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집>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 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貿穀)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래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 아들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도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 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데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1938년 발표)
* 은동곳 : '동곳'은 상투를 튼 뒤에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물건. 금, 은, 옥, 산호, 밀화, 나무 등으로 만드는 데 관자와 함께 재료에 따라 부귀(富貴)의 정도를 드러내는 남자의 장신구이다.
* 산호관자(珊瑚貫子) : 망건에 달아 망건 줄을 꿰는 작은 고리, 금, 은, 옥, 산호, 뿔, 뼈들로 만듦.
* 무곡(貿穀) : 장사하려고 많은 곡식을 사들임.
* 둥글소 : 황소의 방언으로 큰 수소를 말한다.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는 콩을 싣고 다니다가 늙어버린 수소를 일컫는다.
* 싸리말 동무 : 어렸을 때 마마를 함께 앓으면서 싸리말을 타고 나았던 친구. 죽마고우(竹馬故友)
* 짓두광주리 : 함경 방언으로 바늘, 실, 골무 헝겉 같은 바느질 도구를 담는 그릇, 받짇고리.
* 저릎등 : 방언인 '저릎'의 표준어는 '겨릎'으로 껍질을 벗긴 삼대. 따라서 '겨릎등'은 긴 삼대를 태워 불을 밝히는 장치이다.
* 갓주지 : 갓을 쓴 절의 주지 스님. 옛날에는 아이들을 달래거나 울음을 그치게 할 때 갓주지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고 함. 어떤 이는 이 낱말을 '갖주지'의 오기로 보고 갖가지. 즉 가지가지의 방언이라고 해석함.
* 글거리 : 그루터기.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둥. 그루. 나무나 곡식 같은 것의 줄기의 아랫 부분. 곧 돌보는 이 없어 황폐한 모습.
[리아트리스 & 동자꽃]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울 -이상 (0) | 2008.07.09 |
---|---|
오감도 ─이상 (3) | 2008.07.09 |
김지하, 황톳길 (0) | 2008.07.09 |
타는 목마름으로 - (1) | 2008.07.09 |
장춘체육관 & 주변풍경 (0) | 200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