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bw8qO37_euY
https://www.youtube.com/watch?v=LNEyHi-TrnY
https://www.youtube.com/watch?v=4zNT8yynLAU
https://www.youtube.com/watch?v=A1MiUB1z_PQ&t=296s
https://www.youtube.com/watch?v=KliAc7AHBtY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367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에서는 칠각지를 제시한 후, 택법은 지혜이고 희(喜)는 희근이며, 사(捨)는 유위법에 대한 평정[行捨]이라고 한다.[七覺支者 一念覺支 二擇法覺支 三精進覺支 四喜覺支 五輕安覺支 六定覺支 七捨覺支 擇法即慧 喜即喜根 捨謂行捨](대정장, T27, p.726b). 『청정도론』에서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일으키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청정도론』 1권, 355쪽 이하)
원효는 『미륵상생경종요』에서 미륵보살의 보살행으로 다음과 말하고 있다. “그 처음을 말하면, 자비삼매의 치성한 광명에 감응하여 널리 제도하려는 도(道)의 마음을 일으키고, 팔해탈[八解]의 맑은 물에 목욕하며, 칠각지[七覺]의 동산에서 쉬고, 사무량심[四等]의 마음으로 네 부류의 중생에게 평등하게 이익을 주며, 세 가지 밝은 지혜로 삼계(三界)를 밝게 인도하는 것이다.”라 하여 칠각지를 보살의 실천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fnQqPnK2o&t=824s
https://ko.wikipedia.org/wiki/%EC%B9%A0%EA%B0%81%EC%A7%80
- 염각지(念覺支) : 염은 사념(思念)의 뜻으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마음속 깊이 새겨서, 모든 진리의 법을 닦을 때 능히 깨달아 사념하며 정혜(定慧)를 균평(均平)히 하여 혼침(昏沈)하고 부동(浮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택법각지(擇法覺支) : 택은 간택의 의미이며, 지혜로써 제법을 관찰하여 참된 것과 거짓된 것을 가려서 허위의 법은 버리고 참된 법을 간택하는 것이다.
- 정진각지(精進覺支) : 정은 부잡(不雜), 진은 무간(無間)의 뜻으로 닦을 바 법에 노력 정진하는 것으로 진리를 수행할 때 쓸데없는 고행은 그만 두고 바르고 참된 정법에 오로지 한 마음을 기울여 부지런히 노력하여 쉼없이 마음을 어리석지 않게 하는 것이다.
- 희각지(喜覺支) : 환희심으로 진리를 즐겨 구하는 것으로서 마음이 참 진리에 계오(契悟)하여 환희를 얻을 때 참 진리는 전도(顚倒)의 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진리의 희열에 머무는 것이다.
- 제각지(除覺支) 또는 의각지(掎覺支) : 제는 단제(斷除)로서, 그릇된 모든 견해와 번뇌를 끊어 버림으로써 허위의 법을 제거하고 진정한 선근을 증장하여 가벼운 마음으로 몸과 마음을 편한하게 하는 것이다.
- 사각지(捨覺支) : 사는 사리(捨離)의 뜻이며, 바깥의 모든 경계에 집착하던 마음을 여의어 거짓되고 참되지 못한 법을 영원히 추억(追憶)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 정각지(定覺支) : 정은 선정(禪定)으로서 선정에 들었을 때 능히 모든 것을 깨달아 모든 번뇌 망상이 일어나지 않고 마음에 산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택법, 정진, 희각지는 혜(慧)에 속하고, 제, 사, 정각지는 정(定)에 속하며 염각지는 정혜를 겸한다.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210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satta bojjhan.ga)는 37보리분법의 일곱 가지 주제 가운데 여섯 번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는 <상윳따 니까야> <깨달음의 구성요소 상윳따>(S46)의 주제이기도 하다.
여기서 ‘깨달음의 구성요소’로 옮긴 bojjhan.ga는 bodhi(覺)+an.ga(支)의 합성어이다. 주석서는 이 합성어를 ①깨달음의 구성요소(bodhiya- an.ga)와 ②깨달은 분의 구성요소(bodhissa an.ga)의 두 가지로 풀이하고 있는데 경들에서는 주로 전자의 의미로 나타나므로 필자는 전자로 옮겼다. 깨달음의 구성요소는 모두 일곱 가지로 정리되어 나타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 sati-sambojjhan.ga)
②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 dhamma-vicaya-sambojjhan.ga)
③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 vI-riya-sambojjhan.ga)
④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 pI-ti-sambojjhan.ga)
⑤ 고요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 passaddhi-sambojjhan.ga)
⑥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 sama-dhi-sambojjhan.ga)
⑦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 upekkha--sambojjhan.ga)
초기불전에서 칠각지는 반드시 이 순서대로 나타난다.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24-2장. 초기불교, 칠각지(2) | 깨달음의 조건(자양분) | 깨달음의 요소
https://www.youtube.com/watch?v=gUZEKBTPVRM
'불교 불경 > 붓다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현수, 부처님이 찾아낸 불안의 16가지 이유와 해결방법/ 불안은 미래에 대한 예측에서 온다 (0) | 2024.01.12 |
---|---|
전현수 경험담, 선정(禪定), 들숨 날숨 수행법/ 三學, (1) | 2024.01.11 |
전현수, 명상 선정 삼매/ 三學, 四聖諦, 八正道 (2) | 2024.01.10 |
전현수, 지혜의 눈을 얻어서 궁극적 실재를 보는 방법/사마타와 위빠사나, 선정 수행의 9단계 (0) | 2024.01.09 |
전현수, 고통없는 마음을 만드는 방법/ 선정(禪定) - 八苦 해결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