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_택수곤(澤水困)

 

困(곤) : <곤>은

亨貞(형정) : 형통하고, 바르니

大人(대인) : 대인이라.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有言不信(유언부신) : 말이 있으면 믿지 않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困剛揜也(곤강엄야) : <곤>은 <강>이 가리워짐이니.

險以說(험이열) : 험하되 기뻐하며,

困而不失其所亨(곤이부실기소형) : 곤궁하되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아니하니,

其唯君子乎(기유군자호) : 그 오직 군자이로다

貞大人吉(정대인길) : '정대인길'은

以剛中也(이강중야) : 강이 정중함으로써요,

有言不信(유언부신) : '유언부신'은

尙口乃窮也(상구내궁야) : 입을 숭상함이 이에 궁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无水困(택무수곤) : 못에 물이 없는 것이 곤괘의 괘상이니,

君子以致命遂志(군자이치명수지) : 군자가 이로써 목숨을 다하여 뜻을 이루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臀困于株木(둔곤우주목) : 궁둥이가 등걸에 <곤>함이라.

入于幽谷(입우유곡) : 그윽한 골짜기에 들어가서

三歲不覿(삼세부적) : 3년이라도 보지 못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入于幽谷(입우유곡) : '입우유곡'은

幽不明也(유부명야) : 그윽해서 밝지 못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困于酒食(곤우주식) : 일상의 식생활에 곤란하나

朱紱方來(주불방래) : 붉은 인끈을 찬 천자의 사자가 있어 바야흐로 오리니,

利用亨祀(리용형사) : 제사를 올림이 이로우니,

征凶无咎(정흉무구) : 구하려 가면 흉하니 허물할 데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困于酒食(곤우주식) : '곤우주식'은,

中有慶也(중유경야) : 중정이라 경사가 있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困于石(곤우석) : 돌에 곤란하며

據于蒺藜(거우질려) : 가시에 웅거함이라.

入于其宮(입우기궁) : 그 집에 들어가더라도

不見其妻(부견기처) : 그 처를 보지 못하니 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據于蒺藜(거우질려) : '거우질려'는

乘剛也(승강야) : 강을 탐이요,

入于其宮不見其妻(입우기궁부견기처) : 제집에 들어가니 아내를 보지 못하니

不祥也(부상야) : 상서롭지 못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來徐徐(래서서) : 오는 것이 느릿느릿한 것은

困于金車(곤우김거) : 쇠수레에 곤함을 당하니

吝有終(인유종) : 인색하나 마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來徐徐(래서서) : '래서서'는

志在下也(지재하야) : 뜻이 아래에 있음이니,

雖不當位(수불당위) : 비롯 자리가 마땅치 않으나

有與也(유여야) : 더불음이 있느니라.

 

九五(구오) : 구오는

劓刖(의월) : 코를 베이고 발꿈치를 베임이니,

困于赤紱(곤우적불) : 벼슬아치에 괴로움을 당하나,

乃徐有說(내서유열) : 이에 서서히 기쁨이 있으리니,

利用祭祀(이용제사) : 제사를 지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劓刖(의월) : '의월'은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얻지 못함이요,

乃徐有說(내서유열) : '내서유열'은

以中直也(이중직야) : 중정하고 곧음으로써요,

利用祭祀(이용제사) : '이용제사'는

受福也(수복야) : 복을 받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困于葛藟于臲卼(곤우갈류우얼올) : 칡덩쿨과 위태함에 곤란함이니,

曰動悔(왈동회) : 말하되 '움직이면 뉘우친다'라 하여

有悔征吉(유회정길) : 뉘우침을 두면 가서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困于葛藟(곤우갈류) : '곤우갈류'는

未當也(미당야) : 당치 않음이요,

動悔有悔(동회유회) : '동회유회'는

吉行也(길행야) : 길하게 행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7택수곤澤水困?category=343349 [빈막(賓幕)]

 

47_택수곤(澤水困)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7_택수곤(澤水困) 困(곤) : <곤>은 亨貞(형정) : 형통하고, 바르니 大人(대인) : 대인이라.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

hwalove.tistory.com

 

 

46_지풍승(地風升)

 

升(승) : <승>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

用見大人勿恤(용견대인물휼) : 대인을 보되 근심치 말고

南征吉(남정길) : 남으로 가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柔以時升(유이시승) : <유>가 때로 올라가서,

巽而順(손이순) : 겸손해서 순하고,

剛中而應(강중이응) : 강한 것이 중정해서 응함이라.

是以大亨(시이대형) : 이로써 크게 형통하니라.

