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22212
한국 신화의 체계와 전개
https://www.aks.ac.kr/cefia/webzine/2203/focus.html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학, 세계속의 대한민국 문화 포커스 한국 신화 개관 - 1 한국 신화의 체계와 전개 1. 한국 신화의 체계 한국의 신화는 다양하며, 다층
kydong77.tistory.com
https://www.aks.ac.kr/cefia/webzine/2203/focus.html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학, 세계속의 대한민국
문화 포커스 한국 신화 개관 - 1 한국 신화의 체계와 전개 1. 한국 신화의 체계 한국의 신화는 다양하며, 다층적이다. 신화의 편수도 많지만 이 신화들의 체계 또한 복잡하고 다층적이다. 일반적
www.aks.ac.kr
1. 한국 신화의 체계
한국의 신화는 다양하며, 다층적이다. 신화의 편수도 많지만 이 신화들의 체계 또한 복잡하고 다층적이다. 일반적으로 신화는 신(神)에 대한 이야기 내지 신성한 존재나 사태에 관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신화의 본질은 '신' 내지 '신성함'이라 할 수 있는데, 한국인들이 생각한 신성함을 갖춘 존재는 세상을 창조한 절대자 신에서부터 국가를 세운 영웅, 마을의 수호신, 풍작이나 풍어를 관장하는 신, 아이를 점지해 주는 신 등,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또한 한국의 신화는 어떤 방식으로 전승해 왔는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문헌에 기록된 것과 구술(口述)로 전승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구술로 전승할 경우에도 특별한 제전(祭典)이나 종교적 의식을 통해 구연되는 것도 있고 그러한 전승 맥락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신화는 문헌에 정착한 건국신화(建國神話)와 민간의 무속 문화 속에서 구술 전승되는 무속신화(巫俗神話)가 가장 대표적이다. 건국신화는 국가가 주관하는 공식 제사에서 재연되었으며, 무속신화는 민간에서 연행되는 각종 굿에서 재연되었다. 건국신화가 고대 국가의 첫머리 역사로서 안정적으로 정착하였다면, 무속신화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의 무속 문화 속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신화의 내용을 보면, 세상을 열고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는 신과 그 행적을 다룬 신화, 신성한 존재가 출현하여 새롭게 나라를 세운 신화, 마을의 수호신이나 조상신의 행적을 다룬 신화, 무속의 신들이 어떻게 신이 되었는지를 다룬 신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한국 신화의 역사와 전개
(1) 건국신화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의 가장 오래된 신화는 고조선의 건국을 이야기한 '단군신화'이다. 한반도의 북쪽 지역은 한반도보다 먼저 금속 문화를 받아들이고 고대 국가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단군신화'는 4,000여 년 전 한반도 북쪽에 세워진, 한국 민족이 최초의 국가로 여기는 고조선의 건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건국신화는 한반도 주변에서 세워진 한국 민족의 고대 국가 설립 과정과 그 주인공을 다루기 때문에 시간적 배경이 비교적 잘 드러난다.
고조선 이후 설립된 고대 국가로 한반도 북쪽 지역에는 부여가 가장 유명하다. 부여는 기원전 4세기에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부여와 관련된 신화로는 '해모수신화', '해부루신화', '금와신화'가 있다.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의 등장과 즉위 내용을 다룬 것이 '해모수신화'이며, 해모수를 이어 왕이 된 인물을 다룬 것이 '해부루신화'이다. 해부루 다음 대의 신이한 왕을 다룬 것이 '금와신화'이다.
기원 전 한 세기를 기점으로 한반도에는 신라(BC.57), 고구려(BC.37), 백제(BC.18)가 건국하여 이른바 삼국시대를 이루게 된다. 세 나라의 건국과 관련해서 비교적 상세한 신화가 전한다. 삼국이 한반도의 북쪽 지역과 한반도를 완전히 3분하여 통치하기 이전에는 수많은 소규모 국가가 있었고 관련 신화도 있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가야와 탐라를 들 수 있다.
기원전 57년 신라의 초대 왕 혁거세가 즉위하는데, 혁거세의 탄생과 즉위를 다룬 신화가 '혁거세신화'이다. 신라는 혁거세의 박(朴)씨 왕조 외에 석(昔)씨와 김(金)씨에서도 왕이 배출되었다. 석씨 왕조의 시조를 다룬 '탈해신화'가 있고, 김씨 왕조의 초대 조상을 다룬 '알지신화'가 있다.
