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법공양품(法供養品)
- 그 때 석제환인(釋提桓因,
akra)이 대중들 가운데에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세존이시여, 저는 부처님과 문수사리로부터 백천(百千)의 경을 들었습니다만, 지금까지 이렇게 불가사의하고 자유자재하며 신통한 결정적 실상의 경전[不可思議自在神通決定實相經典, Acintya-vikurvana-nayaprave-nirdea]을 들어 본 적은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말씀의 뜻과 취지[義趣]를 제가 이해한 대로 말씀해 드리자면, 만약 어떤 중생이 이 경전의 가르침을 듣고서 믿고 이해하며 받아 지니고 독송한다면 반드시 이 법을 얻게될 것을 의심치 않습니다. 하물며 설하신 그대로 수행하는 사람은 말할 나위가 없을 겁니다. 이 사람은 온갖 악취(惡趣, durgati)를 닫아 버리게 되
고, 모든 선문(善門, sugati)을 열게 될 것이며, 선의 과보로 항상 제불의 보호와 염려를 받을 것이며, 또 이교도[外學]를 항복시키고 마군과 원수들을 꺾어서 물리치고 보리를 닦으며, 도량에 편안하게 거처하여 여래께서 수행하신 발자취를 밟아 실천해 갈 것입니다.
- 세존이시여, 만약 이 경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며 설하신 그대로 수행하는 사람이 있다면, 저는 반드시 권속과 함께 공양을 올리고 받들겠습니다. 취락이나 성읍·숲·광야, 그 어디이든 이 경전이 있는 곳이면 저와 저의 권속은
---------------------------------------------------
[114 / 121] 쪽
- 이 가르침을 듣고 받아들이기 위하여 그곳에 찾아가고, 아직 믿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 반드시 믿게 하고, 이미 믿는 사람은 당연히 지키게 하겠습니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천제(天帝)여, 그대가 말한 그대로이므로 나도 그대가 기쁜 마음으로 하는 일을 도우리라. 이 경전은 과거·현재·미래의 제불의 그 불가사의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널리 설한 것이다. 그러므로 천제여,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이 경전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며 공양하는 이가 있다면, 곧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공양한 것이 된다. 천제여, 지금 (이곳에) 설령 삼천대천세계에 여래가 충만하기가 비유컨대 사탕수수
[甘"http://ebti.dongguk.ac.kr/images/k15103.gif"/>]·대[竹]·갈대·벼·삼[麻]·숲과 같다고 하더라도,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혹은 1겁 동안, 혹은 1겁 남짓33)까지 (이들 여래들을)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며 공양하여 모든 필요한 것을 다 바치거나, 제불이 입멸한 다음에 하나하나의 전신사리(全身舍利)를 모아서 7보(寶)로 장식된 탑을 세우고, 그 넓이[縱廣]는 1사천하(四天下)에 달하며, 높이는 범천에 이를 만큼 높게 하고, 사리탑을 표시하여 장엄하기를 온갖 꽃이나 향·영락(瓔珞)·당(幢)·번(幡)·음악, 미묘하기가 제일인 것들로써 혹은 1겁 동안, 혹은 1겁 남짓 동안 이 탑에 공양한다면, 천제여, 그대의 생각은 어떠한가? 이 사람이 심은 복덕은 어찌 많지 않겠는가?"
- 석제환인이 말하였다.
-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복덕을 백천억 겁에 걸쳐 설하여도 다 설할 수는 없습니다."
-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 "마땅히 알아야만 한다. 이 선남자·선여인이 이 불가사의해탈경전(不可思議解脫經典, Acintyavimoka nirdea)을 듣고 받아 지니고, 이해하고 기억하며 독송하고 수행하면, 그 복덕은 앞에서 말한 그 사람보다도 훨씬 많다는 것이다. 왜냐 하면,
제불의 보리가 모두 이 경전에서 나온 것이며, 그 보리의 모습은 헤아릴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런 인연으로 그 복덕은 헤아릴 수가 없느니) '멸일겁(滅一劫)'이라고 했으나 현장과 티베트 역에서는 '일겁여(一劫餘)'라고 하였다. 문맥으로 보아도 "1겁 남짓까지"가 옳다고 생각된다.
