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_택화혁(澤火革)
革(혁) : <개혁>은
已日乃孚(이일내부) : 끝나는 날이라야 곧 믿음이 가니,
元亨利貞(원형이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革水火相息(혁수화상식) : 개혁은 물과 불이 서로 멸하며,
二女同居(이녀동거) : 두 여인이 서로 같이 살되
其志不相得曰革(기지부상득왈혁) : 그 뜻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을 <혁>이라고 한다.
已日乃孚(이일내부) : '已日乃孚'는
革而信之(혁이신지) : 개혁되어야 믿게된다.
文明以說(문명이열) : 문명하고 기뻐하여
大亨以正(대형이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니,
革而當(혁이당) : 고쳐서 마땅함에
其悔乃亡(기회내망) : 그 뉘우침이 이에 없어지느니라.
天地革(천지혁) : 천지가 고쳐서
而四時成(이사시성) : 사시가 이루어지며,
湯武革命(탕무혁명) : <탕무>가 혁명해서
順乎天(순호천) : 하늘에 순종하고
而應乎人(이응호인) : 백성에게 응하니,
革之時(혁지시) : 개혁의 때가
大矣哉(대의재) :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中有火革(택중유화혁) : 못 가운데 불이 있는 것이 혁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治歷明時(군자이치력명시) : 군자가 이로서 책력을 다스리고 때를 밝히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鞏用黃牛之革(공용황우지혁) : 굳게 누런 소의 가죽을 굳게 묶어 맨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鞏用黃牛(공용황우) : '공용황우'는
不可以有爲也(부가이유위야) : 가히 행할 수 없게 하다.
六二(육이) : 육이는
已日乃革之(이일내혁지) : 그치는 날이어야 이를 고치리니,
征吉无咎(정길무구) : 전진하면 길해서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已日革之(이일혁지) : '이일혁지'는
行有嘉也(행유가야) : 행함에 아름다움이 있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征凶(정흉) : 떠나면 흉하니,
貞厲(정려) : 바르게 하고 위태하게 할 것이니,
革言三就有孚(혁언삼취유부) : 고친다는 말이 세번 후에 나아가면 믿음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革言三就(혁언삼취) : 개혁한다는 말을 3번하고 나아가니
又何之矣(우하지의) : 또 어디에 가겠는가.
九四(구사) : 구사는
悔亡(회망) : 회한이 없어지니
有孚改命吉(유부개명길) : 믿음이 있으면 명을 고쳐도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改命之吉(개명지길) : '개명지길'은
信志也(신지야) : 뜻을 믿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大人虎變(대인호변) : 대인이 호랑이 처럼 변하는 것이니,
未占有孚(미점유부) : 점을 하지 아니해도 믿음이 있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大人虎變(대인호변) : '대인호변'은
其文炳也(기문병야) : 그 무늬가 빛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君子豹變(군자표변) : 군자는 표범으로 변함이요,
小人革面(소인혁면) : 소인은 낯만 고치니,
征凶居貞吉(정흉거정길) : 나가면 흉하고 바른데 거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豹變(군자표변) : '군자표변'은
其文蔚也(기문울야) : 그 무늬가 성함이요,
小人革面(소인혁면) : '소인혁면'은
順以從君也(순이종군야) : 순해서 임금을 좇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49택화혁澤火革?category=343349 [빈막(賓幕)]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51. 진위뇌(震爲雷) (0) | 2021.02.09 |
---|---|
주역(周易) 50. 화풍정(火風鼎) (0) | 2021.02.09 |
주역(周易) 48. 수풍정(水風井) (0) | 2021.02.09 |
주역(周易) 47. 택수곤(澤水困) (0) | 2021.02.09 |
주역(周易) 46. 지풍승(地風升)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