎(이황어인호) : 하물며 사람이며

況於鬼神乎(황어귀신호) : 하물며 귀신에 있어서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雷電皆至豊(뇌전개지풍) : 우뢰와 번개가 다 이르는 것이 풍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折獄致刑(군자이절옥치형) :

군자가 이로써 옥을 끊어 형벌을이루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遇其配主(우기배주) : 그 짝이 되는 주인을 만나되,

雖旬无咎(수순무구) : 비록 화합하기 어려우나 허물이 없으니,

往有尙(왕유상) : 일을 수행하면 숭상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雖旬无咎(수순무구) : '수구무구'니

過旬災也(과순재야) : 평등을 지나면 재앙이리라.

 

六二(육이) : 육이는

豊其蔀(풍기부) : 그 큰 포장을 풍성함이라.

日中見斗(일중견두) : 한낮에 북두칠성을 보니

往得疑疾(왕득의질) : 가면 의심의 병을 얻으리니

有孚發若吉(유부발약길) : 믿음을 두어 발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有孚發若(유부발약) : '유부발약'은

信以發志也(신이발지야) : 믿음으로써 뜻을 발함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豊其沛(풍기패) : 그 패에 풍성함이라.

日中見沬(일중견매) : 한낮에 매를 봄이요,

折其右肱(절기우굉) : 그 오른팔을 끊으니

无咎(무구) : 허물할 데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豊其沛(풍기패) : 그 패의 풍성함라

不可大事也(부가대사야) : 큰일을 하지 못할 것이요,

折其右肱(절기우굉) : 그 오른팔을 끊으니

終不可用也(종부가용야) : 마침내 쓰지 못하니라.

 

九四(구사) : 구사는

豊其蔀(풍기부) : 그 패의 풍성함라

日中見斗(일중견두) : 한낮에 북두칠성을 봄이니,

遇其夷主吉(우기이주길) : 그 평등한 주인을 만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豊其蔀(풍기부) : 그 패의 풍성함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日中見斗(일중견두) : 한낮에 북두칠성을 봄은

幽不明也(유부명야) : 어두워서 밝지 못함이요,

 

遇其夷主(우기이주) : 그 평등한 주인을 만남은

吉行也(길행야) : 길하게 행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來章(래장) : 빛난 것을 오게 하면,

有慶譽吉(유경예길) : 경사와 명예가 있어서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之吉(육오지길) : '육오지길'은

有慶也(유경야) : 경사가 있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豊其屋(풍기옥) : 그 집을 크게하고

蔀其家(부기가) : 그 집을 덮음이라.

闚其戶(규기호) : 그 집을 엿보니

閴其无人(격기무인) : 고요해서 그 사람이 없어서

三歲不覿凶(삼세불적흉) : 세 해라도 보지 못하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豊其屋(풍기옥) : '풍기옥'은

天際翔也(천제상야) : 하늘 끝까지 오름이요,

闚其戶閴其无人(규기호격기무인) : '규기호격기무인'은

自藏也(자장야) : 스스로 감춤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5뇌화풍雷火豊?category=343349 [빈막(賓幕)]

 

55_뇌화풍(雷火豊)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5_뇌화풍(雷火豊) 豊(풍) : 풍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之(왕가지) : 왕이 그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勿憂宜日中(물우의

hwalove.tistory.com

 

 

54. 뇌택귀매(雷澤歸妹)

 

歸妹(귀매) : 시집보내기는

征凶(정흉) : 적극적으로 보내려하면 흉하다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것이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歸妹(귀매) : <歸妹>는

天地之大義也(천지지대의야) : 천지의 큰 의리니,

天地不交(천지부교) : 천지가 사귀지 않으면

而萬物不興(이만물부흥) : 만물이 흉하지 아니 하나니,

歸妹人之終始也(귀매인지종시야) : <귀매>는 사람의 마침과 시작이라.