------------------------------------------------------------
[115 / 121] 쪽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 "과거 무량아승기겁(無量阿僧祇劫)에 부처님께서 계셨으니, 약왕 여래(藥王如來, Bhaisajaraja)·응공(應供)·정변지(正遍知)·명행족(明行足)·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조어장부(調御丈夫)·천인사(天人師)·불세존(佛世尊)이라고 이름하였다. 그 세계를 대장엄(大莊嚴, Mahvyha)이라 하고, 그 때[劫]를 장엄(莊嚴, Vicarana)이라고 하였다.
- 부처님의 수명은 20소겁(小劫)34)이며, 그 성문승(聲聞僧)은 36억 나유타(那由他)이고, 보살승(菩薩僧)은 12억이었다.
- 천제여, 그 때에 전륜성왕이 있었는데, 보개(寶蓋, Ratnacchattra)라고 이름하였다. 7보를 갖추었고, 사천하의 주인이었다. 이 왕에게는 1천 명의 왕자가 있었으며, 단정하고 용감하고 강건하여 능히 적을 항복시킬 수가 있었다."
- 이 때 보개왕은 그 권속과 함께 약왕여래에게 공양을 올리고, 여러 가지 좋은 것들을 베풀기를 5겁 동안 하였다. 이윽고 5겁이 지난 다음 그 1천 명의 왕자들에게 말하였다.
- "너희들도 나와 같이 깊은 마음으로 부처님께 공양하여야 할 것이다."
- 그리하여 1천 명의 왕자들은 부왕(父王)의 명을 받들어 약왕여래에게 공양을 올리고, 온갖 좋은 것들을 베풀기를 5겁 동안 하였다.
- 그 왕자 중에 월개(月蓋, Candracchatra)라고 하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홀로 고요히 앉아 생각하였다.
- '도대체 이보다 더 훌륭한 공양이 또 있단 말인가?'
- 그 때 부처님께서 신통력으로 공중에 천인으로 나타나 말하였다.
- "선남자여, 법공양(法供養)이 모든 공양보다도 훌륭한 것이다."
- 왕자가 곧 물었다.
- "무엇을 법공양이라 하는 것입니까?"
- 천인이 말하였다.
- "그대가 약왕여래에게 가서 물어보도록 하라. 그대를 위하여 반드시 법공양
을 자세하게 설해 주실 것이다."
- 34) 현장과 티베트 역에서는 20중겁(中劫)이라 하였다.
-----------------------------------------------------
[116 / 121] 쪽
그 때에 월개 왕자는 곧 약왕여래를 찾아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절하고 물러나 한쪽에 서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세존이시여, 모든 공양 가운데 법공양이 가장 훌륭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법공양입니까?"
- 약왕여래께서 말씀하셨다.
