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o4kwWLVYO1A 

 

 

https://www.youtube.com/watch?v=QSqVmXMtaDc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I7UGrHQD4typxv3shfzCuHjbyhzznt1gTLaBH8XEJcJhWyNQnUczZYD2nIFrfQME.cpawas2_servlet_engine1?pageNo=1_1_1_0&ccbaCpno=1123119420000 

 

보물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華城 龍珠寺 大雄寶殿)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문화재 검색 보물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華城 龍珠寺 大雄寶殿) Daeungbojeon Hall of Yongjusa Temple, Hwaseong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www.heritage.go.kr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3%BC%EC%82%AC

 

용주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용주사(龍珠寺)는 조계종의 절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화산

에 위치해 있다.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 확장되었다. 조선 정조때에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정조대왕의 효심이 깃든 효찰 대본산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갈양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창건주는 염거화상으로 도의국사에 이어 가지산문 제2대 조사이다. 고려 광종 때는 혜거국사가 머물며 국가의 축원도량으로 삼았다는 기록도 남아 있지만 갈양사는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

갈양사가 다시 중창하게 된 것은 조선 제22대 정조 임금 때다. 정조는 즉위 13년을 맞던 해 전농동 배봉산에 있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이곳으로 이장하고, 수원화성 행궁을 만드는 대대적인 역사를 벌인다. 아버지 묘와 화성의 건설과정을 보기 위해 수시로 이곳까지 거둥하게 되자 아예 시흥으로 질러가는 새로운 길을 만들기도 하고 안양의 만안교라는 돌다리도 새로 만들어 놓게 된다.

이때 정조의 마음을 크게 움직인 스님이 보일당 사일스님이다. 장흥 가지산 보림사 출신이었던 보일스님은 정조에게 부모은중경의 내용을 설해주었다고 한다. 정조는 보일스님이 들려준 부모은중경의 내용에 깊은 감명을 받아 사도세자의 묘를 이장하고 그 주변에 폐사된 갈양사터에 절을 새로 중창하여 용주사라 이름 붙여서 사도세자 묘의 능침사찰로 삼았다.

용주사는 이렇듯 정조대왕의 효성이 깃든 효심의 본찰이자 경기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80여 사찰을 거느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로 오랜 역사와 문화재 그리고 수행의 전통을 간직한 사찰이다.

보물

호성전에는 사도세자 내외분과 정조 내외분의 위패가 모셔져 있었고, 곁에는 부모의 영정을 두고 명복을 비는 이들도 보였다. 지장전의 공간으로도 활용되는 듯하다. 

 

영상한국사 I 298 용주사 후불탱화는 과연 김홍도의 작품일까?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NcQSquT_tPA 

 

 

 

 

https://www.youtube.com/watch?v=BXrJ0ByYozQ 

YouTube에서 보기 를 클릭하시면 열립니다. 이 노래는 어버이날 노래가 아니라 <어머니 마음>입니다.

 

 

1.懷耽守護恩

累劫因緣重 今來托母胎 月逾生五臟 七七六精開

(누겁인연중 금래탁모태 월유생오장 칠칠육정개)

體重如山岳 動止?風災 羅衣都不掛 裝鏡惹塵埃

(체중여산악 동지겁풍재 나의도불괘 장경야진애)

 

⊙ 나를 잉태하시고 지켜 주신 은혜⊙

여러 겁을 내려오며 인연이 중하여서  어머니의 태를 빌어 금생에 태어날 때

-임신부터 분만까지 자식하나가 태어 날때까지 소비된 피의 양과 

출산시 하혈까지 그 양이 서말 서되나 될정도 많다는 비유- 

날이 가고 달이 져서 오장이 생겨나고 일곱 달에 접어드니 육정이 열렸어라

한 몸이 무겁기는 산악과 한가지요 가나오나 서고 안고 바람결 겁이 나며

아름다운 비단옷도 모두 다 뜻 없으니 단장하던 경대에는 먼지만 쌓였더라.

