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에는 3문3조의 정연한 권역 외에도 수많은 부속건물이 있었다.

1868년 대원군에 의해 복원된 건물만 해도 500여 동에 이르렀다.

구중궁궐이란 말은 예서 나왔다.

오늘날의 청와대․행정부․사법부․국회 기능을 합친 국정을 수행하던 곳이었으니 당연한 규모였다.

그 가운데 유홍준은 집경당과 함화당의 아름다운 내부 구조를 침이 마르도록 찬미한다.

빈궁들의 거처였으나 고종 때 외빈을 접견하는 장소로 활용된 건물이다.

이런 건물은 비워두는 것보다 활용하는 게 보존에 유리하므로 찻집을 열어 관람객들에게 내부의 아름다움을 개방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제시했다.

경직된 사고를 탈피하지 못하는 당국자들은 펄쩍 뛰겠지만 나는 공감이 간다.

사람이 드나들지 않는 집은 제풀에 쉬 허물어지는 법이다.

경회루는 근정전, 종묘 정전과 함께 조선의 3대 목조건물로서 경복궁의 꽃이다.

3문3조의 엄숙한 공간배치에서 한 발 벗어나 여유와 멋을 극대화한 공간이다.

누마루의 넓이는 298평으로 왜정시대 때 최대 1800명이 연회에 참석했던 기록이 있다.

누각에 올라서면 경복궁의 주요 전각은 물론 북악산․인왕산․남산이 한눈에 보인다.

왜정 36년 동안 조선통치의 연회장으로 오욕을 뒤집어썼던 경회루는 해방과 함께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이승만은 경회루 북쪽 입수구(入水口) 곁에 하향정이라는 육각정을 짓고 낚시를 즐겼다.

이 작은 정자는 지금도 남아 있다.

경회루 연못은 겨울이면 일반에게 스케이트장으로 개장되어 성황을 이루었다.

5․16혁명 이후 일반 공개가 금지되었던 경회루는 서울올림픽, 2002년 월드컵경기 등 국가적 중요 행사 때 외국을 비롯한 귀빈들의 연회장소로 제공되었다.

외국인들은 다른 나라에서 체험해본 적이 없는 아름다운 고궁의 야경에 흠뻑 취해 찬사를 연발하곤 했다.

 

 

 

 

 

 

 

 

 

 

 

 

 

 

 

 

 

 

 

 

 

 

 

'문화예술 역사 > 고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1  (0) 2015.11.16
광화문에서  (0) 2015.08.18
향원정 쪽동백  (0) 2015.08.18
향원정 수국  (0) 2015.08.18
향원정  (0) 2015.08.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