- "선남자여, 법공양이라고 하는 것은 모든 부처님들께서 설하신 심오한 경전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모든 세간에서는 믿기 어렵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으로서 미묘하여 보기가 어렵고, 청정하므로 번뇌에 물들지 않으며, 분별이나 사유로써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보살법장(菩薩法藏)에 포함되는 것이며, 다라니(陀羅尼)의 도장[印]으로 도장 찍힌 것이다. (이 경전의 법은) 불퇴전(不退轉)에 이르는 것이며, 6바라밀[六度]을 성취하고, 뜻을 바르게 분별하
며, 보리의 법에 잘 따르며, 모든 경전의 위에 있고, 대자비에 이끌어 들이고, 모든 마군의 장애와 온갖 삿된 견해를 떠나 있으며, 인연의 도리에 따르고 아(我,tman)도 인(人, pudgala)도 중생(衆生, sattva)도 수명(壽命, jva)도 없으며, 공(空,nyat)하며, 무상(無相,nimitta)이며, 무작(無作, apraihita)이요, 무기(無起, ajta)이며, 중생으로 하여금 도량에 앉게 하여 법륜을 굴리게 하며, 제천과 용신(龍神), 건달바(乾闥婆)들이 한결같이 이를 칭찬하며, 중생을 부처님의 법장(法藏)에 이끌어 들이고,
- 모든 현자와 성인의 일체 지혜를 모두 포용하며, 보살이 행해야 하는 길을 설하며, 제법의 실상의 의미를 따라 (제법은) 무상하고, 괴로움이고, 공하며 무아이고 적멸의 법을 밝혀 주며, 모든 계를 지키지 않는 중생들을 구제하고, 모든 마군과 이교도와 탐욕으로 얽힌 사람을 두려움에 떨게 하며, 제불과 현성(賢聖)이 함께 칭찬하며, 생사의 괴로움을 등져 버리고 열반의 즐거움을 나타내 보이며, 시방의 3세 제불이 설하시는 것이다. 만약 이와 같은 경
전을 듣고서 믿고 이해하고 받아 지니고 독송하고, 방편의 힘으로 온갖 중생들을 위하여 분별하여 해설하고 분명하게 밝혀 보여 주면, 법을 지키는 것이므로 이것을 법공양이라고 하는 것이다.또 제법을 설하신 대로 수행하고, 12인연(因緣)에 수순하고, 모든 삿된 견해를 떠나고, 무생법인을 얻고, 무아와 무중생(無衆生)이라고 결정코 믿으며,
------------------------------------
[117 / 121] 쪽
- 인연과 과보에 거스르지 않고 다투지 않으며, 모든 내 것[我所]이라는 생각을 떠나며 (진리의) 의미를 의지하나 말에 의지하지 않으며,35)지혜를 의지하지 식(識)에 의지하지 않으며, 요의경(了義經)을 의지하지 불요의경(不了義經)에 의지하지 않고, 가르침[法]에 의지하지 사람에 의지하지 않으며, 법상(法相)에 수순하여 들어갈[入] 대상이나 돌아갈[歸] 대상도 없으며, 무명(無明)이 끝내[畢竟] 멸하였으므로 제행도 끝내는 멸해
지며, 내지 생도 끝내는 멸하므로 늙음도 죽음도 끝내는 멸하는 것이며, 이같이 12인연(因緣)을 관하여 다하여 없어지는 모습[盡相]이 있지 않고, 또다시 어떤 견해도 일으키지 않게 되면, 이것을 최상의 법공양이라고 하는 것이니라."
-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 "왕자 월개는 약왕여래로부터 이와 같은 법을 듣고 유순인(柔順忍)을 얻고서 곧 보옥으로 장식된 옷과 장신구를 벗어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입멸하신 뒤에 저는 반드시 법공양을 행하여 정법을 지켜 나갈 것입니다. 바라옵건대 위신력으로 불쌍히 여기시어 힘이 되어 주셔서 제가 마군과 원수를 항복시켜 보살행을 닦을 수 있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 부처님께서는 그 깊은 마음으로부터 바라는 것을 알고 그에게 수기를 주시며 말씀하셨다.
- '그대는 먼 훗날 진리의 성[法城]을 지킬 것이다.'
- 천제여, 그 때에 왕자 월개는 법의 청정함을 보고, 부처님의 수기를 듣고 믿음으로 출가하여 선법(善法)을 닦고 모아 정진한 지 오래지 않아서 5신통(神通)을 얻고, 보살도를 완성하여 다라니를 얻고 끊임없는 변재를 얻었다.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뒤에는 그가 얻은 신통력과 기억력[摠持]과 변재의 힘으로 10소겁(小劫)이 다하도록 약왕여래께서 굴리신 법륜을 따라 널리 베풀었다. 월개 비구는 법을 수호하고 힘써 정진함으로써 자신의 생애 동안 백만억
- 35) 이 이하의 네 가지를 '4의(依)'라고 하여 그 반대되는 것을 '4불의(不依)'라고 한다. 즉 여기서 가리키고 있는 것을 순서대로 말하면, ① 의의불의어(依義不依語), ② 의지불의식(依智不依識), ③ 의요의경의불요의경(依了義經依不了義經), ④ 의법불의인(依法不依人)이다.