기원전 37년, 부여에서 탈출한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하는데, 이 이야기가 '주몽신화'로 전한다. 주몽의 아들 비류와 온조가 남하(南下)하여 백제를 세우는 이야기도 전한다.
1세기 초에 가야 엽합의 대표라 할 수 있는 금관가야의 초대왕 수로가 즉위하는데, 이때의 이야기가 '수로신화'로 전한다. 과거에는 제주도를 탐라라고 불렀는데 탐라국은 고(高)씨, 양(良)씨, 부(夫)씨 세 왕조가 분할 통치하였다. 이 세 시조의 출현을 다룬 것이 '삼성(三姓)신화'이다.
삼국시대를 거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이후 고려, 조선으로 이어진다. 고려가 918년에 세워졌는데 이 시기에는 앞선 고대 국가의 건국신화처럼 시조왕의 건국을 신이(神異)한 이야기를 만들기 어려웠다. 하지만 초대왕의 정통성과 건국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성한 장치를 활용하여 건국에 관한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고려의 시조인 왕건의 신성한 조상들의 계보를 다룬 '고려세계(高麗世系)'가 있는데 이는 고려의 건국신화라고 칭할 수 있다.
(2) 무속신화
한국에는 문자로 기록되어 전하는 신화보다 구술 전승되는 신화가 훨씬 더 많다. 이 경우 무속제의(굿)에서 무당이 구연하는 신화도 있고, 특별한 연행 맥락 없이 혹은 그러한 것들을 상실한 채 이야기로만 전하는 신화도 있다. 건국신화가 공식적인 국가의 역사와 관련된 것이라면 이와 구별되는 구전(口傳) 신화는 민간의 종교와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무속신화로 통칭할 수 있다.
문헌신화인 건국신화 달리 구술신화인 무속신화는 만들어진 시기나 순서를 정확하게 매길 수 없다. 하지만 신화의 내용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시간대나 선후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인간사회가 질서 잡힌 공동체를 형성하기 이전 단계에는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이 인간의 주된 관심사였다. 어떻게 하늘과 땅이 만들어지고 별이 생겨났는지, 그리고 언제 어떻게 인간이 처음 만들어졌는지와 같은 근원적인 의문에 대한 답이 신화로 형성된다. 이른바 창세신화(創世神話)는 세상과 인간의 출처를 다룬 것이다. 거인에 의해 섬이나 산, 강, 호수와 같은 지형이 만들어진다는 내용을 다룬 '설문대할망', 태초에 신이 등장하여 천지 창조와 인간 창조를 다룬 '창세가', 천상세계ㆍ인간세계ㆍ사후세계의 구획과 그 통치자들의 등장을 다룬 '천지왕본풀이' 등이 있다. 또한 홍수로 인해 기존의 인간세계가 멸망하고 이후 새로운 인류의 시조를 다룬 홍수신화도 있다.
인간이 등장하고 인간사회가 꾸려짐에 따라 질서를 수립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질서와 문화를 인간 공동체에 전해주고 정착시킨 영웅이 필요하다. 무속신화에는 수많은 영웅 신화들이 있다. 생산신과 사람의 탄생을 주관하는 삼신을 다룬 '제석본풀이', 병을 치유하고 망자를 천도하는 역할을 최초로 맡은 인물의 이야기인 '바리공주'가 있다. 이 두 신화는 한국의 전 지역에서 전승되는 가장 널리 알려진 신화이다. 삶과 죽음이라는 인간 삶에 있어서 가장 근원적인 문제를 다룬 신화이다.
이밖에 집과 터의 신들을 다룬 '성주풀이', 집안의 각종 공간을 차지한 신들의 내력을 담은 '문전본풀이'가 있다. 천상에 올라가 곡식의 씨앗을 얻어 인간에게 전해준 농경신 이야기인 '세경본풀이'가 있다.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신들에 관한 '칠성본풀이'가 있다. 망자를 명부로 인도하는 저승사자의 이야기 '차사본풀이'가 있다. 이 외에도 한국에는 인간들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신들이 존재하며 신화를 남기고 있다. 한국인들은 말 그대로 신들과 함께 살아간다고 할 수 있다.
