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_화지진(火地晉)

 

晉康侯用錫馬蕃庶(진강후용석마번서) : 진은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晝日三接(주일삼접) : 하룻날에 세번 접하도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晉進也(진진야) : 진은 나아가는 것이니,

明出地上(명출지상) : 밝은 것이 땅 위에 나와서,

順而麗乎大明(순이려호대명) : 순해서 크게 밝은 데에 걸리고,

柔進而上行(유진이상행) : 유가 나아가 위로 행함이라.

 

是以(시이) : 이로써

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也(강후용석마번서주일삼접야) :
나라를 평안케 하는 제후에게 마필을 상으로 주되 그 수가 풍성하고
하루에 세 번 접견하는 우대를 베풀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明出地上晉(명출지상진) : 밝은 것이 땅위에 나온 것이 <진>이니,

君子以自昭明德(군자이자소명덕) : 군자가 스스로 밝은 덕을 밝히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晉如摧如貞吉(진여최정여길) : 나아가는듯 꺾이는 듯함에 바르게 하면 길하고,

罔孚裕无咎(망부유무구) : 믿음이 없더라도 넉넉하게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晉如摧如(진여최여) : '진여최여'는

獨行正也(독행정야) : 홀로 바른 것을 행함이요,

裕无咎(유무구) : '유무구'는

未受命也(미수명야) : 명을 받지 아니할새라.

 

六二(육이) : 육이는

晉如愁如(진여수여) : 나아가는 것이 근심하는 듯하나.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리니

受玆介福于其王母(수자개복우기왕모) : 이 큰 복을 그 왕모로뿌터 받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受玆介福(수자개복) : '수자개복'은

以中正也(이중정야) : 중정하고 바름으로 써라.

 

六三(육삼) : 육삼은

衆允(중윤) : 무리가 믿음이라.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衆允之志(중윤지지) : '중윤'의 뜻은

上行也(상행야) : 위로 행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晉如鼫鼠(진여석서) : 나아가는 것이 다람쥐니,

貞厲(정려) : 고집부리면 위태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鼫鼠貞厲(석서정려) : '석서정려'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며

失得勿恤(실득물휼) : 잃고 얻음을 근심치 말 것이니,

往吉无不利(왕길무부리) : 감에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失得勿恤(실득물휼) : '실득물휼'은

往有慶也(왕유경야) : 가면 경사가 있으리라.

 

上九(상구) : 상구는

晉其角(진기각) : 그 뿔에 나아감이니,

維用伐邑(유용벌읍) : 오직 써 읍을 치면

厲吉无咎(려길무구) : 위태하나 길하고 허물이 없거니와,

貞吝(정인) : 고집하면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維用伐邑(유용벌읍) : '유용벌읍'은

道未光也(도미광야) : 도가 빛나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5화지진火地晉?category=343349 [빈막(賓幕)]

 

35_화지진(火地晉)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35_화지진(火地晉) 晉康侯用錫馬蕃庶(진강후용석마번서) : 진은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晝日三接(주일삼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