用見大人勿恤(용견대인물휼) : '용견대인물휼'은

有慶也(유경야) : 경사가 있음이요,

南征吉(남정길) : '남정길'은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地中生木升(지중생목승) : 땅가운데에서 나무가 나오는 것이 <승>이니,

君子以順德(군자이순덕) : 군자가 덕에 순해서

積小以高大(적소이고대) : 작은 것을 쌓아 크게 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允升大吉(윤승대길) : 믿어서 오름이니 크게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允升大吉(윤승대길) : '윤승대길'은

上合志也(상합지야) : 위와 뜻이 합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孚乃利用禴(부내이용약) : 믿어서 이에 간략한 제사를 씀이 이로우니,

无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二之孚(구이지부) : '구이지부'는

有喜也(유희야) : 기쁨이 있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升虛邑(승허읍) : 빈 읍에 오름이로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升虛邑(승허읍) : '승허읍'은

无所疑也(무소의야) : 의심할 바가 없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王用亨于岐山(왕용형우기산) : 왕이 기산에서 제사를 지내면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用亨于岐山(왕용형우기산) : '왕용향우기산'은

順事也(순사야) : 순히 섬김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貞吉(정길) : 바르게 하여야 길하리니

升階(승계) : 섬돌에 오르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貞吉升階(정길승계) : '정길승계'는

大得志也(대득지야) : 뜻을 크게 얻으리라.

 

上六(상육) : 상육은

冥升(명승) : 어둡게 오름이니,

利于不息之貞(이우부식지정) : 계속하지 않는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冥升在(명승재) : '명승'이 위에 있으니,

消不富也(소부부야) : 사라져 부유하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6지풍승地風升?category=343349 [빈막(賓幕)]

 

46_지풍승(地風升)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6_지풍승(地風升) 升(승) : <승>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 用見大人勿恤(용견대인물휼) : 대인을 보되 근심치 말고 南征

hwalove.tistory.com

 

 

   45_택지췌(澤地萃)

 

萃(췌) : <췌>는

亨王假有廟(형왕가유묘) : 형하니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함이니,

利見大人亨利貞(이견대인형이정) : 대인을 봄이 이롭고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用大牲吉(용대생길) : 큰 희생을 쓰는 것이 길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갈 바를 둠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萃聚也(췌취야) : <취>는 모으는 것이니,

順以說(순이열) : 순해서 기뻐하고,

剛中而應(강중이응) : 강한 것이 가운데에서 응함이라.

故聚也(고취야) : 그러므로 모이느리라.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가유묘'는

致孝享也(치효향야) : 효성으로 제사를 이룸이요,

利見大人亨(이견대인형) : '이견대인형'은

聚以正也(취이정야) : 모으는 데 바른것으로 함이요,

用大牲吉利有攸往(용대생길이유유왕) : '용대생길이유유왕'은

順天命也(순천명야) : 천명을 따름이니,

觀其所聚(관기소취) : 그 모이는 바를 보아서

而天地萬物之情(이천지만물지정) : 천지만물의 실정을

可見矣(가견의) : 가히 보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上於地萃(택상어지췌) : 못이 땅의 위에 한 것이 취괘의 괘상이니.

君子以除戎器(군자이제융기) : 군자가 이로써 병기를 수리하여

戒不虞(계부우) : 헤아리지 못할 것을 경계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有孚(유부) : 미더움이 있으나

不終乃亂乃萃(불종내란내췌) : 끝까지 아니하면 이에 어지럽고 이에 모으니.

若號(약호) : 호소하는 듯하면

一握爲笑(일악위소) : 일제히 비웃으리니,

勿恤往无咎(물휼왕무구) : 근심치 말고 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乃亂乃萃(내란내췌) : '내란내췌'는

其志亂也(기지란야) : 그 뜻이 어지러움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引吉无咎(인길무구) : 이끌면 길하여 허물이 없으리니,

孚乃利用禴(부내이용약) : 미더워서 이에 간략히 제사 올리는 것이 이로우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引吉无咎(인길무구) : '인길무구'는

中未變也(중미변야) : 중정해서 변하지 아니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萃如嗟如(췌여차여) : 모이는데 슬퍼하느니라.

无攸利(무유리) : 이로운 바가 없으니,

往无咎(왕무구) : 가면 허물이 없거니와

小吝(소린) : 조금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往无咎(왕무구) : 가서 허물이 없다는 것은

上巽也(상손야) : 위가 겸손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大吉无咎(대길무구) : 크게 길하여야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大吉无咎(대길무구) : '대길무구'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당치 아니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萃有位无咎(췌유위무구) : 모으는데 자리가 있고 허물이 없으나.

