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만리 등의 정음창제 반대 상소


[은자주]최만리 등이 문자 창제가 한자와 다르고, 중국의 비위를 거슬린다는 사대주의 논리에 세종은 중국의 한자음을 바르게 적기 위해 만들었다는 논리로 대응했고, 실제로 “사성(四聲)으로써 조절하여 91운(韻)과 23자모(字母)를 정하여 가지고 어제(御製)하신 훈민정음으로 그 음을 정하고” 여린히읗으로 입성 표기를 개발하는 등 한국의 관습적 발음과 달리 중국인의 발음에 가까운 이상적인 한자음 표기를 위한 <동국정운>을 편찬하셨다. <동국정운>은 다음 꼭지에 소개한다.


세종 103 26/02/20(경자) /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 등이 언문 제작의 부당함을 아뢰다

[원문 주소창]

http://blog.daum.net/kydong7/7034469

원문과 번역문은 한글과 컴퓨터 다국적 입력기가 금지하여 싣지 못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직접 찾아보기 바랍니다.

반대 이유를 요약하면,

알아들어서 억울함을 품을 자가 없을 것이라.’ 하오나, 예로부터 중국은 말과 글이 같아도 옥송(獄訟) 사이에 억울한 것이 심히 많다.

1.이제 넓게 여러 사람의 의논을 채택하지도 않고 갑자기 이배(吏輩) 10여 인으로 하여금 가르쳐 익히게 하며, 또 가볍게 옛사람이 이미 이룩한 운서(韻書)를 고치고 근거 없는 언문을 부회(附會)하여 공장(工匠) 수십 인을 모아 각본(刻本)하여서 급하게 널리 반포하려 하시니

1. 우리 조선은 조종 때부터 내려오면서 지성스럽게 대국(大國)을 섬기어 한결같이 중화(中華)의 제도를 준행(遵行)하였는데, 만일 중국에라도 흘러 들어가서 혹시라도 비난하여 말하는 자가 있사오면, 어찌 대국을 섬기고 중화를 사모하는 데에 부끄럽다.

1. 옛부터 세계의 안에 풍토는 비록 다르오나 지방의 말에 따라 따로 문자를 만든 것이 없사옵고, 오직 몽고(蒙古)·서하(西夏)·여진(女眞)·일본(日本)과 서번(西蕃)의 종류가 각기 그 글자가 있으되, 이는 모두 이적(夷狄)의 일이므로 족히 말할 것이 없다.

1. 신라 설총(薛聰)의 이두(吏讀)는 비록 야비한 이언(俚言)이오나, 모두 중국에서 통행하는 글자를 빌어서 어조(語助)에 사용하였기에, 문자가 원래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다. 27자의 언문으로도 족히 세상에 입신(立身)할 수 있다고 할 것이오니,무엇 때문에 고심 노사(苦心勞思)하여 성리(性理)의 학문을 궁리하려 하겠습니까.

1.비록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모두 다 쉽게 , 천하 후세의 공의(公議)에 어떠하겠는까.

1.“여러가지 완호(玩好)는 대개 지기(志氣)를 빼앗고 외곬으로 그것만 좋아하면 또한 자연히 지기가 상실된다.”고 했다. 언문이 비록 유익하다 이를지라도 특히 문사(文士)의 육예(六藝)의 한 가지일 뿐이다. 하물며 만에 하나도 정치하는 도리에 유익됨이 없사온데, 정신을 연마하고 사려를 허비하며 날을 마치고 때를 옮기시오니, 실로 시민(時敏)의 학업에 손실된다.

세종의 답변

너희들이 이르기를, ‘음(音)을 사용하고 글자를 합한 것이 모두 옛 글에 위반된다.’ 하였는데, 설총(薛聰)의 이두(吏讀)도 역시 음이 다르지 않으냐? 또 이두를 제작한 본뜻이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함이 아니하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라면 이제의 언문은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한 것이다. 너희들이 설총은 옳다 하면서 군상(君上)의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 것은 무엇이냐.

