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天台訪隱錄 천태산의 은둔자들 이야기

서일(徐逸)은 단오날 천태산(天台山)에 약초를 캐러갔다 빼어난 산수에 매료되어 산 속 깊숙이 들어가다 한 마을을 만난다. 송나라 때 이곳으로 피난 왔다는 도(陶)노인은 그를 극진히 대접하며 송 원 명 삼대 흥망의 내력을 알고자 했다. 그는 하루를 더 머물고 돌아오는 길에 50보마다 대나무가지를 꽂아 표시를 해 두었다. 며칠 지나 다시 마을을 찾고자 했으나 통하는 길이 없었다.

-「천태방은록」

1/전등신화37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3

 

<전등신화>(37)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1)

剪燈新話(전등신화)(37)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2/전등신화38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4

 

<전등신화>(38)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2)

剪燈新話(전등신화)(38)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3/전등신화39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5

 

<전등신화>(39)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3)

剪燈新話(전등신화)(39)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4/전등신화40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6

 

<전등신화>(40)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4)

剪燈新話(전등신화)(40)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5/전등신화41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7

 

<전등신화>(41)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5)

剪燈新話(전등신화)(41)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6/전등신화42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8

 

<전등신화>(42)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6)

剪燈新話(전등신화)(42)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7/전등신화43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29

 

<전등신화>(43)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7)

剪燈新話(전등신화)(43)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8/전등신화44

http://blog.daum.net/thddudgh7/16524930

 

<전등신화>(44) 天台山訪隱錄(천태산방은록)(8)

剪燈新話(전등신화)(44) 중국 명대(明代) 구우(瞿佑)가 지은 문어체(文語體) 단편소설집으로, 전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권 5 편에 부록 1편이 포함되어 있다. 1378년(洪武 11) 무렵에 완성 되었

thddudgh7.tistory.com

 

天台訪隱錄

台人徐逸,粗通書史,以端午日入天台山采藥。同行數人,憚於涉險,中道而返。惟逸愛其山明水秀,樹木陰翳,進不知止。且誦孫興公之賦而讚其妙曰:“‘赤城霞起而建標,瀑布泉流而界道。’誠非虛語也。”更前數裏,則斜陽在嶺,飛鳥投林,進無所抵,退不及還矣。躊躇之間,忽澗水中有巨瓢流出。喜曰:“此豈有居人乎?否則必琳宮梵宇也。”遂沿澗而行。不裏餘,至一弄口,以巨石為門。入數十步,則豁然寬敞,有居民四五十家,衣冠古樸,氣質淳厚。石田茅屋,竹戶荊扉,犬吠雞鳴,桑麻掩映,儼然一村落也。

見逸至,驚問曰:“客何為者?焉得而涉吾境?”逸告以入山采藥,失路至此。遂相顧不語,漠然無延接之意。惟一老人,衣冠若儒者,扶藜而前,自稱太學陶上舍,揖逸而言曰:“山澤深險,豺狼之所嗥,魑魅之所遊。日又晚矣,若固相拒,是見溺而不援也。”乃邀逸歸其室。坐定,逸起問曰:“仆生於斯,長於斯,遊於斯久矣,未聞有此村落也。敢問。”上舍顰蹙而答曰:“避世之士,逃難之人,若述往事,徒增傷感耳。”逸固請其故。始曰:“吾自宋朝已卜居於此矣。”逸大驚。上舍乃具述曰:“仆生於理宗嘉熙丁酉之歲,既長,寓名太學,居率履齋,以講《周易》為眾所推。度宗朝,兩冠堂試,一登省薦。方欲立身揚名,以顯於世,不幸度皇晏駕,太後臨朝,北兵渡江,時事大變。嗣君改元德祐之歲,則挈家逃難於此。其餘諸人,亦皆同時避難者也。年深歲久,因遂安焉。種田得粟,采山得薪,鑿井而飲,架屋而息。寒往暑來,日居月諸。但見花開為春,葉脫為秋,不知今日是何朝代,是何甲子也。”逸曰:“今天子聖神文武,繼元啟運,混一華夏,國號大明。太歲在閼逢攝提格,改元洪武之七載也。”上舍曰:“噫,吾止知有宋,不知有元,安知今日為大明之世也!願客為我略陳三代興亡之故,使得聞之。”逸乃曰:“宋德祐丙子歲,元兵入臨安,三宮遷北。是歲,廣王即位於海上,改元景炎。未幾而崩,諡端宗。益王繼立,為元兵所迫,赴水而死。宋祚遂亡,實元朝戊寅之歲也。元既並宋,奄有南北,逮至正丁未,曆甲子一周有半而滅。今則大明肇統,洪武萬年之七年也。蓋自德祐丙子至今,上下已及百歲矣。”上舍聞之,不覺流涕。

