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군락[펌]. 무거운 사진기 메고 나도 이런 사진 찍고 시퍼!



[사진2] 강화도 길상면 온수리의 강남고교 교정의 벚꽃이 꽃구름을 이루었네요.

<그녀는 예뻤다>


어제는 아차산을 산행했다. 145,000볼트 고압선을 지나 용마산에도 올랐다. 나는 정상에서 용마역쪽으로 하산했다. 하산길엔 온통 가파른 바윗길이어서 발에 한참 동안 흙을 묻히지 않았더니 신선이 되는 게 아닌가, 우화등선(羽化登仙)하는 느낌이었다.

웬지 지난 해 봄날 지천으로 피었던 강화도 고려산의 진달래 군락지가 그리워졌다. 그날은 바다안개가 자욱히 차올라 원거리를 조망할 수 없는데다 선명한 화면을 만들겠다고 자동카메라의 서투른 조작이 화근이 되어 그날 찍은 사진이 몽땅 먼 옛날의 추억처럼 아득하고 희미하기만 했다.

새로난 대명포구앞 다리를 빠져나오기 직전에, 길상면 온수리의 강남고등학교의 교정 둘레를 가득 메운 벚꽃 군락을 만난 건 뜻밖의 수확이었다. 낭만, 몽환,환상 등 감상적 단어들로 뇌리를 채우게 하는 풍경이었다. 벚꽃나무 띠가 운동장 둘레를 온통 빼곡히 감싸 안았는데, 학교 건물 앞 야트막하게 경사진 언덕에줄지어 서 있는 십여그루남짓한 나무들과 운동장 주위의 십여 그루는 수령이 거의 50년은 넘어 보였다. 검은 나무둥치와 뭉게구름처럼 피어나는 하이얀 벚꽃 꽃잎의 무리가 파아란 하늘을 배경으로 오월 햇살을 받아 화사하게 빛났다.

금년 진달래 축제땐 위의 사진 같은 그림을 몇 장 남기고 싶다.

교정의 환상적 벚꽃도....


진달래 하면 소월의 <진달래꽃>에 나오는 약산 동대지만 나는 본 적이 없으니
유사이래 가장 예뻤던 신라 성덕왕대의 수로 부인을 생각한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대잖아요.---


삼국유사의 수로부인(水路夫人)조 강독을 마치고, "이 글의 주제는?" 하고 물으면 별 반응이 없다가 내가“그녀는 예뻤다”고 하면, 학생들은 그제야 감을 잡았는지 까르르 웃음보를 터뜨린다.

이 글의 핵심어인‘자용절대(姿容絶代)’를 풀이하면

“그녀는 지금껏이 세상에서 젤로 예뻤다.”이다.


이 작품은 글쓰기 구성의 전형으로 활용해도 손색이 없다.

[라]의 <해가(海歌)>는 ‘公從之.’ 다음에, <헌화가>는 “亦作歌詞獻之.” 다음에 위치한 것이어야 하나 삼국유사 작품 전체의 균형에 맞추어 끝으로 뺐다.

불경의 기본구성이 강창(講唱), 곧 형식적으로는 ‘산문+운문’이므로 산문을 요약한 운문은 구성상 맨 뒤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고려조 각훈의 <해동고승전>은 물론, 가장 오래된 <梁고승전>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일연의 인물 찬(讚)도 예외없이 이런 구성을 취하고 있다.


[가]에서는 강릉태수 부임길에 천 길 낭떠러지 위에 핀 철쭉꽃을 수로부인이 갖고 싶어하나 아무도 나서는 이가 없었다. 그런데 암소를 몰고 지나가던 한 노인이 그녀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설화에서 "不知何許人"은 대개 세속을 초월하여 신성한 경지에 이른 사람을 지시할 때사용하는 표현이다.---

노인에게 그런 초능력을 발휘하게 한 힘이 무엇일까요?

시인 고 미당 서정주 선생은 이 대목에서 신바람이 나서 본문에도 없는

“다람쥐처럼 기어올랐다.”는 표현을 기워 넣으셨다.


[나] 이틀 뒤 임해정에서 점심 먹는데 느닷없이바다의 용이 수로부인을 납치해 갔다.

한 노인이 화엄경에 나오는 중구삭금(衆口鑠金)의 지혜를 일러주었다.

---삼국유사 <南白月二聖 努肹不得 달달朴朴>조에는 ‘수순중생(隨順衆生

亦菩薩行之一也)이라는 표현도 나온다.누구도 여론을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이야요.

성인군자도 시속을 따르는데 누가 감히 민초들의 꿈을 짓밟을 수있나요?---

민초들의 동의를 얻은 태수와 용왕과의 대결에서 용왕은 백기를 들고 수로부인을 지상으로 되돌려 주었다.


[다]

수로부인은 지금껏 세상에 둘도 없는 미인이어서 깊은 산이나 큰 못을 지날 때마다

신물(神物)들에게 납치당했다.


요약하면,

[가]에서는 노인이 초능력을 발휘하다. 극적 장면의 확대이다.

[나]에서는 이상향인 용궁에도 그런 미인은 없었다.

지상과 용궁의 역동적 줄다리기에서지상의 승리였다.

---지상이 불국토(佛國土,부처님 나라)고 낙원이라 카이!---

 

[다]에서는 그 뒤로도 번번히 그런 일이 일어났으니, 깊은 산이나 큰 못을 지날 때마다

신물(神物)들에게 납치당했던 것이다. 흔한 일이어서 굳이 예시가 필요없다.

무소부재(無所不在), 무소불위(無所不爲)의 신들도 못 가진 자용절대(姿容絶代)

水路부인을 인간 세상 사람들은 소유한 거라요.

맞습니다. 지상이 낙원 맞고요.

수로부인과 동시대에 살았던 신라 성덕왕대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했을까요잉?

그녀의 몸에서 세상에는 없는 기이한 향기가 풍겼대잖아요.

아래 포스트 <꽃구름 속에>에는 조수미의 탄력있는 목소리에 실려나오네요.

 

조수미 - "꽃구름 속에" /박두진 작사, 이흥렬 작곡
https://www.youtube.com/watch?v=NsF-3RrpzF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