또 네가 운서(韻書)를 아느냐. 사성 칠음(四聲七音)에 자모(字母)가 몇이나 있느냐. 만일 내가 그 운서를 바로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이냐. 또 소(疏)에 이르기를, ‘새롭고 기이한 하나의 기예(技藝)라.’ 하였으니, 내 늙그막에 날[日]을 보내기 어려워서 서적으로 벗을 삼을 뿐인데, 어찌 옛 것을 싫어하고 새 것을 좋아하여 하는 것이겠느냐.

또는 전렵(田獵)으로 매사냥을 하는 예도 아닌데 너희들의 말은 너무 지나침이 있다. 그리고 내가 나이 늙어서 국가의 서무(庶務)를 세자에게 오로지 맡겼으니, 비록 세미(細微)한 일일지라도 참예하여 결정함이 마땅하거든, 하물며 언문이겠느냐. 만약 세자로 하여금 항상 동궁(東宮)에만 있게 한다면 환관(宦官)에게 일을 맡길 것이냐.

너희들이 시종(侍從)하는 신하로서 내 뜻을 밝게 알면서도 이러한 말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최만리 등의 항변

설총의 이두는 비록 음이 다르다 하나, 음에 따르고 해석에 따라 어조(語助)와 문자가 원래 서로 떨어지지 않사온데, 이제 언문은 여러 글자를 합하여 함께 써서 그 음과 해석을 변한 것이고 글자의 형상이 아닙니다.

또 새롭고 기이한 한 가지의 기예(技藝)라 하온 것은 특히 문세(文勢)에 인하여 이 말을 한 것이옵고 의미가 있어서 그러한 것은 아니옵니다. 동궁은 공사(公事)라면 비록 세미한 일일지라도 참결(參決)하시지 않을 수 없사오나, 급하지 않은 일을 무엇 때문에 시간을 허비하며 심려하시옵니까.


세종의 재답변

“전번에 김문(金汶)이 아뢰기를, ‘언문을 제작함에 불가할 것은 없습니다.’ 하였는데, 지금은 도리어 불가하다 하고, 또 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효자·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자질(資質) 여하(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 하였으니, 이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데 없는 용속(庸俗)한 선비이다.”하였다.
먼젓번에 임금이 정창손에게 하교하기를, “내가 만일 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효자·열녀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다.”하였는데, 창손이 이 말로 계달한 때문에 이제 이러한 하교가 있은 것이었다.




훈민정음정인지의 서문

[은자주]예조 판서 정인지(鄭麟趾)는 해례에 참여한 집현전 집현전학자들의 명단도 밝혔다,집현전응교(應敎) 최항(崔恒), 부교리(副校理) 박팽년(朴彭年)과 신숙주(申叔舟), 수찬(修撰) 성삼문(成三問), 돈녕부 주부(敦寧府注簿) 강희안(姜希顔), 행 집현전 부수찬(行集賢殿副修撰) 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이 그들이다.


세종 113 28/09/29(갑오) /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원문 주소창]

http://blog.daum.net/kydong7/7034419

원문은 한글과 컴퓨터 다국적 입력기가 금지하여 싣지 못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직접 찾아보기 바랍니다.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에, “천지(天地) 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 자연의 글이 있게 되니, 옛날 사람이 소리로 인하여 글자를 만들어 만물(萬物)의 정(情)을 통하여서, 삼재(三才)의 도리를 기재하여 뒷세상에서 변경할 수 없게 한 까닭이다. 그러나, 사방의 풍토(風土)가 구별되매 성기(聲氣)도 또한 따라 다르게 된다.

대개 외국(外國)의 말은 그 소리는 있어도 그 글자는 없으므로, 중국의 글자를 빌려서 그 일용(日用)에 통하게 하니, 이것이 둥근 장부가 네모진 구멍에 들어가 서로 어긋남과 같은데, 어찌 능히 통하여 막힘이 없겠는가. 요는 모두 각기 처지(處地)에 따라 편안하게 해야만 되고, 억지로 같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의 예악 문물(禮樂文物)이 중국에 견주되었으나 다만 방언(方言)과 이어(俚語)만이 같지 않으므로, 글을 배우는 사람은 그 지취(旨趣)의 이해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사람은 그 곡절(曲折)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로워하였다.