------------------------------------------------------
[118 / 121] 쪽
- 의 사람을 교화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굳게 서서 다시는 물러서지 않게 하였다. 또 14나유타의 사람들이 성문과 벽지불이 되고자 깊이 발원하였으며, 한량없는 중생들이 천상에 태어날 수가 있었다.
- 제석천이여, 그 때의 보개왕(寶蓋王)이 어찌 다른 사람이었겠는가? 지금 부처가 되어 보염여래(寶炎如來, Ratnrcis)라고 불리며, 그 왕의 1천 명의 왕자들은 곧 현겁(賢劫)의 1천 불(佛)이다. 가라구손태(迦羅鳩孫駄, Kr- akucchanda)부처님께서 처음 부처가 되신 이후로 최후의 부처님은 루지(樓至, Roca)였다. 그리고 월개 비구는
곧 지금의 나이니라.
- 천제여, 이와 같이 마땅히 알아야 한다. 법공양을, 모든 공양 중에 제일 으뜸이고 최고이며 제일이어서 비교할 수가 없는 공양으로 여겨라. 그러므로 천제여, 마땅히 법의 공양으로써 부처님을 공양하여야 할 것이니라."
14. 촉루품(囑累品)
- 그 때에 부처님께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 "미륵이여, 내가 이제 무량억(無量億) 아승기겁(阿僧祇劫)에 걸쳐 모아 온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그대에게 부촉(付囑)하고자 한다.
- 이 같은 종류의 경전은 부처가 입멸한 뒤의 말세(末世)에 너희들이 마땅히 신통력으로 널리 설하여 유포시켜 염부제에서 단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왜냐 하면 미래세에는 마땅히 선남자·선여인과 천인·용·귀신·건달바·나찰(羅刹, Rkasa)
M='36)등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키고, 대승법을 좋아하는 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경전을 듣지 못하게 한다면, 그 때는 뛰어난 이득[善利]을 잃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사람들은 이들 경전을 들으면 반드시 대부분 마음으로부터 믿고 기뻐하여 희유한 마음을 낼 것이다. 마땅히 이 경전을 받들어서 모든 중생들의 근기에 맞게 이익을 얻는 것에 따라서 널리 설해 주어야 한다.
- 미륵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한다. 보살에게는 두 가지 모습이 있으니, 어떤
- 36) 악귀로서 인간의 혈육을 먹고 공중과 지상을 질주한다. 여성을 가지면 나찰녀가 되며, 범천 등과 같이 불교 수호신의 하나이다.
-------------------------------------------------------
[119 / 121] 쪽
- 것이 두 가지 모습인가 하면, 하나는 잡다한 글귀나 화려한 문장의 수식을 좋아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심오한 뜻을 두려워하지 않고 여실하게 깊이 깨달아 들어가는 것이다. 만약 잡다한 글귀나 화려한 문장의 수식을 좋아한다면, 마땅히 알아라. 그것은 처음으로 수행에 들어선[新學] 보살이라는 것이다. 만약 이같이 번뇌에 물듦이 없고 집착이 없는 심오한 경전에 대해 두려움 없이 그 안에 깨달아 들어갈 수 있고, 듣고 나서는 마음이 청정해지고, 받아 지
니고, 독송하며, 설하신 대로 수행한다면, 마땅히 알아라. 이 사람은 오래도록 진리의 수행을 닦은 사람[久修道行]이라는 것이다.
- 미륵이여, 또 처음으로 수행에 들어선 보살에게는 두 가지가 있다. 매우 심오한 진리에 마음을 결정하지 못한다. 무엇이 둘37)이냐 하면, 하나는 아직 듣지 못한 심오한 경전을 듣고 놀라고 두려워 의심이 생겨서 수순하지 못하고 훼방하고 믿지 않으며,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 '나는 아직 들어 본 일이 없다. 어디서 온 것일까?'