 

2, 臨産守苦恩

懷經十個月 産難欲將臨 朝朝如重病 日日似昏沈

(회경십개월 산난욕장임 조조여중병 일일사혼침)

惶怖難成記 愁漏滿胸襟 含悲告親族 惟懼死來侵

(황포난성기 수누만흉금 함비고친족 유구사래침)

 

⊙해산에 임하여 고통을 받으신 은혜⊙

아기를 몸에 품고 열 달이 다 차서 어려운 해산달이 하루하루 다가오니 

하루하루 오는 아침 중병든 몸과 같고 나날이 깊어가니 정신조차 아득해라

두렵고 떨리는 맘 무엇으로 형용할까 근심은 눈물 되어 가슴속에 가득하니 

슬픈 생각 가이없어 친족들을 만날 때면 이러다가 죽지 않나 이것만을 걱정 하시네

 

3, 生子妄愚恩

慈母生君日 五臟憁開張 身心俱悶絶 血流似屠羊

(자모생군일 오장총개장 신심구민절 혈류사도양)

生己開兒建 歡喜倍可常 熹定悲還至 痛苦徹心腸

(생기개아건 환희배가상 희정비환지 통고철심장)

 

⊙자식을 낳았다고 근심을 잊어버리는 은혜⊙

자비하신 어머니가 그대를 낳으신 달 오장육부 그 모두를 쪼개고 헤치는 듯

몸이나 마음이나 모두가 끊어 졌네. 짐승 잡은 자리같이 피는 흘러 넘쳤어도

낳은 아기 씩씩하고 충실하다 말 들으면 기쁘고 기쁜 마음 무엇으로 비유할까

기쁜 마음 정해지자 슬픈 마음 또 닥치니 괴롭고 아픈 것이 온몸에 사무친다.

 

4, 咽苦吐甘恩

父母恩深重 恩憐無失時 吐甘無所食 咽苦不嚬眉

(부모은심중 은련무실시 토감무소식 인고불빈미)

愛重情難忍 恩深復倍悲 但令孩子飽 慈母不詞飢

(애중정난인 은심부배비 단령해자포 자모불사기)

 

⊙입에 쓰면 삼키고 단 것이면 뱉어서 먹이신 은혜⊙

중하고도 깊고 깊은 부모님 크신 은혜 사랑하고 보살피심 어느 땐들 끊일 손가 

단 것이란 다 뱉으니 잡수실 게 무엇이며 쓴 것만을 삼키어도 밝은 얼굴 잃지 않네.

사랑하심 중하시사 깊은 정이 끝이 없어 은혜는 더욱 깊고 슬픔 또한 더하셔라

어느 때나 어린 아기 잘 먹일 것 생각하니 자비하신 어머님은 굶주림도 사양하지 아니 하네

 

5, 廻乾就濕恩

母自身俱濕 將兒以就乾 兩乳充飢渴 羅袖掩風寒

(모자신구습 장아이취건 양유충기갈 나수엄풍한 )

恩怜恒廢寢 寵弄振能歡 但令孩子穩 慈母不求安

(은령항폐침 총농진능환 단령해자온 자모불구안)

 

⊙마른자리에 아기를 눕히고 진자리에 누우신 은혜⊙

어머니 당신 몸은 젖은 자리 누우시고 아기는 받들어서 마른자리

눕히시며 양쪽의 젖으로는 기갈을 채워 주고고운 옷소매로는 찬바람 가려 주네

은혜로운 그 마음에 어느 땐들 잠드실까 아기의 재롱 으로 기쁨을 다하시며 

오로지 어린 아기 편할 것만 생각하고 자비하신 어머니는 단잠도 사양했네.

 

제6, 乳哺養育恩

慈母象於地 嚴父配於天 覆載恩將等 父孃意亦

(자모상어지 엄부배어천 복재은장등 부양의역연 )

不憎無眼目 父嫌手足격 誕腹親生子 終日惜兼憐

(불증무안목 부혐수족격 탄복친생자 종일석겸련)

 

⊙젖을 먹여 길러 주신 은혜⊙

아버님의 높은 은혜 하늘에 비기오며 어머님의 넓은 공덕 땅에다 비할 손가 

아버지 품어 주고 어머니 젖 주시니 그 하늘 그 땅에서 이 내 몸 자라났네.

ㅡ출산 부터 다음 임신이 될 때까지 2~3년간 먹여 준 젖의 양이 여덟 섬 너말이나 된다는 뜻이며

당시 한 말이란 개념은 소두이며 요즘 5되(9리터)이다.ㅡ

아기 비록 눈 없어도 미워할 줄 모르시고 손과 발이 불구라도 싫어하지 않으시네.

배 가르고 피를 나눠 친히 낳은 자식이라 종일토록 아끼시고 사랑하심 한이 없네.

