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_풍뢰익(風雷益)

 

益(익) : <익>은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益損上益下(익손상익하) : <익>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이니

民說无疆(민열무강) : 백성의 기뻐함이 지경이 없음이요,

自上下下(자상하하) : 위로부터 아래로 내리니

其道大光(기도대광) : 그 도가 크게 빛남이니라.

利有攸往(이유유왕) : '이유유왕'은

中正有慶(중정유경) : 중정하고 바르게 하여 경사가 있음이요,

利涉大川(이섭대천) : '이섭대천'은

木道乃行(목도내행) : <목도>가 이에 행함이라.

益動而巽(익동이손) : <익>은 움직이고 겸손해서

日進无疆(일진무강) : 날로 나아감이 지경이 없으며,

天施地生(천시지생) : 하늘이 베풀고 땅이 낳아서 

其益无方(기익무방) : 그 더함이 방소가 없으니,

凡益之道(범익지도) : 무릇 <익>의 도가

與時偕行(여시해행) :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雷益(풍뢰익) : 바람과 우뢰가 익괘의 상이니

君子以見善則遷(군자이견선칙천) : 군자가 이로써 착한 것을 보면 옮기고

有過則改(유과칙개) : 허물이 있으면 고치느리라

 

初九(초구) : 초구는

利用爲大作(이용위대작) : 크게 짓는 것이 이로우니,

元吉无咎(원길무구) : 크게 길하여야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元吉无咎(원길무구) : '원길무구'는

下不厚事也(하부후사야) : 아래가 두터운 일을 못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或益之十朋之(혹익지십붕지) : 혹 더하면 열벗이라.

龜弗克違(귀불극위) : 거북도 능히 어기지 아니하나

永貞吉(영정길) : 길이 바르게 하면 길하니,

王用享于帝吉(왕용향우제길) : 왕이 써 상제께 제사지내더라도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或益之(혹익지) : '혹익지'는

自外來也(자외래야) : 밖으로부터 옴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益之用凶事无咎(익지용흉사무구) : 더함을 흉한일에 씀엔 허물이 없거니와,

有孚中行告公用圭(유부중행고공용규) :
믿음을 두고 중도를 행하여야 <공>에 고하여 규를 쓰듯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益用凶事(익용흉사) : '익용흉사'는

固有之也(고유지야) : 굳게 둠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中行告公從(중행고공종) : 중도로 행하면 <공>에 고해서 좇게 하리니,

利用爲依 遷國(利用爲依 천국) : 의지하며 나라를 옮기는 것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告公從(고공종) : '고공종'은

以益志也(이익지야) : 더하려는 뜻으로 써라.

 

九五(구오) : 구오는

有孚惠心(유부혜심) : 믿음을 두어 마음을 은혜롭게 함이라.

勿問元吉(물문원길) : 묻지 않아도 크게 길하니,

有孚惠我德(유부혜아덕) : 믿음을 두어 내덕을 은혜롭게 여기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有孚惠心(유부혜심) : '유부혜심'은

勿問之矣(물문지의) : 물을 것도 없으며,

惠我德(혜아덕) : '혜아덕'은

大得志也(대득지야) : 크게 뜻을 얻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莫益之(막익지) : 더하는 이가 없느니라.

或擊之(혹격지) : 혹 치리니,

立心勿恒凶(입심물항흉) : 마음을 세워 항상 하지 못하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莫益之(막익지) : '막익지'는

偏辭也(편사야) : 편벽하다는 말이요,

或擊之(혹격지) : '혹격지'는

自外來也(자외래야) : 밖으로부터 옴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2풍뢰익風雷益?category=343349 [빈막(賓幕)]

 

42_풍뢰익(風雷益)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2_풍뢰익(風雷益) 益(익) : <익>은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hwalove.tistory.com

 

 

41_산택손(山澤損)

 

損(손) : <손>은

有孚元吉(유부원길) : 믿음을 두면 크게 길하고

无咎可貞(무구가정) : 허물이 없어서 가히 바름이라.

 

利有攸往曷之用(이유유왕갈지용)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어디에 쓰리요,

二簋可用享(이궤가용향) : 두 대그릇에 가히 써 제사지내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損損下益上(손손하익상) : 손은 아래를 덜어 위를 더하여

其道上行(기도상행) : 그 도가 위로 행함이니,

損而有孚(손이유부) : 손괘의 도리를 지켜 성의가 있으면

元吉无咎(원길무구) : 크게 길하여 허물이 없다

可貞利有攸往(가정이유유왕) : 꾸준한 마음이 변함이 없게 하라 그러면 하는 일에 이로우니라

曷之用二簋可用享(갈지용이궤가용향) : '갈지용이궤가용향'은

二簋應有時(이궤응유시) : 두 대그릇이 마땅한 때가 있으며,

損剛益柔有時(손강익유유시) : 손괘에서 <剛>을 덜어 <柔>에 더함에 때가 있으니,

損益盈虛(손익영허) : 덜고 더하고 차고 비는 것을

與時偕行(여시해행) : 때에 따라 함께 행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下有澤損(산하유택손) : 산아래 못이 있는 것이 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懲忿窒欲(군자이징분질욕) : 군자가 이로써 성냄을 징계하며 욕심을 막느리라.

