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882655
전통성악 장르인 정가의 최고 여류가객으로 칭송받던 김월하(金月荷.1918-1996) 선생. 1960년대 전성기를 꽃피웠던 국악계 스타이자 전통성악의 맥을 잇는 제자들을 길러낸 `정가의 어머니'였다.
정가의 어머니 선가 김 월 하 /청산리 벽게수야
https://www.youtube.com/watch?v=ivG3l8dg4oU&t=141s
김월하 - 여창 지름시조 '청조야'
https://www.youtube.com/watch?v=2ekEbXxydmM
https://www.youtube.com/watch?v=jhQsYOXCyA0
김월하 - 우조 시조창 '월정명'
https://www.youtube.com/watch?v=jhQsYOXCyA0
김월하 - 이삭대엽 버들은
httwww.youtube.com/watchps://?v=ZHbO-64M0TM
선가 김월하선생 일대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5WDrzwsBOwE
正歌의 어머니 善歌 김 월 하
https://www.youtube.com/watch?v=ivG3l8dg4oU
https://www.youtube.com/watch?v=ivG3l8dg4oU&t=94s
선가 김월하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연주회 중(中)
https://www.youtube.com/watch?v=3jrMb_GxZWk
선가 김월하선생 탄신100주년 기념연주회
https://www.youtube.com/watch?v=aYGyBstjLBw
여창가곡 우조 이수대엽 ‘버들은'
https://www.youtube.com/watch?v=tr8p9lvVNFk
여창가곡 계면조 평롱 ‘북두칠성
https://www.youtube.com/watch?v=mLprE6kfN5s
정가[正歌] - 정악(正樂)의 하나.
아정(雅正)한 노래라는 뜻으로, 정악 가운데 가곡(歌曲)·가사(歌詞)·시조(時調) 등 성악곡(聲樂曲)을 말한다. 가곡과 시조는 3장 4음보 형식의 시조시 사설을 가지고 있지만, 음악적인 형식은 서로 다르다.
가곡은 세악(細樂)의 반주에 얹어 부르는 거대하고 고상한 노래로, 전체 5장과 2개의 여음(대여음·중여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조는 초·중·종 3장 형식의 간단한 음악적 형식으로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다.
가사는 현재 12곡이 전해져 12가사라고 하는데,
《백구사(白鷗詞)》 《황계사(黃鷄詞)》 《죽지사(竹枝詞:일명 乾坤歌)》
《춘면곡(春眠曲)》 《어부사(漁父詞)》 《길군악(일명 路謠曲)》
《상사별곡(相思別曲)》 《권주가(勸酒歌)》는 하규일(河圭一:1867~1937)이 전창(傳唱)하였고,
《수양산가(首陽山歌)》 《양양가(襄陽歌)》 《처사가(處士歌)》
《매화타령(梅花打令)》 등은 임기준(林基俊:1868~1940)이 전창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가 [正歌]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710&cid=40942&categoryId=32995
가사는 현재 12곡이 전해져 12가사라고 하는데,
[네이버 지식백과] 정가 [正歌] (두산백과)
'음악 > 민요 가곡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함창가/ 70·80 가요들 (0) | 2019.04.20 |
---|---|
조수미 - Ave Maria & 정지용 - 향수 (0) | 2019.02.15 |
김월하 - 관산융마 (0) | 2018.07.11 |
황진이(黃眞伊)/ 송도삼절 (0) | 2018.07.08 |
육자배기, 여섯 박의 진양조를 기본 단위로 하는 데서 유래함 (3) | 2008.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