 

제7 洗濯不淨恩

憶昔美容質 姿媚甚豊濃 盾分翠柳色 兩검奪蓮紅

(억석미용질 자미심풍농 순분취유색 양검탈련홍)

恩深玉貌 洗濯損盤濃 只爲憐男女 慈母改顔容

(은심옥모 세탁손반농 지위련남여 자모개안용)

 

⊙깨끗하지 못한 것을 씻어 주신 은혜⊙

생각하니 그 옛날의 아름답던 그 얼굴과 아리따운 그 모습이 풍만도 하셨어라

갈라지 두 눈썹은 버들잎 같으시고 두 뺨의 붉은 빛은 연꽃보다 더했어라

은혜가 깊을수록 그 모습 여위었고 기저귀 빠시느라 손발이 거칠었네. 

오로지 아들딸만 사랑하고 거두시다 자비하신 어머니는 얼굴 모양 바뀌셨네.

 

제8, 遠行憶念恩

死別誠難忍 生離亦悲傷 子出關外出 母意在他鄕

(사별성난인 생리역비상 자출관외출 모의재타향 )

日夜心相逐 流淚數千行 如猿泣愛子 憶念斷肝腸

(일야심상축 류누수천행 여원읍애자 억념단간장)

 

⊙자식이 멀리 가면 생각하고 염려하시는 은혜⊙

죽어서 헤어짐도 참아가기 어렵지만 살아서 헤어짐은 아프고 서러워라 

자식이 집을 나가 먼 길을 떠나가니 어머니의 모든 마음 타향 밖에 나가 있네.

밤낮으로 그 마음은 아이들을 따라가고 흐르는 눈물 줄기 천 줄긴가. 만 줄긴가.

원숭이 달을 보고 새끼 생각 울부짖듯 염려하는 생각으로 간장이 다 끊기네.

 

제9, 爲造惡業恩

父母江山重 深恩報實難 子告願代受 兒勞母不安

(부모강산중 심은보실난 자고원대수 아노모불안)

聞道遠行去 行遊夜臥寒 男女暫辛苦 長使母心酸

(문도원행거 행유야와한 남여잠신고 장사모심산)

 

⊙자식을 위해 나쁜 일을 하시는 은혜⊙

부모님의 은혜가 강산같이 중하거니 깊고 깊은 그 은덕은 실로 갚기 어려워라 

자식의 괴로움은 대신 받기 원하시고 자식이 고생하면 부모 마음 편치 않네.

자식이 머나먼 길 떠난다 들을 지면 잘 있는가. 춥잖은가 밤낮으로 걱정하고

자식들이 잠시 동안 괴로운 일 당할 때면 어머님의 그 마음은 오래 두고 아프셔라

 

제10, 究竟憐愍恩

父母恩深重 恩憐無失時 起座心相逐 遠近意相隨

(부모은심중 은련무실시 기좌심상축 원근의상수)

母年一百歲 常憂八十兒 欲知恩愛斷 命盡始分離

(모년일백세 상우팔십아 욕지은애단 명진시분리 )

 

⊙자식을 위해 나쁜 일을 하시는 은혜⊙

부모님의 은혜가 강산같이 중하거니 깊고 깊은 그 은덕은 실로 갚기 어려워라

자식의 괴로움은 대신 받기 원하시고 자식이 고생하면 부모 마음 편치 않네.

자식이 머나먼 길 떠난다 들을 지면 잘 있는가. 춥잖은가 밤낮으로 걱정하고

자식들이 잠시 동안 괴로운 일 당할 때면 어머님의 그 마음은 오래 두고 아프셔라

 

단기4348년. 불기 2559년,(서기 2015년 9월 4일)

글 쓴이 청파(靑波). 취람(翠嵐). 여포(呂布). 편집(編輯)

------------------------------------------------------

 

부모은중경 요약

어머니명절에 즈음해 어머니의 크고 깊은 은혜에 보답하라고 가르치는 불교 경전,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에 

나오는 이야기 하나 떠올려 봅니다.

부처님이 어느 날 길을 가다가 제자 아난에게 길가 숲속에 뼈 무더기를 여자의 뼈와 남자의 뼈로 나누라고 명했다. 