 

初九(초구) : 초구는

已事湍往无咎(이사단왕무구) : 일을 마치거든 빨리 가야 허물이 없으리니,

酌損之(작손지) : 참작하여 더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已事湍往(이사단왕) : '이사단왕'은

尙合志也(상합지야) : 위와 뜻이 합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利貞征凶(이정정흉) :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고 가면 흉하니,

弗損益之(불손익지) : 덜지 말아야 보탬을 받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二利貞(구이이정) : '구이이정'은

中以爲志也(중이위지야) : 중정으로써 뜻을 삼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三人行則損一人(삼인행칙손일인) : 세사람이 가면 의심이 생겨 곧 한사람을 덜고,

一人行則得其友(일인행칙득기우) : 한사람이 가면 벗을 얻어 협력할 수 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一人行(일인행) : '일인행'은

三則疑也(삼칙의야) : 셋이 되면 곧 의심하리라.

 

六四(육사) : 육사는

損其疾(손기질) : 그 병을 덜되,

使遄有喜无咎(사천유희무구) : 빨리하게 하면 기쁨이 있어서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損其疾(손기질) : '손기질'하니

亦可喜也(역가희야) : 또한 가히 기쁘도다.

 

六五(육오) : 육오는

或益之十朋之(혹익지십붕지) : 혹 더하면 열 벗이라.

龜弗克違元吉(귀불극위원길) : 거북점을 하여도 어기지 아니 하리니 크게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元吉(육오원길) : '육오원길'은

自上祐也(자상우야) : 위로부터 도우니라.

 

上九(상구) : 상구는

弗損益之(불손익지) : 덜지말고 더하면

无咎貞吉(무구정길) : 허물이 없고 바르게 하여 길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得臣이 无家ㅣ리라.

득신    무가

신하를 얻음이 집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弗損益之(불손익지) : '불손익지'는

大得志也(대득지야) : 크게 뜻을 얻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1산택손山澤損?category=343349 [빈막(賓幕)]

 

41_산택손(山澤損)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1_산택손(山澤損) 損(손) : <손>은 有孚元吉(유부원길) : 믿음을 두면 크게 길하고 无咎可貞(무구가정) : 허물이 없어서 가히

hwalove.tistory.com

 

40. 뇌수해(雷水解)

 

解(해) : <해>는

利西南(이서남) : 서남이 이로우니,

无所往(무소왕) : 갈 바가 없느니라.

其來復吉(기래복길) : 그 와서 회복함이 길하니,

有攸往夙吉(유유왕숙길) : 갈 바가 있거든 빨리하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解險以動(해험이동) : <해>는 험하고 움직임이니

動而免乎險解(동이면호험해) : 움직여 험한데서 면함이 <해>라,

 

解利西南(해이서남) : '해이서남'은

往得衆也(왕득중야) : 가서 무리를 얻음이요, '

其來復吉(기래복길) : 기래부길'은

乃得中也(내득중야) : 이에 정중을 얻음이요,

有攸往夙吉(유유왕숙길) :'유유왕숙길'은

往有功也(왕유공야) : 가서 공이 있음이라.

 

天地解而雷雨作(천지해이뇌우작) : 천지가 풀림에 우뢰와 비가 일어나고

雷雨作而百果草木(뢰우작이백과초목) : 우뢰와 비가 내림에 온갖 과일과 초목이생긴다

皆甲拆解之時大矣哉(개갑탁해지시대의재) : 모두 열려서 터지나니, <해>의 때가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雷雨作解(뢰우작해) : 우뢰와 비가 일어나는 것이 <해>니,

君子以 赦過宥罪(君子以 사과유죄) : 군자가 이로써 허물을 용서해주고 죄를 감해 주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无咎(무구) :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剛柔之際(강유지제) : <강>과 <유>가 서로 사귐이라.

義无咎也(의무구야) : 의로우면 허물이 없느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田獲三狐得黃矢(전획삼호득황시) : 사냥에 세 여우를 잡아서 누런 화살을 얻으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해서 길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二貞吉(구이정길) : '구이정길'은

得中道也(득중도야) : 정중을 얻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負且乘(부차승) : 지고 또 탐이라.

