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_화택규(火澤睽)

 

睽小事吉(규소사길) : 규는 작은 일은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睽火動而上(규화동이상) : <규>는 불이 움직여서 위로 오르고,

澤動而下(택동이하) : 못이 움직여서 내려가며,

二女同居(이녀동거) : 두여자가 한 곳에 머물러 살게 하나

其志不同行(기지불동행) : 그 뜻이 같이 행하지 아니하니라.

說而麗乎明(열이려호명) : 기뻐해서 밝은 데에 걸리고

柔進而上行(유진이상행) : <유>가 나아가 위로 행해서

得中而應乎剛(득중이응호강) : 중정을 얻어 <강>에 응함이라.

是以小事吉(시이소사길) : 이로써 '소사길'이니라.

天地睽(천지규) : 천지가 어긋나도

而其事同也(이기사동야) : 그 일 은 같으며,

男女睽(남녀규) : 남녀가 어긋나도

而其志通也(이기지통야) : 그 뜻은 통하며,

 

萬物睽而其事類也(만물규이기사류야) : 만물이 어긋나도 그 일은 같으니  

睽之時用大矣哉(규지시용대의재) : 규의 때와 씀이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火下澤睽(상화하택규) : 위에는 불 아래에는 못이니,

君子以同而異(군자이동이이) : 군자가 이로써 같이해도 다르게 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悔喪馬(회상마) : 뉘우침이 없어지니 말을 잃고

勿逐自復(물축자부) : 좇지 아니해도 스스로 회복함이니,

見惡人无咎(견악인무구) : 악한 사람을 보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見惡人(견악인) : '見惡人'은

以辟咎也(以피구야) : 허물을 피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遇主于巷无咎(우주우항무구) : 주인을 거리에서 만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遇主于巷(우주우항) : '우주우항'이

未失道也(미실도야) : 도를 잃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見輿曳其牛掣(견여예기우체) : 수레를 당기고 그 소를 막으며

其人天且劓(기인천차의) : 그 사람이 하늘하고 또 코를 베임을 보니,

无初有終(무초유종) : 처음은 없고 마침은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見輿曳位不當也(견여예위불당야) : '견여예'는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初有終遇剛也(초유종우강야) : '무초유종'은 <강>을 만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睽孤遇元夫交孚(규고우원부교부) : 규가 외로워서 <元夫>를 만나 미덥게 사귐이니,

厲无咎(려무구) :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交孚无咎(교부무구) : '교부무구'는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해지리라.

 

六五(육오) : 육오는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니

厥宗噬膚(궐종서부) : 그 종당이 살을 씹으면

往何咎(왕하구) : 감에 무슨 허물이리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厥宗噬膚(궐종서부) : '궐종서부'는

往有慶也(왕유경야) : 가서 경사가 있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睽孤(규고) : 규가 외로워서

見豕負塗(견시부도) : 돼지가 진흙은 짊어진 것을 보고

載鬼一車(재귀일거) : 귀신을 한수레 실은 것을 보느니라.

先張之弧(선장지호) : 먼저는 활을 매기다가

後說之弧匪寇(후열지호비구) : 뒤에는 활을 벗겨서, 도적이 아니라

婚媾(혼구) : 혼인을 하자는 것이니,

往遇雨則吉(왕우우칙길) : 가서 비를 만나면 곧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遇雨之吉(우우지길) : 遇雨之吉'은

群疑亡也(군의망야) : '뭇 의심이 없어진 것이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8화택규火澤睽?category=343349 [빈막(賓幕)]

 

38_화택규(火澤睽)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8_화택규(火澤睽) 睽小事吉(규소사길) : 규는 작은 일은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睽火動而上(규화동이상)

hwalove.tistory.com

 

 

 

37_풍화가인(風火家人)

 

家人 利女貞

(가인) (이여정)

가인은 여자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

(단왈) : 단에 이르기를

家人女正位乎內

(가인여정위호내) : <가인>은 여자는 안에서 자리를 바르게 하고,

男正位乎外

(남정위호외) : 남자는 밖에서 자리를 바르게 하니,

男女正天地之大義也

(남녀정천지지대의야) : 남녀가 바르게 함이 천지의 큰 의리라.

家人有嚴君焉

(가인유엄군언) : <가인>이 엄한 인군이 있으니

父母之謂也

(부모지위야) : 부모를 말함이라.

