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惠同塵 [삼국유사 권4,義解 5]

혜숙 · 혜공 스님, 풍진세상[속세]에 함께 살다

 

http://blog.daum.net/every-thing/8535693

 

혜숙(惠宿) 스님

 

釋惠宿 沉光於好世郞徒 郞旣讓名黃卷 師亦隱居赤善村(今安康縣有赤谷村)二十餘年

  석혜숙 침광어호세랑도 랑기양명황권 사역은거적선촌(금안강현유적곡촌)이십여년

혜숙(惠宿) 스님은 화랑 호세랑(好世郞)의 무리 속에 있다가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호세랑은 황권(黃卷, 화랑의 명부)에서 이름을 지워 버렸고, 혜숙이 적선촌(赤善村)*에

숨어서 산 지도 20여 년이나 지났다.

 

時國仙瞿旵公嘗往其郊 縱獵一日 宿出於道左 攬轡而請曰

 

시국선구참공상왕기교 종렵일일 숙출어도좌 람비이청왈

어느 날 국선(國仙) 구참공(瞿旵公)이 적선촌 들판에서 하루종일 사냥을 한 덕이 있었다.

혜숙 스님이 길가[道左]에 나가 말고삐를 잡고 부탁하였다.

*赤善村(적선촌), 지금 안강현(安康縣)에 적곡촌(赤谷村)이 있다.

 

庸僧亦願隨從 可乎

용승역원수종 가호

“용승(庸僧)*도 함께 가고 싶습니다. 어떠신지요?”

*庸僧(용승), 용렬한 승려. 자신을 낮추어 부른 말.

 

公許之 於是縱橫馳突 裸袒相先 公旣悅

공허지 어시종횡치돌 라단상선 공기열

  공이 허락하자, 스님은 이리 뛰고 저리 뛰고 달리며 옷을 벗어부치고[裸袒] 앞을 다투니

공이 몹시 기뻐하였다.

 

及休勞坐 數炮烹相餉 宿亦與啖囓 略無忤色 

급휴로좌 수포팽상향 숙역여담설 략무오색 

잠시 앉아 쉬면서 잡은 짐승의 고기를 굽고 삶아 주거나 받거니 하는데, 혜숙 스님 역시

같이 먹으면서 조금도 꺼리는 기색이 없었다.

 

旣而進於前曰 今有美鮮於此 益薦之何

기이진어전왈 금유미선어차 익천지하

이윽고 공의 앞에 나가 말하였다.

“맛있고 신선한 고기가 여기 있어 좀 더 드리려는데 어떠신지요?”

 

公曰,善. 宿屛人割其股 寘盤以薦 衣血淋漓

공왈선 숙병인할기고 치반이천 의혈림리

공이 좋다고 말하자,

스님은 사람을 물리치고 자기 다리 살을 베어서 소반에 올려 바쳤다.

스님의 옷에서는 선혈(鮮血)이 줄줄 흘러내렸다.

 

公愕然曰 何至此耶

공악연왈 하지차야

공이 깜짝 놀라며 물었다.

“이게 무슨 짓인가?”

 

宿曰 始吾謂公仁人也 能恕己通物也 故從之爾

숙왈 시오위공인인야 능서기통물야 고종지이

스님이 대답하였다.

“처음에 저는 공은 어진 분이어서 능히 자기 몸을 미루어 짐승에까지 미치리라 생각하고

따라왔던 것입니다.

 

 

今察公所好 唯殺戮之耽 篤害彼 自養而已

금찰공소호 유살륙지탐 독해피 자양이이

그런데 지금 공께서 좋아하시는 바를 보니,

그저 죽이는 것만을 즐겨 자기 몸만 봉양할 뿐입니다.

 

豈仁人君子之所爲 非吾徒也 遂拂衣而行

기인인군자지소위 비오도야 수불의이행

이것이 어찌 어진 사람이나 군자가 할 도리겠습니까.

이는 우리와 뜻을 함께 하는 무리가 아닙니다.”

말을 마치더니 옷깃을 떨치며 가버렸다.

 

公大慚 視其所食 盤中鮮胾不滅 

공대참 시기소식 반중선자불멸 

공이 크게 부끄러워하며 스님이 먹던 고기를 보니 소반 위의 고기는 한 점도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였다.

 

公甚異之 歸奏於朝 

공심이지 귀주어조 

공이 몹시 기이하게 여겨 돌아와 조정에 아뢰자

 

眞平王聞之 遣使徵迎 

진평왕문지 견사징영 

진평왕(眞平王)이 듣고 사람을

보내어 그를 맞아오게 하였다. 

 

    

宿示臥婦床而寢 中使陋焉 返

숙시와부상이침 중사루언 반

그런데 스님이 여자의 침상에 누워 자고 있는 것을 본 중사

(中使)*가 더럽다 여겨 말도 전하지 않고 그냥 돌아갔다.

 

行七八里 逢師於途 問其所從來

행칠팔리 봉사어도 문기소종래

그런데 7·8리쯤 걸어가는데 혜숙을 만났다.

중사가 어디서 오는 길이냐고 물으니,

 

曰 城中檀越家 赴七日齋 席罷而來矣

왈, 성중단월가 부칠일재 석파이래의

스님이 대답하였다.

“성 안에 있는 시주(施主)집에 가, 칠일재(七日齋)를 마치고 오는 길이라네.”

*中使(중사), 궁궐에서 명령을 전하는 내시.

 

中使以其語達於上 又遣人檢檀越家 其事亦實 

중사이기어달어상 우견인검단월가 기사역실

중사가 전말을 왕에게 아뢰자 사람을 보내어 시주 집에 알아보니 과연 사실이었다.

 

未幾宿忽死 村人轝葬於耳峴(一作硎峴)東

 미기숙홀사 촌인여장어이현(일작형현)동

 

얼마 뒤 혜숙 스님이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사람들이 이현(耳峴, 형현(硎峴)이라고도 한다)

동쪽에 장사를 지냈는데, 

 

其村人有自峴西來者 逢宿於途中 問其何往 

기촌인유자현서래자 봉숙어도중 문기하왕 

그때 마을 사람 가운데 이현 서쪽에서 오는 이가 

도중에 혜숙 스님을 보고 어디로 가느냐고 물었다.

 

曰 久居此地 欲遊他方爾

왈 구거차지 욕유타방이

대답하였다.

“내가 이곳에 워낙 오래 산 터라 그만 다른 동네도 유람하러 간다네.”

 

相揖而別 行半許里 躡雲而逝

상읍이별 행반허리 섭운이서  

그렇게 서로 인사를 하고 헤어졌는데, 반 리(里)쯤 가다가

스님은 구름을 타고 날아가 버렸다.

 

其人至峴東 見葬者未散 具說其由 

기인지현동 견장자미산 구설기유 

그가 고개 동쪽에 이르러 장사지내던 사람들이 아직 흩어지지 않은 것을 보고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開塚視之 唯芒鞋一隻而已

개총시지 유망혜일척이이

사정을 들은 그가 좀 전의 일을 말하고 급히 무덤을 파헤쳐 보니,

안에는 짚신 한 짝만 있을 뿐이었다.

 

今安康縣之北 有寺名惠宿 乃其所居云 亦有浮圖焉

금안강현지북 유사명혜숙 내기소거운 역유부도언

  지금 안강현 북쪽에 혜숙사(惠宿寺)라는 사찰이 있는데, 스님이 머물던 곳이라 한다.

그곳에 부도(浮圖)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