여러 지방의 신화를 묘사하는 그림들.
11시 방향부터 시계 방향으로: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테티스, 중국 신화의 여와, 북유럽 신화의 로키, 크툴후 신화의 네크로노미콘, 인도 신화의 크리슈나, 일본 신화의 아마테라스, 이집트 신화의 호루스, 히타이트 신화의 테슙, 켈트 신화의 마하.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D%99%94
신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러 지방의 신화를 묘사하는 그림들. 11시 방향부터 시계 방향으로: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테티스, 중국 신화의 여와, 북유럽 신화의 로키, 크툴후 신화의 네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02z-wnAk4S4
https://www.youtube.com/watch?v=kg5npTTq0C8
https://www.youtube.com/watch?v=f_UbPCiAIq4
https://www.youtube.com/watch?v=XUbbdLIbj-4
이 포스트 글이 열리지 않아 목차만 찾아 보았습니다.
https://namu.wiki/w/%ED%9D%AC%EB%A7%9D%EC%9D%98%20%EB%AC%B8%ED%95%99#toc
희망의 문학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1. 소개
2. 소개 작품
3. 기타
한국의 설화문학 02
https://kydong77.tistory.com/5705
한국의 설화문학 포스트 모음 02
한국의 설화문학 02 한국의 설화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산문문학>설화 신화 설화 전설 민담 문학 요약 개관 전설개관 민담 개관 설화 개관 설화 문학 야담의 개관 가 나 다 가실과 설씨녀 설
kydong77.tistory.com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D%99%94
신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러 지방의 신화를 묘사하는 그림들. 11시 방향부터 시계 방향으로: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테티스, 중국 신화의 여와, 북유럽 신화의 로키, 크툴후 신화의 네
ko.wikipedia.org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thugi&logNo=70169386387
설화 전설 민담 문학 요약 개관
설화 개관 특정 문화 집단이나 민족, 각기 다른 문화권 속에서 구전되는 이야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
blog.naver.com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희망의 문학 - 고전 문학
www.seelotus.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9111
설화(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한국의 설화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산문문학>설화
https://namu.wiki/w/%ED%95%9C%EA%B5%AD%20%EC%8B%A0%ED%99%94
한국 신화 - 나무위키
두 명의 주신이 세상을 지배할 권한을 두고 경쟁하는 단계의 신화다. 전국에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끝내는 이승(인간세상)과 저승(우주)가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신화다. 미륵과 석가, 대별
namu.wiki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252
가실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mrpage.tistory.com/426
감생설화(感生說話)
감생설화(感生說話) 남녀간의 성적인 결합 없이 특이한 사건이나 사물에 접함으로써 아기를 잉태하게 되는 내용의 설화. 주로 각국의 건국신화나 비범한 인물의 탄생설화에 나타나며, 이러한
mrpage.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955
강감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115
의견설화(義犬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687
개안설화(開眼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700
개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118
게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119
게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862
거울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m.khan.co.kr/culture/book/article/201111282215355#c2b
[책읽는 경향]한국의 거인설화
▲ 한국의 거인설화 | 권태효·역락 제주도는 현재 잔치 중이다. 생물권보존지역 지정, 세계자연유...
m.khan.co.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947
거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거타지 설화 - 삼국유사 권2.-
내 용
아찬(신라 골품 제도에서의 여섯째 등급) 양패(良貝)는 진성여왕의 막내아들이었다. 당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 후백제의 해적들이 진도(津島)에서 길을 막는다는 말을 듣고 활쏘는 사람 50명을 선발하여 따르게 했다. 배가 곡도(지금의 백령도)에 이르자 풍랑이 크게 일어 10여 일 동안 묵게 되었다. 양패공은 이를 근심하여 사람을 시켜서 점을 치게 하니 "섬에 신지(神池)가 있으니, 거기에 제사를 지내면 좋겠습니다." 했다.
이에 못 위에 제물을 차려 놓으니 못물이 한 길이나 넘게 치솟았다. 그날 밤 꿈에 노인이 나타나서 공에게 말하기를 "활 잘 쏘는 사람 하나를 이 섬 안에 남겨 두면 순풍을 얻을 것이오." 했다. 양패공이 잠을 깨어 그 일을 좌우에게 묻기를 "누구를 남겨 두는 것이 좋겠소"하니 여러 사람이 말하기를 "나무 조각 50개에 저희들의 이름을 각각 써서 물에 가라앉게 해서 제비를 뽑으시면 될 것입니다." 했다. 공은 이 말을 따랐다.