說以動(열이동) : 기뻐함으로써 움직여서

所歸妹也(소귀매야) : 시집가는 자가 누이동생니,

征凶位不當也(정흉위불당야) : '정흉'은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无攸利(무유리) : '무유리'는

柔承剛也(유승강야) : <유>가 <강>의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上有雷歸妹(택상유뢰귀매) : 못 위에 우뢰가 있는 것이 <귀매>니,

君子以永終知敝(군자이영종지폐) : 군자가 길이 마쳐서 떨어짐을 아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歸妹以娣(귀매이제) : 측실로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니

跛能履(파능리) : 절음발이처럼이라도 능히 밟을 수 있으니

征吉(정길) : 가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歸妹以娣(귀매이제) : '귀매이제'나

以恒也(이항야) : 항례에 따르는 일이요

跛能履吉(파능리길) : '파능리길'은

相承也(상승야) : 서로 도와 이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眇能視(묘능시) : 애꾸눈도 능히 볼 수 있으니

利幽人之貞(이유인지정) : 고독한 측실의 바름을 지킴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幽人之貞(이유인지정) : '이유인지정'은

未變常也(미변상야) :

떳떳함을 변치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歸妹以須(귀매이수) : 비천한 여자로 누이동생을 시집 보내니 

反歸以娣(반귀이제) : 다시 측실로서 보낸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歸妹以須(귀매이수) : '귀매이수'는

未當也(미당야) :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歸妹愆期(귀매건기) : 누이동생을 시집 보내는데 혼기를 어기니

遲歸有時(지귀유시) : 늦게 시집감은 때를 기다림이 있어서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愆期之志(건기지지) : '건기지지'는

有待而行也(유대이행야) : 기다림을 두어서 행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帝乙歸妹(제을귀매) : 제을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 것이니,

其君之袂(기군지몌) : 누이 동생인 소군의 소매가

不如其娣之袂良(부여기제지몌양) : 그 첩의 소매의 좋은 것만 같지 못하니,

月幾望吉(월기망길) : 달이 보름에 가까우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帝乙歸妹不如其娣之袂良也(제을귀매부여기제지몌양야) : '제을귀매부여기제지몌양야'는

其位在中以貴行也(기위재중이귀행야) : 그 자리가 중에정 있어서 귀함으로써 행하니라.

 

上六(상육) : 상육은

女承筐無實(여승광무실) : 여자가 광주리를 이는데 실물이 없느니라.

士刲羊无血(사규양무혈) : 선비가 양을 찔러서 피가 없으니

无攸利(무유리) : 이로운 바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六无實(상육무실) : '상육무실'은

承虛筐也(승허광야) : 빈 광주리를 이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4뇌택귀매雷澤歸妹?category=343349 [빈막(賓幕)]

 

54_뇌택귀매(雷澤歸妹)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4_뇌택귀매(雷澤歸妹) 歸妹(귀매) : 시집보내기는 征凶(정흉) : 적극적으로 보내려하면 흉하다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hwalove.tistory.com

 

 

  53_풍산점(風山漸)

 

漸(점) : 점은

女歸吉(여귀길)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이니 길하다

利貞(이정) :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漸之進也(점지진야) : 점의 나아감이

女歸吉也(여귀길야)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의 길함이라.

進得位(진득위) : 나아가서 자리를 얻으니

往有功也(왕유공야) : 가서 공이 있음이요,

進以正(진이정) : 나아감에 바름으로써 하니

可以正邦也(가이정방야) : 가히 나라를 바룸이니

其位(기위) : 그 자리는

剛得中也(강득중야) : 강함이 중정을 얻음이라.

止而巽(지이손) : 그치고 겸손하니

動不窮也(동부궁야) : 움직여서 궁하지 않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上有木漸(산상유목점) : 산 위에 나무가 있는 것이 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居賢德善俗(군자이거현덕선속) : 군자가 이로써 어진 덕에 거해서 풍속을 착하게 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鴻漸于干(홍점우간) : 기러기가 물가에 나아감이니,

小子厲(소자려) : 어린 아이처럼 위태해서

有言无咎(유언무구) : 말이 있으나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小子之厲(소자지려) : 어린 아이의 위태로움이 있으나

義无咎也(의무구야) : 의리 있어 허물이 없느니라

 

六二(육이) : 육이는

鴻漸于磐(홍점우반) : 기러기가 반석에 나아감이라.

飮食衎衎吉(음식간간길) : 마시고 먹는 것이 즐겁고 즐거우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飮食衎衎(음식간간) : '음식간간'은

不素飽也(부소포야) : 공연히 배부르려 하지 아니함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鴻漸于陸(홍점우륙) : 기러기가 땅에 나아감이니

夫征不復(부정부부) : 지아비가 가면 돌아오지 못하고

婦孕不育(부잉부육) : 지어미가 잉태하여도 기르지 못하여

凶利禦寇(흉이어구) : 흉하니, 도적을 막는 것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夫征不復(부정부부) : '부정부부'은

離群醜也(이군추야) : 무리를 떠나서 추한 것이요,

婦孕不育(부잉부육) : '부잉부육'은

失其道也(실기도야) : 그 도를 잃음이요,

利用禦寇順相保也(이용어구순상보야) :
욕망의 도둑을 막아서 일의 형편에 순응해서 서로 도와야 이롭다.

