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21649

 

주희(朱熹),朱子十悔 & 武夷九曲歌/ 도연명, 桃花源記 & 歸去來辭

주희(朱熹), 朱子十悔 or 朱子十訓 不孝父母死後悔 (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후에 뉘우친다. 不親宗族疎後悔 (부친종족소후회) 종친들에게 친밀하밀 않으면 헤어진

kydong77.tistory.com

 

https://historylibrary.net/entry/%EC%A3%BC%ED%9D%AC%E6%9C%B1%E7%86%B9%E3%80%88%EB%AC%B4%EC%9D%B4%EA%B5%AC%EA%B3%A1%EA%B0%80%E6%AD%A6%E5%A4%B7%E4%B9%9D%E6%9B%B2%E6%AD%8C%E3%80%89

 

주희(朱熹)〈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

《주자대전(朱子大全)》 권9에 수록되었는데, 그 제목은 〈순희 갑진년 2월에 정사에서 한가로이 거처하다가 장난삼아 무이도가 10수를 지어 함께 놀러온 동지들에게 주고 한번 웃노라[淳熙甲辰

historylibrary.net

주자대전(朱子大全)》 권9에 수록되었는데, 그 제목은 〈순희 갑진년 2월에 정사에서 한가로이 거처하다가 장난삼아 무이도가 10수를 지어 함께 놀러온 동지들에게 주고 한번 웃노라[淳熙甲辰仲春 精舍閒居 戱作武夷櫂歌十首 呈諸同遊相與一笑]〉이다.

〈무이구곡가〉 로 줄여 일컫는다. 무이구곡은 복건성(福建省) 숭안현(崇安縣) 무이산(武夷山)에 일대인데, 주희는 1183년 무이구곡의 제5곡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을 지었고, 이듬해 이 〈무이구곡가〉를 지었다.

〈무이구곡가〉 서(序) 1수1곡부터 9곡까지 각각 1수씩 모두 10 수로 되어 있다.

 

[1]

武夷山上有仙靈 

무이산상유선령, 무이산 산속에 신선이 살고 있고       

山下寒流曲曲淸   

산하한류곡곡청, 산 아래 찬 냇물 굽이굽이 맑아라          

欲識箇中奇絶處

욕식개중기절처, 그 속의 멋진 경치 아시고 싶거들랑       

棹歌閑聽兩三聲

도가한청량삼성, 뱃노래 두어 가락 조용히 들어 보소       

 

[2]

一曲溪邊上釣船

일곡계변상조선, 첫째 구비 냇가에서 낚싯배에 올라타니   

幔亭峰影蘸晴川

만정봉영잠청천, 만정봉 그림자가 맑은 시내에 잠겼어라   

虹橋一斷無消息

홍교일단무소식, 홍교가 한번 끊어진 뒤로 소식이 없더니  

萬壑千巖鎖翠烟

만학천암쇄취연, 만학천봉을 푸른 안개가 잡아 가두었네   

 

[3]

二曲亭亭玉女峯

이곡정정옥녀봉, 둘째 굽이에 우뚝 서 있는 옥녀봉이여    

揷花臨水爲誰容

삽화림수위수용, 꽃 꽂고 물 굽어보며 뉘 보라 화장했나   

道人不復荒臺夢

도인불부황대몽, 도인은 황대몽을 다시는 꾸지 아니하니  

興入前山翠幾重

흥입전산취기중, 흥겨운 것은 앞산의 첩첩한 푸르름이네  

 

해설)

3행 ‘道人不復荒臺夢’을 ‘道人不復陽臺夢(도인불부양대몽)’으로 쓰기도 한다.

황대몽(荒臺夢)은 꿈속에 무산(巫山)에서 신녀(神女)와 만나는 것을 말한다.

 

[4]

三曲君看架壑船

삼곡군간가학선, 셋째 굽이에서 그대 보았던 가학선은   

不知停棹幾何年

부지정도기하년, 노 젖지 않은 지 몇 해인지 모르겠소      

桑田海水今如許

상전해수금여허, 바다가 지금 이처럼 뽕밭이 되었으니     

泡沫風燈敢自憐

포말풍등감자련, 포말과 풍등 같은 인생 가련타 하리라    

 

해설)

1행 ‘架壑船(가학선)’은 架壑船棺(가학선관)으로 무이산 일대에서 행하던 시신을 배에 담아 바위 벼랑에 매달아 장사지내던 풍습을 이른다.