옛날에 신라의 설총이 처음으로 이두(吏讀)를 만들어 관부(官府)와 민간에서 지금까지 이를 행하고 있지마는, 그러나 모두 글자를 빌려서 쓰기 때문에 혹은 간삽(艱澁)하고 혹은 질색(窒塞)하여, 다만 비루하여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언어의 사이에서도 그 만분의 일도 통할 수가 없었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殿下)께서 정음(正音) 28자(字)를 처음으로 만들어 예의(例義)를 간략하게 들어 보이고 명칭를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하였다.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古篆)을 모방하고, 소리에 인하여 음(音)은 칠조(칠조)에 합하여 삼극(三極)의 뜻과 이기(二氣)의 정묘함이 구비 포괄(包括)되지 않은 것이 없어서, 28자로써 전환(轉換)하여 다함이 없이 간략하면서도 요령이 있고 자세하면서도 통달하게 되었다.

그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글을 해석하면 그 뜻을 알 수가 있으며, 이로써 송사(訟事)를 청단(聽斷)하면 그 실정을 알아낼 수가 있게 된다.

자운(字韻)은 청탁(淸濁)을 능히 분별할 수가 있고, 악가(樂歌)는 율려(律呂)가 능히 화합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하여 구비하지 않은 적이 없으며 어디를 가더라도 통하지 않는 곳이 없어서, 비록 바람소리와 학의 울음이든지, 닭울음소리나 개짖는 소리까지도 모두 표현해 쓸 수가 있게 되었다.

마침내 해석을 상세히 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이해하라고 명하시니, 이에 신(臣)이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 최항(崔恒), 부교리(副校理) 박팽년(朴彭年)과 신숙주(申叔舟), 수찬(修撰) 성삼문(成三問), 돈녕부 주부(敦寧府注簿) 강희안(姜希顔), 행 집현전 부수찬(行集賢殿副修撰) 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과 더불어 삼가 모든 해석과 범례(凡例)를 지어 그 경개(梗槪)를 서술하여, 이를 본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 연원(淵源)의 정밀한 뜻의 오묘(奧妙)한 것은 신(臣) 등이 능히 발휘할 수 없는 바이다. 삼가 생각하옵건대, 우리 전하(殿下)께서는 하늘에서 낳으신 성인(聖人)으로써 제도와 시설(施設)이 백대(百代)의 제왕보다 뛰어나시어, 정음(正音)의 제작은 전대의 것을 본받은 바도 없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졌으니, 그 지극한 이치가 있지 않은 곳이 없으므로 인간 행위의 사심(私心)으로 된 것이 아니다.

대체로 동방에 나라가 있은 지가 오래 되지 않은 것이 아니나, 사람이 아직 알지 못하는 도리를 깨달아 이것을 실지로 시행하여 성공시키는 큰 지혜는 대개 오늘날에 기다리고 있을 것인져.” 하였다.



훈민정음어제서문과 예의(例義)

[은자주]<조선왕조실록>에는 어제와 예의(例義), 정인지의 서문이 실려 있다. 국역과 함께 이를나누어 옮겨본다.


세종 113 28/09/29(갑오) /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是月, 訓民正音成。 御製曰:

이달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이루어졌다. 어제(御製)에,

國之語音, 異乎 中國 ,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漢字)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우매한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易習, 便於日用耳。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字)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ㄱ牙音, 如君字初發聲, 並書如蚪字初發聲。

ㄱ은 아음(牙音)이니 군(君)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규()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고,

ㅋ牙音, 如快字初發聲。

ㅋ은 아음(牙音)이니 쾌(快)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ㆁ牙音, 如業字初發聲。

