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_지산겸(地山謙)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謙亨(겸형) : ‘겸형’은

天道下濟而光明(천도하제이광명) : 하늘의 도리는 작용이 아래로 내려 와 빛나고

地道卑而上行(지도비이상행) :
땅의 도리는 낮은 위치를 지킴으로서 그 작용이 위로 올라 가 시행된다

天道虧盈而益謙(천도휴영이익겸) : 하늘의 도는 이지러지고 차고 하여 차지 않은 것을 보탠다

地道變盈而流謙(지도변영이류겸) : 땅의 도는 가득 찬 것을 변경하여 차지 않은 곳에 흘러든다

鬼神害盈而福謙人(귀신해영이복겸인) :
귀신은 가득 차 있는 것에는 해를 주고 겸손한 자에게는 복을 준다

道惡盈而好謙(도악영이호겸) : 사람의 도리는 교만한 것을 미워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謙尊而光(겸존이광) : 높은 지위를 겸손히 하면 빛나고

卑而不可踰(비이불가유) : 낮은 자리에 있는 자는 남이 업신여기지 못한다

君子之終也(군자지종야)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둔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地中有山謙(지중유산겸) : 낮은 땅에 높은 산이 있는 것이 겸괘의 상이다

君子以裒多益寡(군자이부다익과) :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많은 것에서 들어 적은 것에 보태어

稱物平施(칭물평시) : 사물의 균형을 살피고 공평하게 베푼다

 

初六(초육) : 초육은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는

用涉大川吉(용섭대천길) : 큰 내를 건너는 일을 해도 길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란

卑以自牧也(비이자목야) : 낮추어서 스스로를 기르는 자이다

 

六二(육이) : 육이는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으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다’는 것은

中心得也(중심득야) : 중심을 얻었다는 것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는

有終吉(유종길) : 끝에 길함이 있을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에게는

萬民服也(만민복야) : 만민이 심복한다 

 

六四(육사) : 육사는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은

不違則也(불위칙야) : 규칙을 어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六五(육오) : 육오는

不富以其鄰(불부이기린) : 부귀하면서도 그 이웃을 해하지 않으니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해도

無不利(무불리) :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이라함’은

征不服也(정불복야) : 복종하지 않는 자를 정벌함이다

 

上六(상육) : 상육은

鳴謙(명겸) : 명성은 세상을 울리고 있으나 겸손하다

利用行師(이용행사) : 군사를 동원하면

征邑國(정읍국) : 작은 읍국을 정복할 수 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명겸) : ‘명성을 얻었으나 겸손하다함’은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아직 얻지 못함이라

可用行師(가용행사) : 군사를 동원하면

征邑國也(정읍국야) : 작은 읍국을 정벌할 수 있다

 

hwalove.tistory.com/entry/15%EC%A7%80%EC%82%B0%EA%B2%B8%E5%9C%B0%E5%B1%B1%E8%AC%99?category=343349

 

15_지산겸(地山謙)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5_지산겸(地山謙)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