 

[5]

四曲東西兩石巖

사곡동서량석암, 넷째 굽이 동서로 마주선 두 바위산에    

巖花垂露碧㲯毿

암화수노벽모삼, 꽃은 이슬 맺혀 바위는 푸른 모포로다    

金鷄叫罷無人見

금계규파무인견, 새벽닭 울었건만 인적은 보이지 않고     

月滿空山水滿潭

월만공산수만담, 빈 산에 뜬 둥근달이 못에도 그득하오     

 

[6]

五曲山高雲氣深

오곡산고운기심, 다섯째 굽이 산 높고 운무 두터워     

長時烟雨暗平林   

장시연우암평림, 언제나 안개비가 평림에 자욱하네   

林間有客無人識     

림간유객무인식, 숲속의 나그네 알아보는 사람 없고       

欸乃聲中萬古心 

애내성중만고심, 뱃노래 소리에 만고의 마음 담겼네        

 

[7]

六曲蒼屛繞碧灣

륙곡창병요벽만, 여섯째 푸른 물굽이 푸른 병풍 둘러쳤고  

茅茨終日掩柴關

모자종일엄시관, 초가집은 하루 종일 사립문이 닫혔도다   

客來倚棹巖花落

객래의도암화락, 객이 와 배를 띄우니 산꽃만 떨어질 뿐    

猿鳥不驚春意閑

원조불경춘의한, 원숭이 새 놀라지 않고 봄기운 고요하네  

 

[8]

七曲移船上碧灘

칠곡이선상벽탄, 일곱째 굽이에서 배 몰아 벽탄에 가서    

隱屛仙掌更回看

은병선장갱회간, 대은병이며 선장봉을 다시금 돌아보네    

却憐昨夜峯頭雨

각련작야봉두우, 어여뻐라 지난밤 산꼭대기에 뿌린 비여   

添得飛泉幾度寒

첨득비천기도한, 불어난 비천의 물 그 얼마나 차가울까     

 

해설)

대은병(大隱屛)은 오곡에 있는 봉우리로 무이정사(武夷精舍)가 그 아래에 있었고,

선장봉(仙掌峯)은 육곡에 있는 봉우리이다.

 

[9]

八曲風烟勢欲開

팔곡풍연세욕개, 팔곡에 바람 불어 연무가 걷히려하고      

鼓樓巖下水縈迴

고루암하수영회, 고루암 아래로는 물이 소용돌이치네       

莫言此處無佳景

막언차처무가경, 이곳에 멋진 경치 없다고 하지 마오       

自是遊人不上來

자시유인不상래, 단지 유람객이 올라오지 않아서라오       

 

[10]

九曲將窮眼豁然

구곡장궁안활연, 구곡이 끝나려하니 눈앞이 탁 트이고      

桑麻雨露見平川

상마우로견평천, 비이슬 젖은 뽕밭 삼밭 평천에 보인다     

漁郎更覓桃源路

어랑갱멱도원로, 젊은 어부 다시 무릉도원 길을 찾지만     

除是人間別有天

제시인간별유천, 이곳 말고 인간 세상에 별천지* 있을까     

* 위의 '별천지'는 '이상적 세계'의 의미다. 하늘 아래 가장 아름다운 세상을 뜻한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46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70907.010220742500001 

 

[九曲기행 .3] 주자의 무이구곡가...산수 풍광 읊었나, 도학사상 담았나…무이구곡가 해석 분분

조선에 찬란한 구곡문화를 낳게 한 무이도가(武夷櫂歌), 즉 무이구곡가는 어떤 내용일까. 주자가 1184년 무이산 계곡에 구곡을 정하고 지은 무이도가는 무이산의 개황을 읊은 서시로부..

www.yeongnam.com

조선에 찬란한 구곡문화를 낳게 한 무이도가(武夷櫂歌), 즉 무이구곡가는 어떤 내용일까.

주자가 1184년 무이산 계곡에 구곡을 정하고 지은 무이도가는 무이산의 개황을 읊은 서시로부터 시작된다.