已而,山空夜靜,萬籟寂然,逸宿於其室,土床石枕,亦甚整潔,但神清骨冷,不能成寐耳。明日,殺雞為黍,以瓦盎盛鬆醪飲逸。上舍自製《金縷詞》一闋,歌以侑觴。曰:

夢覺黃粱熟。怪人間、曲吹別調,棋翻新局。一片殘山並剩水,幾度英雄爭鹿!算到了誰榮誰辱?白發書生差耐久,向林間嘯傲山間宿。耕綠野,飯黃犢。
市朝遷變陵穀。問東風、舊家燕子,飛歸誰屋?前度劉郎今尚在,不帶看花之福,但燕麥兔葵盈目。羊胛光陰容易過,歎浮生待足何時足?樽有酒,且相屬。

歌罷,複與逸話前宋舊事,亹不厭。乃言:“寶祐丙辰,親策進士,文天祥卷在四,而理皇易為舉首。賈似道當國,造第於葛嶺,當時有‘朝中無宰相,湖上有平章’之句。一宗室任嶺南縣令,獻孔雀二,置之圃中。見其馴擾可愛,即除其人為本郡守。襄陽之圍,呂文煥募人以蠟書告急於朝。其人懇於似道曰:‘襄陽之圍六年矣,易子而食,析骸而爨,亡在朝夕。而師相方且鋪張太平,迷惑主聽。一旦虜馬飲江,家國傾覆,師相亦安得久有此富貴耶?’遂扼吭而死。謝堂乃太後之侄,殷富無比。嚐夜宴客,設水晶簾,燒沉香火,以徑尺瑪瑙盤,盛大珠四顆,光照一室,不用燈燭。優人獻誦樂語,有黃金七寶酒甕,重十數斤,即於座上賜之不吝。謝後臨朝,夢天傾東南,一人擎之,力若不勝,蹶而複起者三。已而,一日墜地,傍有一人捧之而奔。覺而遍訪於朝,得二人焉,厥狀極肖。擎天者文天祥,捧日者陸秀夫也,遂不次用之。江萬裏去國,都民送之郭外者以千計,攀轅不忍舍去。城門既闔,多宿於野。賈似道出督,禦白銀鎧,真珠馬鞍。千裏馬二,一馱督府之印,一載製書並隨軍賞格,以黃帕覆之。都民罷市而觀。出師之盛,未之有也。”又論當時諸臣曰:“陳宜中謀而不斷,家鉉翁節而不通,張世傑勇而不果,李庭芝智而不達;其最優者,文天祥乎!”如是者凡數百言,皆曆曆可聽。是夕,逸又宿焉。

明旦,告歸,上舍複為古風一篇以餞行,曰:

建炎南渡多翻覆,泥馬逃來禦黃屋。盡將舊物付他人,江南自作龜茲國。可憐行酒兩青衣,萬恨千愁誰得知!五國城中寒月照,黃龍塞上朔風吹。東窗計就通和好,鄂王賜死蘄王老。酒中不見劉四廂,湖上須尋宋五嫂。累世內禪罷言兵,八十餘年稱太平。度皇晏駕弓劍遠,賈相出師笳鼓驚。攜家避世逃空穀,西望端門捧頭哭。毀車殺馬斷來蹤,鑿井耕田聊自足。南鄰北舍自成婚,遺風仿佛朱陳村。不向城中供賦役,隻從屋底長兒孫。喜君涉險來相訪,問舊頻扶九節杖。時移事變太匆忙,物是人非愈怊悵。感君為我暫相留,野蔌山肴借獻酬。舍下雞肥何用買,床頭酒熟不須芻。君到人間煩致語,今遇升平樂安處。相逢不用苦相疑,我輩非仙亦非鬼。

遂送逸出路口,揮袂而別。

逸沿途每五十步插一竹枝以記之。到家數日,乃具酒醴,攜肴饌,率家僮輩齎往訪之。則重岡疊嶂,不複可尋。豐草喬林,絕無蹤跡。往來於樵蹊牧徑之間,但聞穀鳥悲鳴,嶺猿哀嘯而已。竟惆悵而歸。逸念上舍自言生於嘉熙丁酉,至今則百有四十歲矣。而顏貌不衰,言動詳雅,止若五六十者,豈有道之流歟?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