군사 거타지의 이름을 쓴 나무 조각이 물에 잠기었으므로 그 사람을 남겨 두자 갑자기 순풍이 불어 배는 지체없이 나아갔다. 거타지가 수심에 쌓여 섬 위에 서 있는데 갑자기 한 노인이 못 속에서 나오더니 말하기를, "나는 서해약(西海若)(서쪽 바다의 신)이오. 중 하나가 해가 뜰 때면 매양 하늘로부터 내려와 다라니(산스크리트어를 번역하지 않고 소리 그대로 외는 것으로, 그 자체에 무한한 뜻이 있어서 이것을 외는 사람은 한없는 기억력을 얻고, 모든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함.)의 주문을 외면서 이 못을 세 번 돈다오. 그러면 우리 부부와 자손들이 모두 물 위로 떠오르게 되는데, 그 때 중은 우리들의 간을 빼먹는다오. 결국 자손들이 거의 다 죽어 버리고, 이젠 우리 부부와 딸 하나만 남게 되었소. 내일 아침에도 또 반드시 올 것이니, 그 때 그대가 그 중을 활로 쏘아 죽여 주시오" 했다.
거타가 말하기를 "활 쏘는 것은 나의 장기이니 명령대로 하겠습니다." 했다. 노인은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물 속으로 사라지고 거타지는 숨어서 기다렸다. 이튿날 동쪽에서 해가 뜨자 과연 중이 와서 전처럼 주문을 외면서 늙은 용의 간을 빼먹으려 했다. 이때 거타지가 활을 쏘아 중을 맞히니 중은 바로 늙은 여우로 변하여 땅에 쓰러져 죽었다. 이에 노인이 나와서 치사하기를 "공의 은덕으로 내 생명을 보전하게 되었으니 내 딸을 아내로 삼기 바라오." 하니, 거타가 말하기를 "따님을 나에게 주시고 저버리지 않는다면 참으로 원하던 바입니다." 했다.
노인은 그 딸을 한 가지 꽃으로 변하게 하여 거타의 품 속에 넣어 주고 두 용에게 명하여 거타를 모시고 사신의 배를 따라 그 배를 호위하여 당나라에 들어가도록 했다. 당나라 사람은 신라의 배를 용 두 마리가 호위하고 있는 것을 보고 이 사실을 황제에게 말했다. 이에 황제가 말하기를 "신라의 사신은 반드시 비상한 사람일 것이다."했다. 이에 잔치를 베풀어 신라 사신을 당나라 여러 신하들의 윗자리에 앉히고 금과 비단을 후하게 주었다. 본국으로 돌아오자 거타는 꽃가지를 꺼내어 여자로 변하게 하여 함께 살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의 진성여왕(眞聖女王) 거타지조(居陀知條)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057
검군(劒君)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700
개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170
견우직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견훤 구인생 설화 뜻: 후백제의 시조 견훤의 탄생을 다룬 설화. 광주 북촌에 살던 한 여인에게 한
견훤 구인생 설화: 후백제의 시조 견훤의 탄생을 다룬 설화. 광주 북촌에 살던 한 여인에게 한 남자가 밤마다 나타나 자고 갔다. 여인은 사내의 옷자락에 실이 달린 바늘을 꽂아 두었고, 다음 날
wordrow.kr
후백제의 시조 견훤의 탄생을 다룬 설화. 광주 북촌에 살던 한 여인에게 한 남자가 밤마다 나타나 자고 갔다. 여인은 사내의 옷자락에 실이 달린 바늘을 꽂아 두었고, 다음 날 그 실을 따라가 보니 지렁이가 바늘에 꽂혀 있었다. 이후 여인은 잉태를 하였고, 그렇게 태어난 아이가 바로 견훤이다. 이 설화는 ≪삼국유사≫에 실려 전해진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180
견훤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4290
세계한민족문화대전
「야래자」 설화는 원형을 기초로 여러 변형들이 존재한다. 첫째, 주인공은 대개 외동딸이다. 주인공이 과부·유부녀·할머니 등으로 된 것은 변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변신한 사나이는
www.okpedia.kr
경문왕의 귀설화 - 경문대왕 이야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419
경문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120
계모설화(繼母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358
고기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418
고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488
고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561
고목생화설화(枯木生花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812
고양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975
고창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208
곰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322
광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dict.wordrow.kr/m/29754/amp/
🌟교시설화: 교사(郊祀)에 희생물로 바칠 돼지에 관한 이야기. ≪삼국사기≫ 고구려 유리왕 19년
🌟교시설화 🌏郊豕說話: 교사(郊祀)에 희생물로 바칠 돼지에 관한 이야기. ≪삼국사기≫ 고구려 유리왕 19년, 21년과 산상왕 12년의 기록에 실려 있다.[📓명사 한자어 단어 ]
dict.wordrow.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701
구두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712
구렁덩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788
구복여행(求福旅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아래의 항목들도 인터넷 검색으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설화를 검색하기 바랍니다.