匪孚(비부) : 믿지 아니하거든

元永貞悔(원영정회) : 크게 길이 바른 길을 지켜야 후회가 해소된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萃有位(췌유위) : '췌유위'는

志未光也(지미광야) : 뜻이 빛나지 않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齎咨涕无咎(재자체무구) : 탄식하며 눈물을 흘림이니, 허물할 데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齎咨涕(재자체) : '지자체이'는

未安上也(미안상야) : 위에서 편안하지 못함이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5택지췌澤地萃?category=343349 [빈막(賓幕)]

 

45_택지췌(澤地萃)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5_택지췌(澤地萃) 萃(췌) : <췌>는 亨王假有廟(형왕가유묘) : 형하니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함이니, 利見大人亨利貞(이견

hwalove.tistory.com

 

 

  43_택천쾌(澤天夬)

 

夬(쾌) : 쾌는

揚于王庭(양우왕정) : 왕의 뜰에서 드날림이니,

孚號有厲(부호유려) : 미덥게 부르짖어 위엄이 있게 한다

告自邑(고자읍) : 읍으로부터 고함이요,

不利卽戎(부리즉융) : 군사에 나아가는 것이 이롭지 아니하며,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夬決也(쾌결야) : 쾌는 결단하는 것이니,

剛決柔也(강결유야) : <강>이 <유>를 결단함이니,

健而說(건이열) : 굳세며 기뻐하고,

決而和(결이화) : 결단하여 회합하니라,

揚于王庭(양우왕정) : '양우왕정'은

柔乘五剛也(유승오강야) : <유>가 다섯 <강>을 타는 것이요,

孚號有厲(부호유려) : '부호유려'는

其危乃光也(기위내광야) : 그 위태함이 이에 빛남이요,

告自邑不利卽戎(고자읍부리즉융) : '고자읍부리즉융'은

所尙乃窮也(소상내궁야) : 숭상하는 바가 궁하게 됨이요,

利有攸往(이유유왕) : '이유유왕'은

剛長乃終也(강장내종야) : 강한 것이 자라서 이에 마침이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上於天夬(택상어천쾌) : 못이 하늘에 오르는 것이 쾌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施祿及下(군자이시록급하) : 군자가 녹을 베풀음이 아래에 미치며,

居德則忌(거덕즉기) : 덕에 거하여 꺼림을 법받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壯于前趾(장우전지) : 앞 발꿈치에 장함이니,

往不勝爲咎(왕부승위구) : 가서 이기지 못하면 허물이 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不勝而往咎也(부승이왕구야) : 이기지 못하면서 가는 것이 허물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惕號(척호) : 두렵게 부르짖음이니,

莫夜有戎勿恤(막야유융물휼) : 저문 밤에 군사가 있더라도 근심치 말지로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有戎勿恤(유융물휼) : '유융물휼'은

得中道也(득중도야) : 중도를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壯于구頄有凶(壯于구규유흉) : 광대뼈에 장해서 흉함이 있고

獨行遇雨(독행우우) : 홀로 행하여 비를 만나니.

君子夬夬(군자쾌쾌) : 군자는 결단할 것을 결단하는지라,

若濡有无咎(약유유무구) : 젖는듯 해서 성냄이 있으면 허물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夬夬(군자쾌쾌) : '군자쾌쾌'라

終无咎也(종무구야) : 마침내 허물이 없느니라.

 

九四(구사) : 구사는

臀无膚其行次且(둔무부기행차차) : 볼기에 살이 없으며 그 행함이 머뭇거리니,

牽羊悔亡(견양회망) : 끌면 뉘우침이 없으련마는

聞言不信(문언부신) : 말을 듣더라도 믿지 않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其行次且(기행차차) : '기행차차'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당치 않음이요,

聞言不信(문언부신) : '문언부신'은

聰不明也(총부명야) : 귀밝음이 밝지 않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莧陸夬夬(현륙쾌쾌) : 현륙을 결단하고 결단하면,

中行无咎(중행무구) : <중>을 행함에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中行无咎(중행무구) : '중행무구'나

中未光也(중미광야) : <중>이 빛나지 못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无號(무호) : 호소할 데가 없으니,

終有凶(종유흉) : 마침내 흉함이 있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无號之凶(무호지흉) : '무호지흉'은

終不可長也(종부가장야) : 끝까지 길지 못하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3택천쾌澤天夬?category=343349 [빈막(賓幕)]

 

43_택천쾌(澤天夬)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43_택천쾌(澤天夬) 夬(쾌) : 쾌는 揚于王庭(양우왕정) : 왕의 뜰에서 드날림이니, 孚號有厲(부호유려) : 미덥게 부르짖어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