致寇至貞吝(치구지정인) : 도적 이름을 이르니 바르게 하더라도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負且乘(부차승) : '부차승'이

亦可醜也(역가추야) : 또한 추한 것이며,

自我致戎(자아치융) : 나로부터 도적을 이룸이니

又誰咎也(우수구야) : 또 누구를 허물하리오

 

九四(구사) : 구사는

解而拇(해이무) : 너의 엄지발가락에서 풀면

朋至斯孚(붕지사부) : 벗이 이르러 이에 믿음직스럽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解而拇(해이무) : '해이무'는

未當位也(미당위야) : 자리가 마땅치 아니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君子維有解吉(군자유유해길) : 군자가 오직 풀림이 있으면 길하니,

有孚于小人(유부우소인) : 소인에게 믿음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有解(군자유해) : '군자유해'는

小人退也(소인퇴야) : 소인의 물러감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공용사준우고용지상획지) : 공이 써 높은 담위의 새매를 쏘아 잡으니,
无不利(무부리) : 이롭지 않음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公用射隼(공용사준) : '공용사준'은

以解悖也(이해패야) : 거슬리는 것을 풀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0뇌수해雷水解?category=343349 [빈막(賓幕)]

 

40_뇌수해(雷水解)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0_뇌수해(雷水解) 解(해) : <해>는 利西南(이서남) : 서남이 이로우니, 无所往(무소왕) : 갈 바가 없느니라. 其來復吉(기래

hwalove.tistory.com

 

 

  39_수산건(水山蹇)

 

蹇(건) : 건은

利西南不利東北(이서남부리동북) : 서남은 이롭고 동북은 이롭지 아니하나

利見大人貞吉(이견대인정길) : 대인을 버면 이로우니, 바르게 하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蹇難也(건난야) : 건은 어려움이니

險在前也(험재전야) : 험한 것이 앞에 있으니,

見險而能止知矣哉(견험이능지지의재) : 험한 것을 보아 능히 그치니 지혜롭도다.

蹇利西南(건이서남) : '건이서남'은

往得中也(왕득중야) : 그 도가 궁함이요,

不利東北(부리동북) : '부리동북'은

其道窮也(기도궁야) : 그도가 궁함이요,

利見大人(이견대인) : '이견대인'은

往有功也(왕유공야) : 가서 공이 있음이요,

當位貞吉(당위정길) : 자리가 마땅해서 '정길'하다는 것은

以正邦也(이정방야) : 나라를 바르게 하는 것이니,

蹇之時用大矣哉(건지시용대의재) : <건>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上有水蹇(산상유수건) : 산위에 물이 있는 것이 건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反身脩德(군자이반신수덕) : 군자가 이로써 몸을 돌이키고 덕을 닦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往蹇來譽(왕건래예) : 가면 절고 오면 명예로우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往蹇來譽(왕건래예) : '왕건래예'는

宜待也(의대야) : 기다림이 마땅하니라.

 

六二(육이) : 육이는

王臣蹇蹇(왕신건건) : 왕과 신하가 어려운데 절고 저는 어려움이

匪躬之故(비궁지고) : 몸의 까닭이 아님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臣蹇蹇(왕신건건) : '왕신건건'은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九三(구삼) : 구삼은

往蹇來反(왕건래반) : 가면 어렵고 오면 돌아오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往蹇來反(왕건래반) : '왕건래반'은

內喜之也(내희지야) : 안에서 기뻐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往蹇來連(왕건래연) : 가면 어렵고 오면 이어지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往蹇來連(왕건래연) : '왕건래연'은

當位實也(당위실야) : 당한 자리가 건실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大蹇朋來(대건붕래) : 크게 어려움에 벗이 오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大蹇朋來(대건붕래) : '대건붕래'는

以中節也(이중절야) : 가운데한 절도로써 함이라.

 

上六(상육) : 상륙은

往蹇來碩(왕건래석) : 가면 어렵고 오면 큼이라.

吉利見大人(길이견대인) : 길하리니,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往蹇來碩(왕건래석) : '왕건래석'은

志在內也(지재내야) : 뜻이 안에 있음이요,

利見大人(이견대인) : '이견대인'은

以從貴也(이종귀야) : 귀함을 좇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9수산건水山蹇?category=343349 [빈막(賓幕)]

 

39_수산건(水山蹇)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9_수산건(水山蹇) 蹇(건) : 건은 利西南不利東北(이서남부리동북) : 서남은 이롭고 동북은 이롭지 아니하나 利見大人貞吉(이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