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의 뜻 - 法

www.youtube.com/watch?v=fWDkBFXgDbE

'달마'의 뜻 - 法

 

www.youtube.com/watch?v=gjz-Wtwx34Y&t=979s

 

 

 

 

 

 

ko.wikipedia.org/wiki/%EC%A4%91%EA%B5%AD%EC%9D%98_%EB%B6%88%EA%B5%90

 

중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 중국어 간체자: 汉传佛教, 병음: Hànchuán Fójiào)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

ko.wikipedia.org

수·당 이전

불교의 전래

기원전 1세기의 서역

불교의 전파 경로
빨강: 티베트 불교 출현 전의 북방 전파 경로
파랑: 남방 전파 경로

둔황 · 장안 · 뤄양 · 팽성

 

전한(前漢: BC 206~AD 8) 시대 중국과 서역 여러 나라를 연결하는 동서 교역로가 개척되었는데, 이 교역로가 중국에 불교 전래되는 계기였다. 중국과 서역 연결한 교역로는 전한의 무제(武帝: 재위 BC 141~BC 87)가 처음 개척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교역로는 발달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던 두 지역인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1]

유교나 브라만교는 민족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여 국경을 넘어 다른 민족에게 전해지는 일이 별로 없었지만, 전통적인 브라만교를 비판하고 극복하며 탄생한 불교는 보편주의적 성격이 있었으므로 특정 나라나 민족에 얽매이지 않은 채 인근 여러 나라로 포교와 전도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다. 불교는 이미 기원전 250년경의 아쇼카왕(재위 BC 265~238 또는 273~232) 시대에 인도의 북쪽 국경을 넘어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차츰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던 다수의 오아시스 국가에도 들어갔다. 이에 따라 중국과 서역 사이 개통한 동서교역로 통한 불교의 중국 전파는 필연적으로 일어날 일이었다.[1]

중국 옛 기록에는 서력기원 전후 불교 관련 기록들이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위지(魏志) 서융전(西戎傳)〉에는 《위략(魏略)》을 인용하여, 전한(前漢: BC 206~AD 8) 말기의 애제(哀帝: 재위 BC 7~BC 1)의 원수(元壽: BC 2~BC 1) 원년인 BC 2년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경로(景盧)가 대월지(大月氏)왕의 사자였던 이존(伊存)으로부터 부도경(浮屠經: 불경의 다른 말)을 구전(口傳)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후한서(後漢書)》에는 후한(後漢: 25~220) 명제(明帝)의 영평(永平: 58~75) 8년인 기원후 65년에 명제의 이복 동생인 초왕 유영이 그의 봉토인 팽성(彭城: 지금의 장쑤성 쉬저우 시)에서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의 뜻이 깊은 말들을 읊조리고 부처의 인사(仁祠: 사찰의 다른 말)를 존중하며 상문(桑門: 승려 · 사문 · 출가자의 다른 말)과 우바새(優婆塞), 즉 승려와 재가신자를 존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

비단길 통해 중국을 방문했던 대상(隊商)이나 사절(使節) 중에 불교 신자가 있었을 테고, 승려가 이들과 함께 온 일도 있었을 것이고, 둔황(敦惶) · 장안(長安) · 뤄양(洛陽) 등에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서서히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역의 여러 나라의 불교가 이 동안에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대략적인 시기가 아닌 특정한 연대를 결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또한 그다지 유의미한 작업도 아니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에서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함께 행해지고 있었는데 당연히 인도 불교 그대로가 아니고 이른바 서역화된 불교였다. 중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이러한 서역 불교였다.[1]

불경의 한역

 

AD 200년의 파르티아(Parthian Empire: BC 238~AD 226)와 중국의 후한(後漢: 25~220)

 

파란 눈의 서역(중앙아시아)의 승려와 동아시아의 승려: 베제클리크 천불동, 중국, 9~10세기

기원전 2년에 경로(景盧)가 불경을 구전으로 전수받았으며 기원후 65년에 초왕(楚王) 영(英)이 불교를 믿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중국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불교가 중국에서 확실한 토대를 잡기 시작한 것은 후한(後漢: 25~220) 말에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부터이다.

