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b.sejongkorea.org/front/detail.do?bkCode=P14_WS_v001&recordId=P14_WS_e01_v001_c001
-
석보상절 서:1ㄱ
-
석보상절 서:1ㄴ
-
석보상절 서:2ㄱ
-
석보상절 서:2ㄴ
-
석보상절 서:3ㄱ
-
석보상절 서:3ㄴ
-
석보상절 서:4ㄱ
-
석보상절 서:4ㄴ
-
석보상절 서:5ㄱ
-
석보상절 서:5ㄴ
-
석보상절 서:6ㄱ
-
석보상절 서:6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보상절 서문
【서는 글 만든 뜻을 자세히 써서 뒷사람을(에게) 알게 하는 것이다.】
〔한문〕 ----【「불」은 부처이시니라. 「위」는 되어 겨시다는 것이다. 「삼계」는 욕계·색계·무색계이다. 「지」는 허사이다. 「존」은 높으신 분이시니라 하는 뜻이다.】
〔옮김〕 부처님이 삼계의 높으신 분이 되어 계시어,
Ⓒ 역자 | 허웅 / 1992년 12월 5일
〔한문〕 ----【「홍」은 넓게 하는 뜻이다. 「도」는 제도하는 것이다. 「군」은 무리이다. 「생」은 세계에 살아 행동하는 것들이다.】
〔옮김〕 중생을 널리 제도하시나니,
〔한문〕 ----【「무량」은 이루헤아릴 수 없다는 것이다.】
〔옮김〕 한이 없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의〉 공과 덕이
〔한문〕 ----【「인」은 사람이다. 「천」은 하늘이다. 「소」는 ‘바’이다. 「불능」은 못한다는 것이다. 「찬」은 기린다는 것이다.】
〔옮김〕 사람들과 하늘들이 내내 기리지 못하는 바이시니라.(아무리 기려도 다할 수 없다는 뜻)
〔한문〕 ----【「세」는 세간이다. 「학」은 배운다는 것이다. 「자」는 사람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옮김〕 세간에 부처님 도리를 배우는 사람이
〔한문〕 ----【「선유」는 흔히있지 않다 하는 뜻이다. 「지」는 아는 것이다. 「출」은 〈밖에〉 나가 다닌다는 것이다. 「처」는 나가 움직이지 아니하여 가만히 있다는 것이다. 「시」는 처음이다. 「종」은 마침이다.】
〔옮김〕 부처님이 나다니시며 가만히 계시던 처음과 마지막을 알 사람이 드무니,
※ 부처님이 한평생에겪었던 일의 시종을 알 사람이 드물다는 것이다.
〔한문〕 雖欲知者ㅣ 라도 【雖 비록 논 디라
석보상절 서:3ㄱ
欲 고져 씨라】〔옮김〕 비록 알오져 주034) 리라도
〔한문〕 亦不過八相而止니라 【亦은 주035) 논 디니 사미 다 모거늘 주036) 其中에 알오져 리 비록 이셔도 주037) 子細히 모 주038) 라 주039) 니라 不은 아니 논 디라 過 너믈씨라 八 여들비 주040) 라 相 라 주041) 八相 주042) 兜率來儀 주043) 毘藍降生 주044) 四門遊觀 주045) 逾城出家 주046) 雪山修道 주047) 樹下
석보상절 서:3ㄴ
降魔 주048) 鹿苑轉法 주049) 雙林涅槃 주050) 이라 而 입겨지라 止 마다 논 디라】〔옮김〕 八相 넘디 아니야셔 마니라
〔한문〕 ----【「수」는 비록 하는 뜻이다. 「욕」은 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옮김〕 비록 알고자 하는 사람이 라도
〔한문〕 ----【「역」은 ‘또’ 하는 뜻이니, 사람이 다 모르는데 그 중에 알고자 하는 사람이 있어도 자세히(는) 모르므로 ‘또’라고 하니라. 「불」은 ‘아니’라 하는 뜻이다. 「과」는 ‘넘는다’는 것이다. 「팔」은 ‘여덟’이다. 「상」은 ‘양자’(모양)이다. 「팔상」은 도솔내의, 비람강생, 사문유관, 유성출가, 설산수도, 수하항마, 녹원전법, 쌍림열반이다. 「이」는 허사이다. 「지」는 ‘말다’ 하는 뜻이다.】
〔옮김〕 또 팔상을 넘지 아니하고서 마느니라.(그 정도에서 그치니라.)