구토 설화 龜兔說話
≪삼국사기≫ <김유신전>에 나오는 토끼와 거북의 설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판소리 <수궁가>와 소설 <토생원전>, <별주부전> 따위의 근원 설화가 되었다.
https://seelotus.tistory.com/m/1240
금강산선녀전설
금강산선녀전설 사슴의 보은으로 맺게 된 한 나무꾼과 선녀와의 이야기를 다룬 설화. 신이담(神異譚)의 범주에 속하며 ‘금강산선녀설화’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
seelotus.tistory.com
금강산선녀전설
사슴의 보은으로 맺게 된 한 나무꾼과 선녀와의 이야기를 다룬 설화. 신이담(神異譚)의 범주에 속하며 ‘금강산선녀설화’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백조처녀설화(白鳥處女說話)’라 하여 범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전개는 동물의 보은, 금기(禁忌)의 파괴, 남편의 추적, 상봉, 남편의 지상으로의 귀환, 다시 금기의 파괴, 남편의 천상으로의 귀환 불능으로 이어진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나무꾼이 사냥꾼에게 쫓기는 사슴을 숨겨 주었더니 사슴은 은혜의 보답으로 선녀들이 목욕하고 있는 곳을 일러 주며 선녀의 깃옷을 감추고 아이를 셋 낳을 때까지 보여 주지 말라고 당부한다.
사슴이 일러 준 대로 선녀의 깃옷을 감추었더니 목욕이 끝난 다른 선녀들은 모두 하늘로 날아 돌아갔으나 깃옷을 잃은 한 선녀만은 가지 못하게 되어 나무꾼은 그 선녀를 데려다 아내로 삼는다.
아이를 둘까지 낳고 살던 어느 날 나무꾼이 선녀에게 깃옷을 보이자 선녀는 입어 보는 체하다가 그대로 아이들을 데리고 승천한다. 어느 날 사슴이 다시 나타나 나무꾼에게 하늘에서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 올릴 터이니 그것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면 처자를 만날 수 있을 거라고 일러 준다.
사슴이 일러준 대로 하늘에 올라간 나무꾼은 한동안 처자와 행복하게 살았으나 지상의 어머니가 그리워져서 아내의 주선으로 용마를 타고 내려오는데, 이 때 아내는 남편에게 절대로 용마에서 내리지 말라고 당부한다.