인도에서 성립된 불교 경전은 서역에 전해지고 다시 서역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왔으며, 인도나 서역의 문자로 쓰여진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파르티아의 태자로 승려가 된 안세고(安世高: ?~168)와 인도의 쿠샨 왕조의 승려인 지루가참(支婁迦懺: fl. 167~186)에 의해서였다. 이 두 역경승이 중국에 온 것은 2세기 후반으로 후한(後漢: 25~220)의 환제(桓帝: 재위 146~167)와 영제(靈帝: 재위 168~189)의 시대였다. 이 두 역경승 외의 후한 시대의 역경자들로는 축불삭(竺佛朔: fl. 168~188[3]· 안현(安玄: fl. 181[4]· 지요(支曜: fl. 185[5]· 강거(康巨) · 강맹상(康猛詳) · 축대력(竺大力: fl. 197[6]· 담과(曇果) · 지량(支亮) · 엄불조(嚴佛調) 등이 있었다.[2]

이 최초의 시기에서 역경자들이 불교 경전을 번역하는 데 얼마나 힘을 들였는가는 현존하는 그들의 번역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인도인이나 서역인들과는 전혀 다른 중국인이 우여곡절을 거쳐서 불교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외래의 역경자들 덕택이었다.[2]

일반적으로 초기의 번역이 난해하고 딱딱한 것은 번역에 사용한 용어가 각각 다르고 번역된 문장의 형식이 고르지 않으며 음사어(音寫語)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함은 후대의 역경자들에 의하여 차차 개선되어 가다가, 서역의 구자국 출신으로 후진(後秦: 384~417)에서 활동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과 당나라(618~907)의 현장(玄奘: 602~664)에 의하여 획기적인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문제점들이 완전히 극복되었다.[2]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에 포함되는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한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이나 유교사상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가 성행했다.[7] 격의불교는 한편으로는 중국에서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받아들여지고 이해될 수 있게 하며 불교가 토착화되게 하는 순기능을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역기능도 하였다. 격의불교의 역기능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로 비로소 극복되었다.[8]

현장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 한역된 경전을 구역(舊譯)이라 부르고 그 이후에 한역된 경전을 신역(新譯)이라고 부르는데, 구역(舊譯)이라고 하면 특히 구마라습이 번역한 경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2]

 

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D%98_%EB%B6%88%EA%B5%90

 

한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

ko.wikipedia.org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는 1,600년 전인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중국을 거쳐 들어온 사상으로서 한국민족과 자라온 중요한 종교사상의 하나가 되었다. 삼국시대에 육상 경로와 해상 경로를 통해 전해졌다. 기록 상 최초의 불교 전래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소수림왕 전 시기에 불교가 상당 부분 고구려 각처에 퍼져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의 나라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것은 율령체제 정비와 그 궤를 같이한다. 불교는 도입된 이래 삼(사)국의 주요 통치 이념이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정치 이념이었던 유교와 함께 가장 강력한 통치 이념이었다. 고려 후기에는 불교 교리의 실천을 망각하고 권력화하여 타락함으로써 고려 왕조를 몰락으로 이끈 경향이 짙었고, 조선 초의 배불 숭유 정책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불교의 영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김수온 등의 건의로 이를 부흥시켰다.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에 중국의 선종이 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한 통불교, 즉 선-교 양종의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근대 이후 한국 불교의 주류는 선종이다. 해방이후 비구-대처분쟁 이후 비구 종단은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립되었고, 조계종은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이다. 불교 대승 종단은 소의 경전을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

 

www.youtube.com/watch?v=eCmKeD52hfA

 

 

www.youtube.com/watch?v=xImGEYI2mO4

 

 

www.youtube.com/watch?v=_EexNc0xuNw

 

 

 

www.youtube.com/watch?v=xayW_B2CHOQ

 

 

[법륜] 달마-法&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점

www.youtube.com/watch?v=hR4A53F-AGc

 

 

ko.wikipedia.org/wiki/%EB%8C%80%EC%8A%B9%EB%B6%88%EA%B5%90

 

대승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승불교(大乘佛敎, 영어: Mahāyāna Buddhism) 또는 마하야나(산스크리트어: महायान mahāyāna)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

ko.wikipedia.org

 불교는 고타마 붓다가 입적한 후 그 가르침의 전승(傳承)을 중심으로 하는 원시불교로부터 그 정리·해석을 위주로 하는 부파(部派) 불교로 발전했으나, 이러한 불교가 복잡한 이론으로써 자기 혼자만의 해탈(解脫)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가르침이었음에 반대하여 서기전 1세기 무렵부터 일체중생(一切衆生)의 구제를 이상으로 하고 대중 속에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자리(自利)와 함께 이타(利他)를 설법하는 보살의 가르침이 차차 융성해졌다.

그리하여 이 실천의 뒷받침이 되는 《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화엄경(華嚴經)》 등의 경(經)이나 《중론(中論)》·《섭대승론(攝大乘論)》 등이 작성되었다. 그때 후자의 교도는 자기들의 가르침이 대승이라 자칭하고 전자를 소승이라 하여 경시했다. 대승 불교도 측에서 소승 불교라고 칭하는 상좌부 불교에 속하는 현재의 스리랑카 · 미얀마 · 태국의 불교도들은 결코 자신들의 가르침을 소승이라 하지 않는다. 중국 · 한국 · 일본 · 티베트에서는 대승 불교가 매우 발전했다.

 

 

www.youtube.com/watch?v=gnHtu8yM3b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