〔한문〕 ----【「경」은 ‘이 사이’이다. 「인」은 ‘그 일의 까닭으로’(그 일로)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추천」은 〈누군가를〉 위하여 좋은 땅에 가 나시게 하는 것이다.】
〔옮김〕 이 사이 추천하는 일로 해서,
〔한문〕 ----【「원」은 ‘이제’ 하는 뜻이다. 「채」는 가린다는 것이다. 「제」는 여러 가지다. 「경」은 부처님의 글이다.】
〔옮김〕 이제(이에) 여러 경전에서 가려 내어,
〔한문〕 ----【「별」은 ‘따로내어(달리)’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위」는 만든다는 것이다. 「일」은 하나이다. 「서」는 글이다.】
〔옮김〕 따로 한 책을 만들어,
〔한문〕 ----【「명」은 이름이니. 「명지」는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왈」은 ‘말하되’ 하는 뜻이다. 「석」은 서가(석가)이시니라. 「보」는 평생의 처음과 끝의(모든) 일을 다 쓴 책이다. 「상」은 종요로운 말은 자세히 다 쓴다는 것이다. 「절」은 종요롭지 않은 말은 덜어(덜고) 쓴다는 것이다.】
〔옮김〕 이름 붙여 말하되(붙이되) ‘석보상절’이라 하고,
〔한문〕 ----【「기」는 ‘이미’(벌써) 하는 뜻이다. 「거」는 붙는다는 것이다. 「차」는 차제(차례)를 헤아려 책을 만든다는 것이다.】
〔옮김〕 벌써 차례를 헤아리어 만든 바에 의지하여,
〔한문〕 ----【「회」는 그린다는 것이다. 「성」은 이룬다는 것이다. 「세존」은 세계에 가장 높으시다는 뜻이다. 「도」는 부처님의 법이다. 「적」은 처음에서 마지막에 이르도록 하신 모든 일이다.】
〔옮김〕 세존의 도를 이루어 내신 양자를 〈그림으로〉 그려 이루고(이루어 내고).
〔한문〕 ----【「우」는 ‘또’ 하는 뜻이다. 「이」는 ‘써’ 하는 뜻이다. 「정음」은 바른 소리니, 우리 나라 말을 반듯이 옳게 쓰는 글이므로 이름을 ‘정음’이라 하나니라. 「취」는 ‘곧 인하여’라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니, 한자로 먼저 글을 만들고, 그것을 따라서 정음으로 〈글을〉 만들므로, ‘곧 인하다’고 하니라. 「가」는 힘들여 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역」은 번역이니, 남의 나라의 글을 제나라의 글로 고쳐 쓰는 것이다.】
〔옮김〕 또 정음으로써 한문에 따라 더 번역하여 새기노니,
〔한문〕 ----【「서기」는 그러 하고자 바란다고 하는 뜻이다. 「인인」은 ‘사람마다’이다. 「이」는 쉽다는 것이다. 「효」는 안다는 것이다. 「귀」는 나아간다는 것이다. 「의」는 붙는다는 것이다. 「삼보」는 부처와 법과 중이다. 「언」은 허사이다.】
〔옮김〕 사람마다 쉽게 알아 삼보에 나아가 의지하게 되도록(되기를) 바라노라.
정통 12년 7월 25일에 수양군 (휘) 서하노라.【「정통」은 지금 〈중국〉 황제가 서신 뒤로 늘 쓰는 해의 이름이다.】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首陽君, 釋譜詳節序(석보상절서) (0) | 2022.09.16 |
---|---|
세종, 御製月印釋譜序(어제 월인석보서) (0) | 2022.09.16 |
정진원 ,《월인석보》와 훈민정음의 상생 관계/ [펌] (0) | 2022.09.15 |
《석보상절》(釋譜詳節) (0) | 2022.09.14 |
世宗, 月印千江之曲 (上) 194章/ 붓다 찬불가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