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향가연구의 제문제

1.語釋:신라어 재구에 어려움.

󰋬몽고어(김선기), 터어키어(강길운), 일본어, 만주어.

󰋬원칙:의미부(訓借), 형태부(音借)

󰋬어학적 문제:해독과 주석, 음운체계와 표기법, 어휘론.

2.형식문제:5행시(도솔가,강길운), 6행시(풍요,김선기)

󰋬형식 발생의 선후 문제(청우;同時多發)

3.작품명:

󰋬禱千手觀音歌(양주동), 盲兒得眼歌(소창진평), 千手大悲歌(김동욱), 觀音歌(홍기문), 눈밝안노래(김선기), 千手千眼觀音歌((김사엽)

󰋬怨歌(양주동), 信忠栢樹歌(소창진평), 掛冠歌(정렬모), 宮庭栢(지헌영), 잣나무노래(홍기문), 잣나모노래(김선기), 怨樹歌(양재연),

4.작가명(청우;諡號적 성격). 원왕생가(광덕의 처, 김동욱)

5.해석:

󰋬문학적(양주동), 어학적(김완진 1차 정리), 신화적(기호체계), 민속학적(辟邪進慶;처용가)

6.記述物의 처리: 작품에 포함 또는 분리.

󰋬신화적 해석, 歷史(寫實)적 해석.


향가연구서 목록

小倉進平:1929,鄕歌 및 吏讀의 硏究.

梁柱東:1942,古歌硏究/1965,增訂 古歌硏究,一潮閣.

池憲英:1948,鄕歌麗謠新釋

李鐸:1958,鄕歌新解讀,國語學論攷.

金善琪:1967-1975,향가의 새로운 풀이,現代文學 145호-250호 16회 分載.

金鍾雨:1971,鄕歌文學論,석학문화사/선명문화사.

鄭然粲:1972,鄕歌解讀의 一斑,鄕歌의 語文學的 硏究(김열규 이재선 공저)

徐在克:1975,新羅 鄕歌의 語彙硏究,계명대출판부.

金俊榮:1979,鄕歌文學,형설출판사.

崔 喆:1979,新羅歌謠硏究,개문사.

金完鎭:1980,鄕歌解讀法硏究,서울대출판부.

林基中:1981,新羅歌謠와 記述物의 硏究,이우출판사.

金雲學:1981,佛敎文學의 理論,일지사.

朴魯埻:1982,新羅歌謠의 硏究,열화당.

兪昌均:1994,鄕歌批解,螢雪出版社.

姜吉云:1995,鄕歌新解讀硏究,學文社.


연구서의 특징

梁柱東,增訂 古歌硏究,一潮閣,1965/1968.[문학적 관점]

兪昌均,鄕歌批解,螢雪出版社,1994.[어학적 관점]

金善琪,1967-1975,향가의 새로운 풀이,現代文學 145호-250호 16회 分載.[몽고어 참조]

姜吉云,鄕歌新解讀硏究,學文社,1995.[터어키어 참조] p.19.‘攴(복:치다):단어나 어절의 분계표, 支(지:가르다):이음표.<삼국사기>지리지에서는 ‘支’가 ’只‘와 함께 ’기‘나 ’지‘로 읽힘.

林基中,우리의 옛노래,현암사,1993.

󰋬[林]은 임기중 역으로 양주동 해독을 보완한 것임.


歌名 제시 여부 *( ) 표시는 연구자들이 부여한 것.

1.(慕竹旨郞歌);孝昭王代 竹旨郞 39.2-76:初得烏谷 慕郞而作歌曰,

2.老人獻花歌;水路夫人 41.2-78:老人獻花歌曰,

3.安民歌;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43.2-79:安民歌曰,

4.讚耆婆郞歌;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43.2-79:讚耆婆郞歌曰, (본문)讚耆婆郞詞腦歌

5.(處容歌);處容郞 望海寺 50.2-88:乃唱歌 作舞而退 歌曰,

6.(薯童謠);武王 57.2-98:乃作謠 誘群童而唱之云,

7.(禱千手觀音歌);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84.4-158:令兒作歌 禱之.遂得明 其詞曰,

8.風謠;志使錫 99.5-187:風謠云,

9.(願往生歌);廣德 嚴莊 116.7-219:德嘗有歌云,

10.兜率歌;月明寺 兜率歌 119.7-222:明乃作兜率歌賦之 其詞曰,

11.(祭亡妹歌);月明寺 兜率歌 119.7-222:作鄕歌祭之...歌曰,

12.彗星歌;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122.7-228:時天師作歌 歌之...歌曰,

13.(怨歌);信忠掛冠 127.8-232:怨而作歌 帖於栢樹...乃召之 賜爵祿 栢樹乃蘇 歌曰,

14.(遇賊歌);永才遇賊 129.8-235:乃命□□□作歌 其辭曰,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현행원품 도입부  (0) 2008.08.29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  (0) 2008.08.2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0) 2008.08.28
금빛 아기 일어나시다  (0) 2008.08.28
마린보이 탈해왕 신화  (0) 2008.08.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