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희 창본/ 사랑가 대목
<진양조>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어허 둥둥 내 사랑이지.
만첩청산(萬疊靑山) 늙은 범이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이는 다 담쑥 빠져 먹들 못허고 으르릉 아앙 넘노난 듯
단산봉황(丹山鳳凰)이 죽실(竹實)을 몰고 오동(梧桐)속의 넘노난 듯
구곡청학(九曲靑鶴)이 난초를 물고 송백(松柏)간의 넘노난 듯
북해 흑룡이 여의주를 물고 채운 간의 넘노난 듯
내 사랑 내 알뜰 내 간간이지야 오호 둥둥 늬가 내 사랑이지야
목난무변 수여천(木欄無邊 水如天)의 창해같이 깊은 사랑
사모친 정 달밝은 데 무 산천봉(巫山天峯) 완월(玩月) 사랑
생전 사랑이 이리커니 사후기약이 없을소냐!
너 는 죽어 꽃이 되돼 벽도 홍삼춘화가 되고
나도 죽어 범나비 되야
춘삼월 호시절 의 네 꽃송이를 내가 담쑥 안고
너울너울 춤추거든 늬가 나인 줄만 알려무나
'화로(花老)하면 접불래(蝶不來)라
나비 새꽃 찾어가니 꽃 되기도 내사 싫소'
그러면 죽어 될 것이 있다.
너는 죽어 종로인경이 되고 나도 죽어 인경마치가 되 어
밤이면 이십팔수 낮이면 삼십삼천 그저 뎅치거들랑
늬가 나인줄 알려무나.
'인경 되기도 내사 싫소'
그러면 죽어 될 거 있다
너는 죽어서 글자가 되돼
따지따곤 그느름 안해처 계집 녀가 글자가 되고
나도 죽어 글자가 되돼
하날 천 하날 건 날일 별냥 지애비 부
사나이 남 아들 자짜 글자가 되어
계집녀 변에 똑같이 붙어서서
좋을 호(好)자로 만 놀아 보자.
<아니리>
오늘같이 즐거운 날 사후 말씀만 하시나이까?
그럼 업고도 놀고 정담도 하여 보자.
<중중모리>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이로구나 내 사랑이 야
이이이 내 사랑이로다 아마도 내 사랑아
네가 무엇을 먹을 랴느냐
둥글둥글 수박 웃봉지 떼띠리고
강능 백청(江陵白淸)을 다르르~ 부어
씰랑 발라 버리고 붉 은 점 흡벅 떠
반간진수(半間眞水)로 먹으랴느냐
아니 그것도 나는 ?소
그러면 무엇을 먹으랴느냐
당동지(짜리몽땅) 지루지(길쭉한) 허니 외가지 단참외 먹으랴 느냐
아니 그것도 나는 실헝
아마도 내 사랑아 포도를 주랴 앵도를 주랴
귤병(橘餠)사탕의 외화당을 주랴
아마도 내 사랑
시금털털 개살구 작은 이 도령 스느 디 먹으랴느냐
저리 가거라 뒷태를 보자
이리 오너라 앞태를 보자
아장아장 걸러아 걷는 태를 보자
빵긋 웃어라 잇속을 보자 아마도 내 사랑아
<아니리>
"이 얘 춘향아 나도 너를 업었으니 너도 날 좀 업어다고 "
"도련님은 나를 가벼워 업었지만 나는 무거워 어찌 업어요."
"내가 너를 무겁게 업어 달라느냐?
내 앙팔을 네 어깨에 얹고 징검징검 걸어 다 니면
그 가운데 좋은 일이 있지야"
춘향이도 아조 파급(破怯)이 되어 낭군짜로 업고 노난디,
<중중모리>
둥둥둥 내 낭군 오호 둥둥 내 낭군
도련님을 업고 노니 좋을 호자가 절로나
부용 작약 모란화 탐화봉접(探花蜂蝶)이 좋을시고
소상동정(瀟湘洞庭) 칠백리 일생 보아도 좋을 호로구나
둥둥둥둥 오호 둥둥 내 낭군
도련님이 좋아라고
"이 얘 춘향아 말 들어라 너와 나와 유정허니 정자노래를 들어라 !
담담장강수 (淡淡長江水) 유유원객정(悠悠遠客情)
하교불상송(河橋不相頌)호니 강수원함정(江樹遠含情)
송군남포(送君南浦) 불승정(不勝情)
무인불견(無人不見) 송아정(送我情)
하남태수(河南太守) 의구정(依舊情)
삼태육경(三台六卿)의 백관조정(百官朝庭)
소 지원정(消紙寃情) 주어 인정
네 마음 일편단정(一片丹情) 내 마음 원형이정(元亨利貞)
양인심정(兩人心情)이 탁정(托情) 타가 만일 파정(罷情)이 되거드면
복통절정 (腹痛絶情) 걱정이 되니
진정으로 완정(玩情:정을 나누다) 허잔 그 정(情)자 노래다
http://blog.daum.net/jswj00/8735709
사랑가 비교 감상
http://blog.daum.net/jswj00/8735707
무용/ 사랑가
'고전문학 > 고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가 / 추억 (2) | 2009.11.25 |
---|---|
박동진/춘향가 (1) | 2009.11.25 |
춘향가 / 춘향모 기뻐하는 모습 (0) | 2009.11.24 |
춘향가 / 어사출도 대목 (0) | 2009.11.24 |
춘향가 / 십장가 (0) | 200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