무이산 위에는 신선의 정령이 어려 있고

산 아래 찬 물결은 굽이굽이 맑도다

그 가운데 기막힌 절경을 알고자 하는가

뱃노래(櫂歌) 두세 가락 한가로이 들어보게’.

무이산 천유봉에는 도교의 천유각(天游閣)이 있고, 천유각에는 800여세를 살았다는 신선 팽조와 두 아들 팽무·팽이를 모시고 있다. 신선의 정령이 어려 있다는 것은 이를 말한다.

무이산 개황 담은 序詩로 시작
일곡∼구곡 절경 노래 총 10수
성리학 탐구·토론 조선 선비들
朱子 뜻 이해 열쇠로 받아들여


무이구곡을 노래한 무이도가

‘1곡 시냇가에서 낚싯배에 오르니

만정봉 그림자 맑은 물에 잠겨 있네

무지개 다리 한번 끊어진 뒤 소식이 없고

골짜기와 바위 봉우리마다 푸르스름한 안개 자욱하네’

1곡 시다. 일곡 북쪽에는 대왕봉(527m)이 솟아있고 그 왼쪽에 만정봉(512m)이 있다. 만정봉은 도가(道家)의 무이군(武夷君)이 연회를 베풀던 곳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진시황 2년 가을에 무이군이 허공에 무지개다리를 놓고 여러 신선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었다고 한다.

‘2곡에 우뚝 솟은 옥녀봉아

꽃을 꽂고 물가에 서 있으니 누구를 위한 단장인가

도인은 더 이상 양대(陽臺)의 운우(雲雨)를 꿈꾸지 않으리

흥에 겨워 앞산에 들어가니 푸르름이 첩첩이네’

2곡에는 유명한 옥녀봉(玉女峯)이 있다. 무이산에서 가장 수려한 봉우리다. 정상에는 나무가 자라고 절벽은 마치 옥석을 잘라 조각한 모습이다. 옥황상제의 딸 옥녀가 아버지 몰래 구름을 타고 인간 세상에 내려왔다가 무이구곡의 산수에 매료되고 우연히 대왕(大王)과 만나 좋아하게 되어 돌아오지 않자, 옥황상제의 노여움으로 옥녀와 대왕이 돌로 변해 계곡의 양쪽에서 서로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삼곡에서 그대는 가학선을 보았는가

노 젓기 그친 지 몇 해인지 모르겠네

뽕밭이 바다로 바뀐 것이 언제인가

물거품 같고 바람 앞의 등불같이 가련한 인생이여’

3곡에는 높고 험준한 암벽의 소장봉(小藏峯)이 있다. 소장봉에는 아득한 절벽 위 틈 사이에 배모양의 목제 관이 있다. 홍교판(虹橋板)과 가학선관(架壑船棺)이다. 가학선관은 골짜기에 설치한 배라는 뜻으로 배 모양의 관(棺)을 말하고, 홍교판은 무지개 다리판이니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목판이다. 풍장(風葬)을 하던 고대 남방의 소수민족 관인 가학선관은 수천년이 지난 지금도 썩지 않고 있다.

‘4곡의 동서에 우뚝 솟은 두 개의 바위산

바위 틈 꽃은 이슬 머금고 푸르게 드리웠네

금계(金鷄) 울어 새벽을 알려도 보이는 이 없고

공산엔 달빛 가득하고 와룡담엔 물결만 넘실대네’

4곡으로 돌아들면 거대한 바위산인 대장봉(407m)과 선조대(仙釣臺)가 마주하고 있다. 대장봉(大藏峯)은 도가(道家)의 대장경을 숨겨둔 곳이라고 한다. 대장봉 아래의 와룡담(臥龍潭)은 구곡 중에서 가장 깊은 곳이다. 선조대는 신선이 낚싯대를 드리우던 곳이라 한다. 강태공도 이곳에 와서 낚시를 했다고 한다. 대장봉에는 금닭이 있었다는 동굴 금계동(金鷄洞)이 있는데, 이곳에도 홍교판과 선관이 있다.

