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_산수몽(山水蒙)
蒙亨(몽형) : 몽은 형통하니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 : 동몽을 구함이 아니라
童蒙求我(동몽구아) : 동몽이 나를 구함이니,
初筮告(초서고) : 처음 점치거든 알려주고
再三瀆(재삼독) : 주번 세번하면 더럽히는 것이라.
瀆則不告(독칙불고) : 더럽힌 즉 알려주지 말지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蒙山下有險(몽산하유험) : 산 아래 험한 것이 있고
險而止蒙(험이지몽) : 험해서 그치는 것이 몽이라.
蒙亨(몽형) : '몽형'은
以亨行(이형행) : 형통함으로써 행함이니
時中也(시중야) : 때로 중함이요,
匪我求童蒙童蒙求我(비아구동몽동몽구아) : '비아구동몽동몽구아'는
志應也(지응야) : 뜻이 응함이요,
初筮告(초서고) : '초사곡'은
以剛中也(이강중야) : 강하고 가운데 함으로써요,
再三瀆瀆則不告(재삼독독칙불곡) : '재삼독독즉불곡'은
瀆蒙也(독몽야) : 몽을 더럽히게 됨이니,
蒙以養正(몽이양정) : 몽으로써 바른 것은 기름이
聖功也(성공야) : 성스러운 공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山下出泉蒙(산하출천몽) : 산 아래 샘이 솟아나는 것이 몽이니,
君子以果行育德(군자이과행육덕) : 군자가 이로써 과감히 행하며 덕을 기르니라.
初六(초륙) : 초육은
發蒙(발몽) : 몽을 일깨우는데
利用刑人(이용형인) : 사람에게 형벌함을 쓰고서
用說桎梏(용설질곡) : 질곡을 벗김이 이로우니,
以往吝(이왕린) : 형벌로써만 해 나가면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利用刑人(이용형인) : '이용형인'은
以正法也(이정법야) : 써 법을 바르게 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包蒙吉(포몽길) : 몽을 감싸면 길하고
納婦吉(납부길) : 지어미를 얻으면 길하리니,
子克家(자극가) : 자식이 집을 다스리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子克家(자극가) : '자극가'는
剛柔節也(강유절야) : 강과 유가 접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勿用取女(물용취녀) : 써 여자를 취하지 말지니,
見金夫(견금부) : 돈 있는 사내를 보고
不有躬(불유궁) : 몸을 두지 못하니
無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으느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勿用取女(물용취녀) : '물용취녀'는
行不順也(행불순야) : 행실이 순하지 아니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困蒙吝(곤몽린) : 곤궁한 몽이니 인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困蒙之吝(곤몽지린) : '곤몽지인'은
獨遠實也(독원실야) : 홀로 실상에서 멀다.
六五(육오) : 육오는
童蒙吉(동몽길) : 어린 몽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童蒙之吉(동몽지길) : '동몽지길'은
順以巽也(순이손야) : 순하고 공순함으로써라.
上九(상구) : 상구는
擊蒙(격몽) : 몽을 침이니.
不利為寇(불리위구) : 도적이 됨이 이롭지 아니하고
利禦寇(이어구) : 도적을 막음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利用禦寇(이용어구) : '도적 막음을 씀이 이로운 것'은
上下順也(상하순야) : 위와 아래가 순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4산수몽山水蒙?category=343349 [빈막(賓幕)]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06.천수송(天水訟) (0) | 2021.02.07 |
---|---|
주역(周易)05. 수천수(水天需) (0) | 2021.02.07 |
주역(周易) 03. 수뇌둔(水雷屯) (0) | 2021.02.07 |
주역(周易) 02. 곤위지(坤爲地) (0) | 2021.02.07 |
주역(周易) 01.건위천(乾爲天) (0) | 202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