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_택뇌수(澤雷隨)

 

隨元亨(수원형) : 수는 크게 형통하니

利貞无咎(이정무구) : 바름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隨剛來而下柔(수강래이하유) : 수는 <강이> 오면 <유> 아래에 처하고,

動而說隨(동이열수) : 움직여 기뻐며 따르니

大亨貞(대형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리라

无咎而天下隨時(무구이천하수시) : 허물이 없어서 천하가 때를 따르나니,

隨之時義大矣哉(수지시의대의재) : 따름의 때와 의미가 크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中有雷隨(택중유뢰수) : 못 가운데 우뢰가 있는 것이 수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嚮晦入宴息(군자이향회입연식) : 군자가 이로써 그믐을 향하여 들어가서 잔치하고 쉰다.

 

初九(초구) : 초구는

官有(관유) : 관운에 변함이 있으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니,

出門交有功(출문교유공) : 문 밖에 나가서 사귀면 공이 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官有渝從正吉也(관유투종정길야) : '관유유'에 바름을 좇으면 길할지니,

出門交有功不失也(출문교유공부실야) : '출문교유공'은 잃지 아니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係小子失丈夫(계소자실장부) : 소자에게 매이면 장부를 잃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係小子弗兼與也(계소자불겸여야) : '계소자'는 아울러 더불지 못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係丈夫失小子(계장부실소자) : 장부에 매이고 소자를 잃으니

隨有求得(수유구득) : 따름에 구함이 있음을 얻으나,

利居貞(이거정) : 바른데에 거함이 이롭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係丈夫(계장부) : '계장부'는

志舍下也(지사하야) : 뜻이 아래를 버림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隨有獲(수유획) : 따름에 얻음이 있으면

貞凶(정흉) : 바르더라도 흉하니,

有孚在道(유부재도) : 믿음이 있으면 도에 두고

以明何咎(이명하구) : 밝음으로써 하면 무슨 허물이리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隨有獲其義凶也(수유획기의흉야) : '수유획'은 그 뜻이 흉함이오,

有孚在道明功也(유부재도명공야) : '유부재도'는 밝은 공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孚于嘉吉(부우가길) : 아름다운데에 미더우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于嘉吉(부우가길) : '부우가길'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자리가 바르고 중정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拘係之(구계지) : 얽어서 매고

乃從維之(내종유지) : 이에 좇아 얽으니,

王用亨于西山(왕용형우서산) : 왕이 써 서산에서 형통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拘係之(구계지) : '구계지'는

上窮也(상궁야) : 위에서 궁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7택뇌수澤雷隨?category=343349 [빈막(賓幕)]

 

17_택뇌수(澤雷隨)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7_택뇌수(澤雷隨) 隨元亨(수원형) : 수는 크게 형통하니 利貞无咎(이정무구) : 바름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

hwalove.tistory.com

 

 

www.dailywrn.com/4667

 

http://www.dailywrn.com/sub_read.html?uid=4667

 

www.dailywrn.com

수(隨)는 못 속에 우레가 움직이니 못물이 출렁이며 따른다.

우레 소리에 따라서 못의 물이 출렁거리면서 따라 움직인다.

기뻐하며 출렁이고, 움직이며 기뻐하는 것이 서로가 서로를 따르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