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설날 이후 내년 계묘년 이전까지 태어난 아이는 호랑이[虎] 띠가 됩니다.

언론에서는 금년 1월1일부터 '행운의 검은 호랑이'를 떠벌렸지만, 실상은 오늘 임인년 (壬寅年) 설날부터 행운은 시작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jHMact1x4E 

 

 

https://www.youtube.com/watch?v=vB2SwpEl2x4 

 

 

https://blog.daum.net/yescheers/8599302

 

십이지지 동물 색상의 결정 기준

십이지지 동물 색상 결정 기준 청색, 적색, 황색, 흰색, 흑색의 오방색을 띠와 연결시킨 것은 2007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방색 (五方色) 오행의 각 기운과 직결된 청(靑), 적(赤), 황(黃), 백(白),

blog.daum.net

 

 

10간(干), 12지(支), 60갑자(甲子),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http://chungfamily.woweb.net/zbxe/board_013/1910

 

전통상식 - 10간(干), 12지(支), 60갑자(甲子),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간과 지가 사용된 역사는 매우 오래 전으로, 중국의 BC 1766∼BC 1123년에 걸친 상(商)나라의 역대 왕의 이름을 살펴보면 태갑(太甲)·옥정(沃丁)·천을(天乙) 등 10간의 글자로 된 이름이 많은데, 이로

chungfamily.woweb.net

간과 지가 사용된 역사는 매우 오래 전으로, 중국의 BC 1766∼BC 1123년에 걸친 상(商)나라의 역대 왕의 이름을 살펴보면 태갑(太甲)·옥정(沃丁)·천을(天乙) 등 10간의 글자로 된 이름이 많은데, 이로 미루어 볼 때 10간은 상나라 때부터 유래되었다고 추정합니다.  12지는 중국 고대 사전인 이아(爾雅)와 사기(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B.C 2700년 경부터 사용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퍼져나온 60간지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는 삼국시대가 시작하는 B.C 57년 경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 된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지만 B.C 57년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신라 건국년도이며,  한반도가 중국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 것은 그 이전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아마 우리나라가 간지를 사용한 것은  그보다 더 오래 되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60이라는 주기는 날자로 계산해서 두 달쯤에 해당하는 적당한 주기이며,  60간지는 원래 날짜를 세기 위해 썼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 10간, 12지는 중국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결합해 만물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쓰였습니다. 즉 사람의 성질과 운세(運勢)를 점치기도 하고, 나날의 길흉과 방위의 선택 등을 살펴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1. 10간(十干) :天干(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2. 12지(十二支) : 地支(지지)

일반인들이 말하는 띠는 바로 땅의 12기운과 관련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은 순으로 나열돼 있습니다.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토끼 원숭이잔나비 돼지
23~01 01~03 03~05 05~07 07~09 09~11 11~13 13~15 15~17 17~19 19~21 21~23

 

3.干支(간지) 표기

天干(천간)이 먼저 표기되고,  地支(지지)가 나중 표기됩니다.   그래서 甲子(갑자), 乙丑(을축)' 등으로 표기되고, 모두 조합을 하면 60개가 되며,  마지막이 癸亥(계해)가 됩니다.   이를 '六十甲子(육십갑자)'라고 합니다.

자신의 출생 간지가 60년 후에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還甲(환갑-甲子가 돌아옴)' 이라 하는데  환갑은 만 나이로 60세 생일날 입니다.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2014 2015 2016 2017 2018 1019 2020 2021 2022 2023
갑진 을사 병오 벙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2034 2035 2036 2037 2038 2039 2040 2041 2042 2043

 

 

4.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간지를 해마다 하나씩 배당한 것을 세차(歲次),

다달에 하나씩 배당한 것을 월건(月建),

나날에 하나씩 배당한 것을 일진(日辰),

시간에 배당하는것을 시진(時辰) 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나날의 세차, 월건, 일진, 시진은 본 홈페이지의 만세력(간지달력)을 보시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http://chungfamily.woweb.net/zbxe/perpetual_calendar)

 

배당하는 방법은 세차와 일진은 과거 수천년 전부터 각각의 년도와 날자에 배당하는 60갑자가 이미 정해져서 내려오고 있으며 그 시작시점이 언제인지는 지금으로서는 알수 없습니다.   

