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 김현승
더러는
옥토에 떨어지는 작은 생명이고저 ···
흠도 티도,
금가지 않은
나의 전체는 오직 이뿐!
더욱 값진 것으로
들이라 하올제,
나의 가장 나아종 지니인 것도 오직 이뿐!
아름다운 남의 꽃이 시듦을 보시고
열매를 맺게하신 당신은,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나의 눈물을 지어 주시다.
- 「김현승 시전집」(김인섭 엮음·해설, 민음사, 2005) 중에서
호남신학대학교 교정에 세워진 <가을의 기도> 시비
가을의 기도
ㅡ 김현승
(다형 김현승의 ‘가을의 기도’ 전문. 문학예술 1956)
견고한 고독
ㅡ 김현승
껍질을 더 벗길 수도 없이
단단하게 마른
흰 얼굴.
그늘에 빚지지 않고
어느 햇볕에도 기대지 않는
단 하나의 손발.
모든 신들의 거대한 정의 앞엔
이 가느다란 창끝으로 거슬리고,
생각하던 사람들 굶주려 돌아오면
이 마른 떡을 하룻밤
네 살과 같이 떼어 주며,
결정(結晶)된 빛의 눈물,
그 이슬과 사랑에도 녹슬지 않는
견고한 칼날- 발 딛지 않는
피와 살.
뜨거운 햇빛 오랜 시간의 회유에도
더 휘지 않는
마를 대로 마른 목관악기의 가을
그 높은 언덕에 떨어지는,
굳은 열매
쌉쓸한 자양(滋養)
에 스며드는
에 스며드는
네 생명의 마지막 남은 맛!
* <견고한 고독>, 관동출판사, 1968 ; <김현승 전집 1>, 시인사, 1985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0508
절대고독(絶對孤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yoont3.tistory.com/11299114
절대 고독(絶對 孤獨) / 김현승
절대 고독(絶對 孤獨) 김현승 나는 이제야 내가 생각하던 영원의 먼 끝을 만지게 되었다. 그 끝에서 나는 눈을 비비고 비로소 나의 오랜 잠을 깬다. 내가 만지는 손끝에서 영원의 별들은 흩어져
yoont3.tistory.com
https://www.poemlove.co.kr/bbs/board.php?bo_table=tb02&wr_id=1504
김현승
1913 2월 28일 전남 광주시 양림동 출생. 평양 숭실중학 졸업 1934 숭실전문 재학중 교지에 투고했던 시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때 당신들>이 양주동의 천거로 동아일보에 발표 1937 숭실전문학교 문
www.poemlove.co.kr
절대고독
ㅡ김현승
나는 이제야 내가 생각하던
영혼의 먼 끝을 만지게 되었다.
그 끝에서 나는 하품을 하고
비로소 나의 오랜 잠을 깬다.
내가 만지는 손끝에서
아름다운 별들은 흩어져 빛을 잃지만,
내가 만지는 손 끝에서
나는 무엇인가 내게로 더 가까이 다가오는
따스한 체온을 느낀다
그 체온으로 내게로 끝나는 영원의 먼 끝을
나는 혼자서 내 가슴에 품어준다.
나는 내 눈으로 이제는 그것들을 바라본다
그 끝에서 나의 언어들을 바람에 날려 보내며,
꿈으로 고인 안을 받친 내 언어의 날개들을
이제는 티끌처럼 날려보낸다.
나는 내게서 끝나는
무한의 눈물겨운 끝을
내 주름 잡힌 손으로 어루만지며 어루만지며,
더 나아갈 수도 없는 그 끝에서
드디어 입을 다문다-나의 시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D%98%84%EC%8A%B9
김현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현승(金顯承, 1913년 4월 4일 ~ 1975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號)는 다형(茶兄)이다. 독실한 개신교 장로회 신자로서 기독
ko.wikipedia.org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60년대 詩 회고, 참여시 vs 순수시 & 모더니즘의 변형 (0) | 2024.01.22 |
---|---|
황하택, 광주·전남 現代詩文學 연구 -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 (2) | 2024.01.21 |
박목월- 청노루 · 나그네 · 사월의 노래 · 하단(下端)에서 · 이별가 · 하관 (下棺)/ 조지훈, 낙화 · 승무 (1) | 2023.12.31 |
김현승(金顯承), 눈물, 절대고독 外 다형(茶兄)시모음 (0) | 2023.12.13 |
이형기, 낙화(落花) ☆ 호수 ☆ 비/ 레미 드 구르몽 , '낙엽 (落葉)'/ Yves Montand, '고엽(枯葉)' (0)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