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_화풍정(火風鼎)
鼎(정) : 정은
元吉亨(원길형) : 크게 길하여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鼎象也(정상야) : <정>은 형상이니,
以木巽火亨飪也(이목손화형임야) : 나무로써 불을 들여서 밥을 삶으니
聖人亨(성인형) : 성인이 삶아서
以享上帝(이향상제) : 상제께 제사 올리고,
而大亨(이대형) : 크게 삶아서
以養聖賢(이양성현) : 성현을 기르느니라.
巽而耳目聰明(손이이목총명) : 겸손하고 귀와 눈이 총명하며,
柔進而上行(유진이상행) : <유화한 자>가 나아가 높은 자리로 가고
得中而應乎剛(득중이응호강) : <중정>을 얻어 강에 응함이라.
是以元亨(시이원형) : 이로써 크게 형통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木上有火鼎(목상유화정) : 나무위에 불이 있는 것이 정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正位凝命(군자이정위응명) : 군자가 자리하여 바로해서 천명을 완수한다.
初六(초육) : 초육은
鼎顚趾(정전지) : 솥이 발꿈치가 엎어지나
利出否(이출부) : 비색한 것을 내놓는 것이 이로우니,
得妾以其子无咎(득첩이기자무구) : 첩을 얻으면 그 자식으로써 허물이 없어지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鼎顚趾未悖也(정전지미패야) : '정전지'나 거스리지 아니함이요,
利出否以從貴也(이출부이종귀야) : '이출부'는 귀한 것을 좇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鼎有實(정유실) : 솥에 실물이 있으니
我仇有疾(아구유질) : 내 원수는 병이 들었으니,
不我能卽吉(부아능즉길) : 나를 능히하지 못하니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鼎有實(정유실) : '鼎有實'이나
愼所之也(신소지야) : 삼가해서 가는 바를 삼가야 한다
我仇有疾(아구유질) : '我仇有疾'하니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어지리라.
九三(구삼) : 구삼은
鼎耳革(정이혁) : 솥귀가 고쳐서
其行塞(기행색) : 그 행함이 막혀서
稚膏不食(치고부식) : 꿩의 기름을 먹지 못하나,
方雨(방우) : 바야흐로 비 내려서
虧悔終吉(휴회종길) : 뉘우침이 이그러져 마침내 길하게 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鼎耳革(정이혁) : '정이혁'은
失其義也(실기의야) : 그 뜻을 잃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鼎折足覆公餗(정절족복공속) : 솥이 다리가 부러져서 공의 밥을 엎으니,
其形渥凶(기형악흉) : 그 얼굴이 젖음이라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覆公信如何也(복공신여하야) : '복공속'하니 믿음이 어떠하리오.
六五(육오) : 육오는
鼎黃耳金鉉(정황이김현) : 솥이 누런 귀에 금 고리니
利貞(이정) : 바르게 힘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鼎黃耳(정황이) : '정황이'는
中以爲實也(중이위실야) : 중정서 실물이 있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鼎玉鉉(정옥현) : 솥이 옥고리이니
大吉无不利(대길무부리) : 크게 길해서 이롭지 아니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玉鉉在上(옥현재상) : '옥현재상'은
剛柔節也(강유절야) : 강과 유가 절제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0화풍정火風鼎?category=343349 [빈막(賓幕)]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52. 간위산(艮爲山) (0) | 2021.02.09 |
---|---|
주역(周易) 51. 진위뇌(震爲雷) (0) | 2021.02.09 |
주역(周易) 49. 택화혁(澤火革) (0) | 2021.02.09 |
주역(周易) 48. 수풍정(水風井) (0) | 2021.02.09 |
주역(周易) 47. 택수곤(澤水困)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