ㆁ은 아음(牙音)이니 업(業)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ㄷ舌音, 如斗字初發聲, 並書如覃字初發聲。

ㄷ은 설음(舌音)이니 두(斗)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담(覃)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ㅌ舌音, 呑字初發聲。

ㅌ은 설음(舌音)이니 탄(呑)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ㄴ舌音, 如那字初發聲。

ㄴ은 설음(舌音)이니 나(那)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ㅂ唇音, 如彆字初發聲, 並書如步字初發聲。

ㅂ은 순음(脣音)이니 별()자의 첫 발성과 같는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보(步)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ㅍ唇音, 如漂字初發聲。

ㅍ은 순음(脣音)이니 표(漂)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ㅁ唇音, 如彌字初發聲。

ㅁ은 순음(脣音)이니 미(彌)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ㅈ齒音, 如即字初發聲, 並書如慈字初發聲。

ㅈ은 치음(齒音)이니 즉(卽)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자(慈)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ㅊ齒音, 如侵字初發聲。

ㅊ은 치음(齒音)이니 침(侵)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ㅅ齒音, 如戍字初發聲, 並書如邪字初發聲。

ㅅ은 치음(齒音)이니 술(戌)자의 첫 발성과 같는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사(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ㆆ喉音, 如挹字初發聲。

ㆆ은 후음(喉音)이니 읍()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ㅎ喉音, 如虛字初發聲, 並書如洪字初發聲。

ㅎ은 후음(喉音)이니 허(虛)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홍(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ㅇ喉音, 如欲字初發聲。

ㅇ은 후음(喉音)이니 욕(欲)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ㄹ半舌音, 如閭字初發聲。

ㄹ은 반설음(半舌音)이니 려(閭)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ㅿ半齒音, 如穰字初發聲。

ㅿ는 반치음(半齒音)이니 양(穰)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ㆍ如呑字中聲,

ㆍ·은 탄(呑)자의 중성(中聲)과 같고,

ㅡ如即字中聲,

ㅡ는 즉()자의 중성과 같고,

ㅣ如侵字中聲,

ㅣ는 침(侵)자의 중성과 같고,

ㅗ如洪字中聲,

ㅗ는 홍(洪)자의 중성과 같고,

ㅏ如覃字中聲,

ㅏ는 담(覃)자의 중성과 같고,

ㅜ如君字中聲, ㅓ如業字中聲,

ㅜ는 군(君)자의 중성과 같고, ㅓ는 업(業)자의 중성과 같고,


ㅛ如欲字中聲,

ㅛ는 욕(欲)자의 중성과 같고,

ㅑ如穰字中聲,

ㅑ는 양(穰)자의 중성과 같고,

ㅠ如戌字中聲, ㅠ는 술(戌)자의 중성과 같고,

ㅕ如彆字中聲。 ㅕ는 별()자의 중성과 같으며,


終聲復用初聲。

종성(終聲)은 다시 초성(初聲)으로 사용하며,

ㅇ連書唇音之下, 則爲唇輕音,

ㅇ을 순음(脣音) 밑에 연달아 쓰면 순경음(脣輕音)이 되고,

初聲合用則並書。 終聲同。

초성(初聲)을 합해 사용하려면 가로 나란히 붙여 쓰고, 종성(終聲)도 같다.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ㅡ·ㅗ·ㅜ·ㅛ·ㅠ는 초성의 밑에 붙여 쓰고,

ㅣㅓㅏㅑㅕ 附書於右。

ㅣ·ㅓ·ㅏ·ㅑ·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凡字必合而成音,

무릇 글자는 반드시 합하여 음을 이루게 되니,

左加一點則去聲,

왼쪽에 1점을 가하면 거성(去聲)이 되고,

二則上聲,

2점을 가하면 상성(上聲)이 되고,

無則平聲。

점이 없으면 평성(平聲)이 되고,

入聲加點同而促急。

입성(入聲)은 점을 가하는 것은 같은데 촉급(促急)하게 된다.” 라고 하였다.



언해본 초성해 중성해 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