‘5곡은 산 높고 구름이 깊어

언제나 안개비에 평림(平林)은 어둑하네

숲 속의 나그네 알아보는 이 없고

사공의 노랫가락에 만고의 수심 깊어지네’

5곡은 주자가 무이정사를 세워 살던 곳이다. 무이구곡의 중심으로 계곡 북쪽에는 은병봉(隱屛峯)이 우뚝 솟아있고 그 아래에는 주자가 세운 무이정사가 있다. 이 시에 나오는 높은 산은 은병봉을 가리키고, 평림(平林)은 무이정사로 들어가는 초입의 지명을 말한다.

‘6곡의 바위 병풍 푸른 물굽이 휘감아 돌아가고

초가집 사립문은 온종일 닫혀 있네

나그네 와서 배를 띄워 바위 꽃이 떨어져도

원숭이와 새들 놀라지 않고 봄 정취 한가롭네’

9곡은 6곡에 이르러 북쪽에 우뚝 솟은 쇄포암을 바라보며 휘감아 돈다. 쇄포암은 수백개의 물줄기 자국이 파여 있어 장관을 이루는데, 마치 큰 천을 햇볕에 말리는 듯하다고 해서 그렇게 불린다. 신선의 손바닥 같다고 해서 선장암(仙掌巖)이라고도 한다.

‘7곡이라 배를 저어 푸른 여울 거스르며

은병봉과 선장봉을 다시금 돌아본다

어여쁘다 어젯밤 봉우리에 비가 내려

폭포수에 더해지니 얼마나 차가울까’

7곡에는 달공탄(獺控灘)이라는 여울이 있다. 달공탄에서 아래쪽으로 돌아보면 거대한 선장암과 은병봉이 보인다.

‘8곡에 바람 불어 안개 개려 하고

고루암 아래에는 물결이 굽이쳐 돌아가네

이곳에 좋은 경치가 없다고 말하지 마라

여기부터 유람객들이 올라오지 않는구나’

8곡을 돌아 구곡을 향하면 높이 솟은 고루암이 막아선다.

‘9곡에 다다르니 눈앞이 탁 트이고

비와 이슬 내리는 쌍마(桑麻) 밭 평천이 보이네

뱃사공은 다시 무릉도원 가는 길을 찾지만

이곳 말고 인간 세상에 별천지가 있으랴’

구곡을 지나면 평천(平川)이라는 곳이 나온다. 이곳은 지나온 구곡까지와는 달리 하천은 평평하게 흐르고, 주위에는 뽕나무, 대마 등이 자라는 들판이 있다.

◆조선 성리학자들의 무이도가 해석

조선의 구곡문화는 성리학자들이 주자의 이 무이도가(무이구곡가)를 접하면서 시작된다. 주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9곡을 설정하고 무이도가를 읊었을지 모르나,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수용된 이후 본격적으로 학문적 탐구와 토론의 대상이 된 16세기에 이르면 퇴계 이황과 같은 이들에 의해 무이도가는 주자의 문학과 사유를 이해하는 주요한 열쇠의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중국인들과는 달리 무이도가를 특별한 뜻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이해인가를 따지는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9곡문화의 핵심인 무이도가 해석은 도학적으로 인식하여 입도차제(入道次第: 유교 도학의 경지로 진입하는 차례)를 읊은 재도시(載道詩) 또는 조도시(造道詩)라고 보는 관점(하서 김인후), 서정적으로 인식하여 인물기흥(因物起興: 일정한 사물을 통하여 시인이 흥취를 일으키는 것)을 읊은 서경시(敍景詩) 또는 서정시라고 보는 관점(고봉 기대승)으로 나뉘었다.

한편 퇴계 이황은 재도시로 해석하면서도 서경시로 해석하는 절충적 입장을 취했다. 퇴계는 주자가 ‘경치를 묘사하면서 그 속에 탁흥우의(托興寓意)했다’는 절충적인 결론을 내렸다. 산수의 흥취에 의탁하여 무언가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담았다는 말이 ‘탁흥우의’이다.

이처럼 무이도가의 수용에서 드러나는 사림파 지식인들의 의식 차이는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면서 구곡문화는 더욱 다양화하고 심화되게 되었다.