 

六四(육사) : 육사는

鴻漸于木(홍점우목) : 기러기가 나무에 나아감이니,

或得其无咎(혹득기무구) : 혹 그 평이한 가지를 얻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或得其桷(혹득기각) : '혹득기각'은

順以巽也(순이손야) : 순하고 겸손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鴻漸于陵(홍점우릉) : 기러기가 언덕에 나아감이니,

婦三歲不孕(부삼세부잉) : 지어미가 3년을 애배지 못하나

終莫之勝吉(종막지승) : 끝내는 이보다 좋은 일은 것을 것이니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終莫之勝吉(종막지승길) : '종막지승길'은

得所願也(득소원야) : 원하는 바를 얻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鴻漸于逵(홍점우규) : 기러기가 하늘에 나아감이니,

其羽可用爲儀吉(기우가용위의길) : 그 깃을 치고 나르는 것이 의표를 삼을만 하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其羽可用爲儀吉(기우가용위의길) : '기우가용위의길'은

不可亂也(부가란야) : 어지럽게 하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3풍산점風山漸?category=343349 [빈막(賓幕)]

 

53_풍산점(風山漸)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3_풍산점(風山漸) 漸(점) : 점은 女歸吉(여귀길)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이니 길하다 利貞(이정) :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로우

hwalove.tistory.com

 

 

  52_간위산(艮爲山)

 

艮其背(간기배) : 그 등에 그치면

不獲其身(부획기신) : 그 몸을 얻지 못하며,

行其庭(행기정) : 그 뜰에 행하여도

不見其人(부견기인) : 그 사람을 보지 못하여

无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艮止也(간지야) : <간>은 그침이니,

時止則止(시지칙지) : 때가 그칠 때면 그치고

時行則行(시행칙행) : 때가 행할 때면 행하여,

動靜不失其時(동정부실기시) : 움직이며 그침에 때를 잃지 아니함이

其道光明(기도광명) : 그 도가 광명하니

艮其止止其所也(간기지지기소야) : '간기지'는 그곳에 그침이라.

上下敵應(상하적응) : 상하가 적응하여

不相與也(부상여야) : 서로 더불지 못하니

是以(시이) : 이로써

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也(부획기신행기정부견기인무구야) :
자신을 추구하는 일에서 얻는 바도 없고 뜰을 거닐어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하니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兼山艮(겸산간) : 산이 아울러 있는 것이 간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思不出其位(군자이사부출기위) : 군자는 생각을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艮其趾无咎(간기지무구) : 그 발꿈치에 그치면 허물이 없으니,

利永貞(이영정) : 길이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趾(간기지) : '간기지'는

未失正也(미실정야) : 바름을 잃지 아니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艮其腓(간기비) : 그 장딴지에 그침이니,

不拯其隨(불증기수) : 구원하지 못하고 따르는 자라.

其心不快(기심부쾌) : 그 마음이 유쾌하지 아니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不拯其隨(불증기수) : '불증기수'는

未退聽也(미퇴청야) : 물러나 듣지 아니함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艮其限(간기한) : 그 허리에 그치니

列其夤(열기인) : 등뼈가 찢어지는 듯하고

厲薰心(열기려훈심) : 불안한 생각에 마음이 찌는 듯 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限(간기한) : 그 허리에 그치니

危薰心也(위훈심야) : 위태로움에 마음이 찐다.

 

六四(육사) : 육사는

艮其身(간기신) : 그 몸에 그침이니

无咎(무구) :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身(간기신) : '간기신'은

止諸躬也(지제궁야) : 그 몸에 그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艮其輔(간기보) : 그 중간에 그침이라.

言有序(언유서) : 말이 차례가 있음이니

悔亡(회망) : 후회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輔(간기보) : '간기보'는

以中正也(이중정야) : 중정하여 바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敦艮吉(돈간길) : 도타웁게 그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敦艮之吉(돈간지길) : '돈간지길'은

以厚終也(이후종야) : 도탑게 함으로써 마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2간위산艮爲山?category=343349 [빈막(賓幕)]

 

52_간위산(艮爲山)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2_간위산(艮爲山) 艮其背(간기배) : 그 등에 그치면 不獲其身(부획기신) : 그 몸을 얻지 못하며, 行其庭(행기정) : 그 뜰에 행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