 

5. 간지의 기준은 무엇인가? (한국천문연구원 게시판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음력간지는 천문현상에 기초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절기와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60년 주기는 10간과 12지를 이용한 것입니다. 10간과 12지를 순서대로 교차하며 이용한 것이 60간지입니다.

이를 알기위해서는 중국의 원가력(元嘉曆)을 알아야 합니다.

송서(宋書)의 첫머리가,
上元庚辰甲子紀首 至太甲元年癸亥三千五百二十三年 至元嘉二十年癸未 五千七百三年算外로 시작합니다.

이는 계산의 고대기점, 즉 上元을 나타내는데, 이 기점을 상원이라고 하고, 상원 이후의 연수를 積年이라고 합니다.  상원 이후 太甲元年(-1737년)까지의 적년은 3523년이고, 원가 20년(433년)까지의 적년은 5703년이므로 상원은 -5260년(B.C.5261년)이 됩니다.  원가력의 상원은 B.C.5260년 경진년으로, 正月 甲子朔午前0時가 우수입기시각이라는 것을 甲子紀首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음력 간지는 원가력이 그 근원이라고 볼 수 있으며, 왜 -5260년을 상원 갑자로 잡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역에 간지를 붙여 사용함으로서 자연의 순환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질문하신 어느날 어느시가 갑자년 갑자월 갑자시가 되는 기준은, 위에 말씀드린대로 이미 수천년전 정해 내려온 것으로 상원 갑자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 입니다."

 

6. 세차(歲次) , 일진(日辰) 배정방법

예를들어 1902년 1월 1일의 세차는"임인壬寅",  일진은 "갑신甲申" 인데 이는 수천년동안 60갑자의 순환 주기에 따라 배정되어 오고 있습니다.  즉  60갑자를 그냥 순서대로 年과 日에 적용하는 것이며 특별한 배정 방법이 따로 정해져 있는것은 아닙니다. 

단,  새해의 시작을 구분 할 때는 그 시점이 사람에 따라 이론이 있습니다. 즉,"주역을 하시는 분들은 새해의 시작을 동지로 보고,  명리학이나 사주를 보는 분들은 새해의 시작을 입춘으로 보는것 같습니다만,  새해의 시작은 정월 초하루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내 질문답변 게시판에서 발췌)

 

위와 같이 새해의 시작점은 사람에 따라 기준점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러나, 기준일이 바뀌면 일자의 간지(일진)는 변하지 않지만 년의 간지(세차)와 월의 간지(월권)는 변경이 되니 얼마나 난감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어느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자료(사주팔자)를 이용해 흔히들 사주를 본다거나 하는 일이 황당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간지는 우리 선조들이 계속 사용해 왔고 그중 일진은 과거 수천년 동안 그 주기가 하루도 변하지 않고 계속 이어져 내려 왔다고 하니 나름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 합니다. 
 참고로 한국천문연구원이 게시한 월권과 24절기는 http://astro.kasi.re.kr/Life/AlmanacForm.aspx?MenuID=110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월건(月建) 배정방법

월권은 세차에 따라 변경되며, 새해의 시작 기점을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월권이 달라지며 그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甲己년은 丙寅두, 乙庚년은 戊寅두, 丙辛년은 庚寅두, 丁壬년은 壬寅두, 戊癸년은 甲寅두로 외우면 쉽다.) 