‘무이도가는 도에 들어가는 순서를 읊은 시’라는 인식은 조선 후기에 강하게 자리잡게 되었다. 이런 인식을 더욱 확산시킨 것은 ‘도가시주(櫂歌詩註)’였다. 지금 전하는 책이 아니어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여러 문헌에 부분적으로 전하는 내용을 보면 무이도가 10수를 입도차제에 맞게 정밀하게 해석하며 비평한 책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선 후기 많은 선비들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무이도가를 인식하고 감상했다. 단순한 서정시가 아니라 조도시라는 도학적 입장에서 접근한 것이다.

무이도가 인식이 가장 단적으로 드러나는 곳은 구곡이다. 구곡을 도의 극처로 인식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무이도가 인식을 결정해 준다. 구곡은 경치가 빼어나지 않고 일상의 경관이 전개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평상의 공간을 극처로 인식하는 것은 유람적 접근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더욱 빼어난 경치를 찾아 나아가는 것이 당연한 자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학적으로 접근한다면 이곳이 바로 극처가 되는 것이다. 유자(儒者), 즉 선비의 도는 일상의 인륜에 있기 때문이다.

글·사진=김봉규기자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D%9D%AC

 

주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희(朱熹, 1130년 10월 18일 ~ 1200년 4월 23일)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

ko.wikipedia.org

사상

이기론(理氣論)

이기론은 우주 만물의 구조를 (理)와 (氣)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이기론에 따르면 우주 만물은 이와 기가 결합되어 나타나는데, 여기서 이는 만물을 낳는 근본 원리를 말하며, 기는 만물을 생성하는 재료를 말한다. 주자는 모든 사물이 이와 기의 결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기가 서로 떨어질 수 없으며[理氣不相離], 동시에 원리로서의 이와 재료로서의 기의 역할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이와 기는 서로 뒤섞일 수 없다[理氣不相雜]고 보았다. 주자는 모든 사물은 이(理)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의 측면에서는 똑같다고 보았다. 하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만물이 서로 다른 것은 기(氣)의 맑고 흐림 또는 바르고 치우침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1]

심성론(心性論)[편집]

심성론은 이기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내면적 구조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심성론에 따르면 심(心)은 성(性)과 정(情)을 통괄한다[心統性情]. 성이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이치(理)로,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눌 수 있다. 본연지성은 기질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순선한 것이고,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이 기질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이다. 모든사람의 본연지성은 동일하지만 기질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기질지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또한 정은 성이 외부의 사물에 감응(感應)하여 나타난 감정으로 사단과 칠정을 말한다.[2]

거경궁리론(居敬窮理論)

거경궁리론은 도덕을 실천하여 인격적으로 완성된 군자 성인이 되는 방법에 관한 이론이다. 주자에 따르면 순선한 본연지성이 온전히 드러나기 위해서는 본연지성이 기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양이 필요하다. 그는 이를 위해 먼저 인간 자신을 포함한 세계의 참모습을 밝게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格物致知]. 그래서 사물의 이치와 도리를 먼저 알아야 그에 맞는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선지후행(先知後行)을 강조하였다. 주자는 이와 더불어 선한 본성을 보존하고 함양하여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도록 살펴 경계해야 한다[存養省察]고 주장하였다. 주자에 따르면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인간은 천리를 보존하고 이기적 욕망을 제거하여[存天理去人欲] 이상적 인간이 될 수 있다.[3]

경세론(經世論)

경세론은 세상을 다스리는 것에 관한 이론이다. 주자는 자신을 먼저 수양하고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한다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의 원리에 근거하여, 수양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닦는데 그치지 않고 제도·법률·생산 등과 같은 사회적이고 현실적인 문제까지도 적극적으로 해결할 것을 강조하였다.[4]

이기이원론과 태극도설

우주만물을 형이상학적인 이(理)와 형이하의 기(氣)로서 구성되어있다고 보고, 인간의 본성은 선한 이가 발하여 나타나는 것이나 불순한 기로 인하여 악하게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이와 기로 이뤄진 우주와 만물이 생성되고 움직이는 운동법칙, 원리로서 태극(太極)을 제시한다.

이상의 개념들을 통해 주자는 주염계 태극도설, 정이의 성즉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주자는 동시에 젊은 시절 탐독했던 불교 도교의 사상에서 받았던 영향에서 착안하여 유학의 사상적 이학적 내용을 풍성하게 하는 것에 기여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