父父子子

(부부자자) : 아비는 아비노릇을, 자식은 자식노릇을,

兄兄弟弟

(형형제제) : 형은 형노릇을, 동생은 동생노릇을,

夫夫婦婦

(부부부부) : 지아비는 지아비노릇을, 지어미는 지어미노릇을 하여서

而家道正

(이가도정) : 집안의 도가 바르게 되리니,

正家而天下定矣

(정가이천하정의) : 집안을 바르게 하여야 천하가 정해지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自火出家人

(풍자화출가인) : 바람이 불로부터 나는 것이 <가인>이니,

君子以言有物

(군자이언유물) : 군자가 이로써 말에는 물건이 있고

而行有恒

(이행유항) : 행동에는 항상성이 있게 하니라.

 

初九  閑有家悔亡

(초구) (한유가회망)

: 초구는  집에 있어서 막으면 후회가 없어지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閑有家

(한유가) : '한유가'는

志未變也

(지미변야) : 뜻이 변하지 않음이라.

 

六二

(육이) : 육이는

无攸遂

(무유수) : 이루는 바가 없고,

在中饋貞吉

(재중궤정길) : 중궤에 있으면 바르게 해서 길하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二之吉

(육이지길) : '육이지길'은

順以巽也

(순이손야) : 순하고 공손함으로 써라.

 

九三

(구삼) : 구삼은

家人嗃嗃

(가인학학) : 가인이 엄숙하게 하니

悔厲吉

(회려길) : 위태하여 늬우치나 길하니,

婦子嬉嬉終吝

(부자희희종린) : 부녀자가 희희덕거리면 마침내 인색하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家人嗃嗃

(가인학학) : '가인학학'은 

未失也

(미실야) : 잃지 않음이요,

婦子嬉嬉

(부자희희) : '부자희희'는

失家節也

(실가절야) : 집의 절도를 잃음이라.

 

六四

(육사) : 육사는

富家大吉

(부가대길) : 집을 부하게 하니 크게 길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富家大吉

(부가대길) : '부가대길'은

順在位也

(순재위야) : 순한 것이 위에 있음이라.

 

九五

(구오) : 구오는

王假有家

(왕가유가) : 왕이 집을 지극히 하니

勿恤吉

(물휼길) : 근심치 말아서 길하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假有家

(왕가유가) : '왕가유가'는

交相愛也

(교상애야) : 사귀어 서로 사랑함이라.

 

上九

(상구) : 상구는

有孚

(유부) : 믿음을 두고

威如終吉

(위여종길) : 위엄있게 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威如之吉

(위여지길) : '위여지길'은

反身之謂也

(반신지위야) : 몸을 반성함을 이름이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7풍화가인風火家人?category=343349 [빈막(賓幕)]

 

37_풍화가인(風火家人)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7_풍화가인(風火家人) 家人(가인) : 가인은 利女貞(이여정) : 여자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

hwalove.tistory.com

 

 

  36_지화명이(地火明夷)

 

明夷(명이) : 명이는

利艱貞(이간정) : 어렵게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明入地中明夷(명입지중명이) : 밝은 것이 땅가운데 들어감이 명이니,

內文明(내문명) : 안으로 문명하고

而外柔順以蒙大難(이외유순이몽대난) : 밖으로는 유순해서 크게 어려움을 무릅쓰니,

文王以之(문왕이지) : 문왕이 그러하니라.

 

利艱貞(이간정) : '이간정'은

晦其明也(회기명야) : 밝은 것을 그믐으로 하니라.

內難而正其志(내난이정기지) : 그 안으로 어려우면서 능히 그 뜻을 바르게 함이니,

箕子以之(기자이지) : 기자가 써 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明入地中明夷(명입지중명이) : 밝은 것이 땅 가운데 들어감이 명이괘의 괘상이니,

君子以衆(군자이중) : 군자가 이것으로써 무리를 씀에

用晦而明(용회이명) : 그믐을 써서 밝히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明夷于飛(명이우비) : 명이가 나는데에

垂其翼(수기익) : 그 날개를 드리우니,

君子于行(군자우행) : 군자가 감에

三日不食(삼일부식) : 삼일을 먹지 않아서,

有攸往(유유왕) : 가는 바를 둠에

主人有言(주인유언) : 주인이 말이 있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君子于行(군자우행) : '군자우행'은

義不食也(의부식야) : 의리가 먹지 아니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明夷夷于左股(명이이우좌고) : 명이에 왼쪽 다리를 상함이니,

用拯馬(용증마) : 구원하는 말을 씀에

壯吉(장길) : 건장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六二之吉(육이지길) : '육이지길'은