- 둘째는, 이같이 심오한 경전을 지키고 지니며 해설하는 사람이 함께 있어도 친근히 하지 않고, 공양하려 하지 않고 공경하지 않으며, 때로는 그 가운데에 있으면서 비방까지 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경우는 마땅히 알아라. 처음 수행을 시작한 보살이 스스로를 상처 입히고, 심오한 진리를 들으면서도 그 마음을 조복하여 다스릴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 미륵이여, 또 두 가지가 있다. 보살이 비록 심오한 진리를 믿고 이해하더라도 오히려 스스로 상처를 입히므로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을 수가 없다. 무엇을 둘이라 하는가 하면, 첫째는 처음 수행에 들어선 보살을 가벼이 여기고 가르쳐 교화하고자 하지 않는 것이며, 둘째는 비록 심오한 가르침을 알고는 있으나 겉모습[取相]만을 가지고 분별하는 것이다. 이것을 두 가지라 한다."
- 미륵보살이 이같이 설하는 것을 듣고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세존이시여, 미증유(未曾有)한 일입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대로 저는 이 같은 나쁜 것을 멀리하고, 여래의 무수한 아승기겁에 걸쳐 모여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받들겠습니다. 만약 미래세에 선남자·선여인으로서 대승
- 37) 현장은 '사(四)'라 번역하였다. 즉 나집이 둘로 본 내용을 둘로 나누어 넷으로 셈한 것이다.
-----------------------------------------------------
- 을 구하는 이가 있다면 마땅히 이 같은 경전을 손에 쥘 수 있게 하고, 그에게 기억력으로 받아 지니고 독송하게 하며, 남을 위하여 널리 설하도록 하겠습니다.
- 세존이시여, 만약 후세의 말세(末世)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며 남을 위하여 설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마땅히 알아 주소서. 이는 미륵이 신통력으로써 이룩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미륵이여, 그대가 말한 것같이 내가 그대가 기뻐하는 일을 도우리라."
- 이에 일체의 보살들은 합장하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저희들도 또한 여래께서 입멸하신 뒤에는, 시방국토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널리 유포시키고 모든 가르침을 설하는 사람들을 이끌어 깨우쳐 이 경전을 깨닫도록 하겠습니다."
- 그 때에 사천왕들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세존이시여, 어느 곳이든지[在在處處] 성읍과 취락·산림·광야의 어디든 이 경전이 있어서 독송하고 해설하는 자가 있다면, 저희들은 권속을 데리고 설법을 듣기 위해서 그곳으로 가겠습니다. 그 사람을 지키고, 주위 백 유순을 살펴 틈이 없게 하겠습니다."
- 그 때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 "이 경전을 받아 지녀 널리 설하여 퍼지도록 하여라."
- 아난이 말씀드렸다.
- "네, 제가 이미 중요한 것을 받아 지녔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경전의 이름을 어떻게 불러야 마땅합니까?"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 "아난아, 이 경전을 유마힐소설(維摩詰所說)이라고 이름하며, 또 불가사의해탈법문(不可思議解脫法門)이라고 이름한다. 이같이 받아 지니도록 하여라."
- 부처님께서 이 경전을 다 설하시자, 장자 유마힐과 문수사리·사리불·아난 등과 모든 천인들·아수라 등 일체 대중들이 한결같이 다 부처님의 말씀을
---------------------------------------------------------
[121 / 121] 쪽
- 듣고 크게 기뻐하였다.
'불교 불경 > 유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마힐소설경 14. 촉루품(囑累品) (0) | 2021.04.22 |
---|---|
유마힐소설경 12. 견아촉불품(見阿閦佛品) (0) | 2021.04.22 |
유마힐소설경 11. 보살행품(菩薩行品) (0) | 2021.04.22 |
유마힐소설경 10. 향적불품(香積佛品) (0) | 2021.04.22 |
유마힐소설경 9.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