입춘
기점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동지
기점
동지 대한 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추분 상강 소설
설날
기점
음1월 음2월 음3월 음4월 음5월 음6월 음7월 음8월 음9월 음10월 음11월 음12월
甲,己년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丙子 丁丑
乙,庚년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丙,辛년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丁,壬년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戊,癸년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8. 시진(時辰) 배정방법

시진 역시 일진에 따라 변경되며, 그 배정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甲己일은 甲子두, 乙庚일은 丙子두, 丙辛일은 戊子두, 丁壬일은 庚子두, 戊癸일은 壬子두로 외우면 쉽다)

신시: 밤 11~ 1시 1~3시 3~5시 5~7시 7~9시 9~11시 낮 11~ 1시 1~3시 3~5시 5~7시 7~9시 9~11시
생시: 戌 
甲,己일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乙,庚일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丙,辛일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丁,壬일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戊,癸일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작성: 鄭基晟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인터넷등

 

[서력기원]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A0%A5%EA%B8%B0%EC%9B%90

 

서력기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CE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BCE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력기원(西曆紀元, 문화어: 기독교년대(基督敎年代)), 약칭 서기(西紀)는 예수 탄생을 기원(紀元)으로 한 서양

ko.wikipedia.org

서력기원(西曆紀元, 문화어: 기독교년대(基督敎年代)), 약칭 서기(西紀)는 예수 탄생을 기원(紀元)으로 한 서양 기독교 문화권에서 사용해 온 기년법의 책력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서기는 일반적인 다른 역법·연호 체계와 마찬가지로 0년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레고리력의 1년을 기원, 곧 ‘시작하는 해’로 삼는다.BC와는 같은 개념이라 볼 수 있다.

로마자 약어로 기원후는 AD(라틴어Anno Domini 아노 도미니[*] ‘주의 해(年)에’)로, 기원전은 BC(영어Before Christ 비포 크라이스트[*] ‘예수 이전에’)를 주로 써왔다. 이 말의 기원은 라틴어로, 현재 라틴어 문장 내에서 쓸 때에는 주로 장음 표시 악센트인 마크론(¯)을 덧붙인 ‘annō Domini’로 표기한다. 반면에 영어에서는 앞서 보인 바와 같이 마크론을 떼는 게 일반적이며, 인쇄물이나 컴퓨터 문서에서는 이탤릭체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영어권 국가에서는 ‘(in) (the) year of our Lord (Jesus Christ)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해에)’와 같은 표현이 대신 쓰이기도 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FPQRDPKmu8&list=RDGMEMCMFH2exzjBeE_zAHHJOdxg&index=2 

 

 

 

무서운 시간
ㅡ 윤동주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이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 번도 손들어 보지 못한 나를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
나를 부르는 것이오?

일이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
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 텐데……

나를 부르지 마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224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225

 

김건희 녹취록 파문, 무슨 내용 담겼길래?/ 윤동주, 무서운 시간

무서운 시간 ㅡ 윤동주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이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 번도 손들어 보지 못한 나를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CCKlZV22ND8&list=RDGMEMCMFH2exzjBeE_zAHHJOdxg&index=5 

 

 

진화와 공존의 섬 갈라파고스

제3부- 불편한 진실

https://www.youtube.com/watch?v=hyeOqdYS5lE 

 

https://www.youtube.com/watch?v=BqYGuxgWFQ0 

 

https://www.youtube.com/watch?v=-n8DmVCSgp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214 

 

 

황창연[베네딕토] 신부(神父), 21세기는 행복의 시대

https://www.youtube.com/watch?v=nF23h76f0Yc 

 

행복10계명

1. 운동[수영]하라     2.감사하라     3.대화하라    4.공부하라   

5.TV시청을 최소화하라 *거실 소파 전면에 TV가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눈 떠서부터 잠자리에 들 때까지 유사한 내용을 죽는 날까지 보는 한국인들.]

6.신앙생활하라      7.웃어라      8. 기다려지는 사람의 전화는 내가 먼저 전화하자     

9. 자기자신을 사랑하라   10.이웃사람들에게 친절하라

 

 

https://www.youtube.com/watch?v=FlvGq2jZ19Q 

 

 

https://www.youtube.com/watch?v=BoUvuDnK0ys 

 

 

https://kydong77.tistory.com/20344

 

주역(周易) 64괘 해석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http://www.thinkpool.com/minihome/index.jsp?hid=baksa88/1323732 www.thinkpool.com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blog.daum.net/yc012175/159..

kydong77.tistory.com

 

[중략] (위 주소창 참조)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344 

 

 

https://www.youtube.com/watch?v=VzwdBCQwK-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