順以則也(순이칙야) : 순함으로써 본받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明夷于南狩(명이우남수) : 명이에 남쪽으로 사냥해서

得其大首(득기대수) : 그 큰머리를 얻으니,

不可疾貞(부가질정) : 빨리 바르게 할 수 없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南狩之志(남수지지) : '남수'의 뜻을

乃大得也(내대득야) : 이에 크게 얻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入于左腹(입우좌복) : 왼쪽배에 들어가서

獲明夷之心(획명이지심) : 명이의 마음을 얻어서

于出門庭(우출문정) : 문정에 나옴이로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入于左腹(입우좌복) : '입우좌복'은

獲心意也(획심의야) : 마음과 뜻을 얻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箕子之明夷(기자지명이) : 기자의 명이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箕子之貞(기자지정) : '기자지정'은

明不可息也(명부가식야) : 밝은 것은 쉬지 않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不明晦(부명회) : 밝지 아니하여 그믐이니,

初登于天(초등우천) : 처음에는 하늘에 오르고

後入于地(후입우지) : 나중에는 땅에 들어가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初登于天(초등우천) : '초등우천'은

照四國也(조사국야) : 사국을 비춤이요,

後入于地(후입우지) : '후입우지'는

失則也(실칙야) : 법을 잃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6지화명이地火明夷?category=343349 [빈막(賓幕)]

 

36_지화명이(地火明夷)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6_지화명이(地火明夷) 明夷(명이) : 명이는 利艱貞(이간정) : 어렵게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hwalove.tistory.com

 

 

35_화지진(火地晉)

 

晉康侯用錫馬蕃庶(진강후용석마번서) : 진은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晝日三接(주일삼접) : 하룻날에 세번 접하도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晉進也(진진야) : 진은 나아가는 것이니,

明出地上(명출지상) : 밝은 것이 땅 위에 나와서,

順而麗乎大明(순이려호대명) : 순해서 크게 밝은 데에 걸리고,

柔進而上行(유진이상행) : 유가 나아가 위로 행함이라.

 

是以(시이) : 이로써

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也(강후용석마번서주일삼접야) :
나라를 평안케 하는 제후에게 마필을 상으로 주되 그 수가 풍성하고
하루에 세 번 접견하는 우대를 베풀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明出地上晉(명출지상진) : 밝은 것이 땅위에 나온 것이 <진>이니,

君子以自昭明德(군자이자소명덕) : 군자가 스스로 밝은 덕을 밝히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晉如摧如貞吉(진여최정여길) : 나아가는듯 꺾이는 듯함에 바르게 하면 길하고,

罔孚裕无咎(망부유무구) : 믿음이 없더라도 넉넉하게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晉如摧如(진여최여) : '진여최여'는

獨行正也(독행정야) : 홀로 바른 것을 행함이요,

裕无咎(유무구) : '유무구'는

未受命也(미수명야) : 명을 받지 아니할새라.

 

六二(육이) : 육이는

晉如愁如(진여수여) : 나아가는 것이 근심하는 듯하나.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리니

受玆介福于其王母(수자개복우기왕모) : 이 큰 복을 그 왕모로뿌터 받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受玆介福(수자개복) : '수자개복'은

以中正也(이중정야) : 중정하고 바름으로 써라.

 

六三(육삼) : 육삼은

衆允(중윤) : 무리가 믿음이라.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衆允之志(중윤지지) : '중윤'의 뜻은

上行也(상행야) : 위로 행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晉如鼫鼠(진여석서) : 나아가는 것이 다람쥐니,

貞厲(정려) : 고집부리면 위태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鼫鼠貞厲(석서정려) : '석서정려'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며

失得勿恤(실득물휼) : 잃고 얻음을 근심치 말 것이니,

往吉无不利(왕길무부리) : 감에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失得勿恤(실득물휼) : '실득물휼'은

往有慶也(왕유경야) : 가면 경사가 있으리라.

 

上九(상구) : 상구는

晉其角(진기각) : 그 뿔에 나아감이니,

維用伐邑(유용벌읍) : 오직 써 읍을 치면

厲吉无咎(려길무구) : 위태하나 길하고 허물이 없거니와,

貞吝(정인) : 고집하면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維用伐邑(유용벌읍) : '유용벌읍'은

道未光也(도미광야) : 도가 빛나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5화지진火地晉?category=343349 [빈막(賓幕)]

 

35_화지진(火地晉)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5_화지진(火地晉) 晉康侯用錫馬蕃庶(진강후용석마번서) : 진은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晝日三接(주일삼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