아난이 난색을 표하자 부처님은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남자의 뼈는 희고 무겁지만 여자는 아기를 한번 낳을 때마다 서 말 서 되의 피를 흘리고

여덟 섬 너 말의 젖을 먹여야 하므로 뼈가 검고 가벼 우니라”

 

이어 부처님은 어머니의 은혜로 10가지를 꼽았습니다.

1.임신 후 아기를 태중(胎中)에 잘 보호해준 은혜, 

2.산고를 겪으며 아기를 낳아준 은혜,

3.자식을 낳고 나면 모든 고통을 잊어버리는 은혜,

4.입에 쓴 것은 자신이 먹고 단 것만 자식에게 먹이는 은혜,

5.마른 자리에는 자식을 눕히고 젖은 자리에는 자신이 눕는 은혜,

6.젖을 물려 키워준 은혜,

7.손발이 닳도록 깨끗이 씻어준 은혜,

8.자식이 먼 길 떠나면 내내 걱정해주는 은혜,

9.자식을 위해서라면 나쁜 일도 마다 않는 은혜,

10.자식을 끝까지 염려하고 사랑해주는 은혜”

 

어머니의 마음(양주동詞, 이홍렬曲)

https://www.youtube.com/watch?v=N7RwLrwla5M 

 

 https://kydong77.tistory.com/8221

 

아! 어머니 -신달자

아! 어머니 -신달자 어디에도 펼 곳이 없어서 둘둘 말아 가슴 밑바닥에 숨겨둔 그 꿈 어머니 지금은 어느 곳으로 흘러 한 자락 구름이라도 되었을 까요? 구름이 되어 애끊는 비가 되어 맨몸으로

kydong77.tistory.com

 

1.회탐수호은(懷眈守護恩) or 『회태수호은(懷胎守護恩)』

아이를 배어 지키고 보호해준 은혜, 임신과 임신중 태내 성장

 

2. 『임산수고은(臨産受苦恩)』

해산함에 임하여 고통받으신 은혜

 

3.『생자망우은(生子忘憂恩)』

자식을 낳고서야 근심 잊으시는 은혜

 

4.『인고토감은(咽苦吐甘恩)』

쓴 건 삼키고 단 건 뱉아 먹여준 은혜

 

5.『회건취습은(廻乾就濕恩)』

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누이신 은혜

 

6.『유포양육은(乳哺養育恩)』

젖먹이고 사랑으로 길러주신 은혜

 

7.『세탁부정은(洗濯不淨恩)』

목욕 세탁 더러움을 씻어주신 은혜

 

8.『원행억염은(遠行憶念恩)』

멀리 떠나가면 근심 걱정하신 은혜

 

9.『위조악업은(爲造惡業恩)』

자식을 위해서는 모진 일 하신 은혜

 

10.『구경연민은(究竟憐愍恩)』

임종 때도 자식 위해 근심하신 은혜

 

https://kydong77.tistory.com/22007

 

佛說 부모은중경 10도(圖),어머니 마음&정조의 지극한 효심/무애(无涯) 양주동선생님 偉業

*진행이 느려터진 카눈을 보내고 나니, 문득 노래가 생각키우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zLgmEOMuUHU * 어버이날 노래로 불러왔던 이 노래는 의 어머니의 은혜 10가지를 바탕으로 양주동 선생님께

kydong77.tistory.com

『부모은중경』은 이민수 현대역 을유문고본도 있습니다.

 

http://nabizone.net/nara/sub2_5/79394

 

漢 詩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원문 및 해석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원문 및 해석 1.懷耽守護恩 累劫因緣重 今來托母胎 月逾生五臟 七七六精開 (누겁인연중 금래탁모태 월유생오장 칠칠육정개) 體重如山岳 動止?風災 羅衣都不掛 裝鏡惹塵埃 (체중여산악 동지겁풍재 나의도불괘 장경야진애) ⊙ 나를 잉태하시고 지켜 주신 은혜⊙ 여러 겁을 내려오며 인연이 중하여서 어머니의 태를 빌어 금생에 태어날 때 -임신부터 분만까지 자식하나가 태어 날때까지  소비된 피의 양과 출산시 하혈까지  그 양이 서말 서되나 될정도 많다는

nabizone.net

 

https://www.youtube.com/watch?v=29QfJN9VBdA 

 

 

https://www.youtube.com/watch?v=y2A5moP44j8 

 

 

 

무여스님과 함께 하는 사찰여행 - 용주사(경기 화성), Yongjusa Temple - YouTub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