지상의 어머니가 아들이 좋아하는 호박죽(또는 팥죽)을 쑤어 먹이다가 뜨거운 죽을 말 등에 흘리는 바람에 용마는 놀라서 나무꾼을 땅에 떨어뜨린 채 그대로 승천한다. 지상에 떨어져 홀로 남은 나무꾼은 날마다 하늘을 쳐다보며 슬퍼하다가 죽었다. 그리고는 수탉이 되어 지금도 지붕 위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며 울음을 운다는 것이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7921
금와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331
김삿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558
김수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727
김알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036
김현감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217
까치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342
나무꾼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407
나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9433
「왕자 호동과 낙랑공주」는 『삼국사기』제14권 ‘고구려 본기’에 수록되어 있는 호동설화(好童說話)의 각 편으로, 고구려의 호동 왕자(好童王子)가 낙랑국(樂浪國)의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꾀어 자국의 자명고(自鳴鼓)를 찢게 함으로써 낙랑국을 점령할 수 있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702
난생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940
남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840
노옹화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3714
달달박박(怛怛朴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3553
단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seelotus.tistory.com/1364
달팽이 각시
달팽이 각시 어떤 사람이, 논에 물을 보러 가니까, 삽으로 논 수멍을 콱 찍으면서, "이 농사를 져다 누구하고 먹나?" 이러니까, "나하고 먹지 누구하고 먹어." 그래, 이상해서 또 한 번 콱 찍으
seelotus.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656
선덕왕지기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7449
도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신라 진지왕 때 미녀 도화랑(桃花娘)과 그의 아들 비형(鼻荊)에 관한 설화.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5925
도화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436
동명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491
동방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963
두꺼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7750
만파식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7863
망부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248
명랑신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294
무학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475
문무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642
문자재담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925
미륵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017
미천왕(美川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022
미추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391
밀본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484
바보사위설화(바보사위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694
박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1144
박제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1359
박혁거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1772
방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267
원문/전문 보기 - 배열부전 (裵烈婦傳)
1 열부(烈婦)의 성은 배씨요, 이름은 아무인데 경산(京山)사람이다. 아버지는 전의 전사(戰士)인 중선(中善)이다. 15세기 지나서 사족(士族)인 이동교(李東郊)에게 출가하여 가정의 일을 잘 돌보았
www.davincimap.co.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3994
봉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645
효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408
사금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576
사명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659
사복(蛇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659
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910
삼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704
서동요(薯童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980
선화공주(善花公主)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3
서산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066
서울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559
석탈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blog.naver.com/kwank99/30021436993
지귀설화(志鬼說話)
지귀설화(志鬼說話) 【해설】 이 이야기는 원래 <수이전(殊異傳)>에 ‘심화요탑(心火繞...
blog.naver.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661
선도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661
선도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9046
설씨녀(薛氏女)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489
손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wank99&logNo=30021052484
손순매아설화(孫順埋兒說話)
손순매아설화(孫順埋兒說話) 【해설】 <삼국유사>에 전하는 효행설화. 이 설화는 ...
blog.naver.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1445
수삽석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397
시애설화(屍愛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785
신돌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3974
심화요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4112
쌍녀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4259
아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544
양사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6876
연오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139
오누이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155
오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오봉산의 불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342
오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837
온달(溫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9252
바보음담설화(바보淫談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9410
용궁설화(龍宮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9500
용변소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9857
우렁이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149
우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207
욱면(郁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612
원광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626
원님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738
원숭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905
원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911
원효불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2816
은도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042
음장설화(陰長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00
이류교혼설화(異類交婚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554
이산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709
이성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146
이여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471
이율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31
이태조구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954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6876
연오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366
임경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902
자린고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blog.naver.com/kwank99/30021564162
호동왕자설화(好童王子說話)
<호동왕자설화(好童王子說話)> 【해설】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樂浪公主)의 이야기는 &...
blog.naver.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8593
장수바위설화(將帥바위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8771
장자못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9078
쟁장설화(爭長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18317
구우(瞿佑), 전등신화(剪燈新話) / 한문과 국역
https://kydong77.tistory.com/5439?category=487462 구우 / 전등신화 [은자주]전등신화의 목차를 정리해 본다. 하단에 금오신화와 연관된 작품을 적시하고 걸작을 발췌해 본다. 전등신화(剪燈新話)_구우(瞿佑
kydong77.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436
동명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7507
지귀주사(志鬼呪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042
음장설화(陰長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449
지하국대적퇴치설화(地下國大賊退治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155
오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451
창세신화(創世神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771
천관(天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904
천사옥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451
창세신화(創世神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480
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712
최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9861
평강공주(平岡公主)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2104
할미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006
한국민속대백과사전
folkency.nfm.go.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052
허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156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blog.naver.com/kwank99/30021564162
호동왕자설화(好童王子說話)
<호동왕자설화(好童王子說話)> 【해설】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樂浪公主)의 이야기는 &...
blog.naver.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197
홍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363
홍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695
화수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824
화왕계(花王戒)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645
효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989
흥덕왕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997
흥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namu.wiki/w/%ED%9D%AC%EB%A7%9D%EC%9D%98%20%EB%AC%B8%ED%95%99
희망의 문학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곡명
|
작가
|
문헌
|
특징
|
백수광부의 아내
|
고금주, 해동역사
|
기록상 전해지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시
|
|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개인적 서정시
|
|||
구간 등
|
현재 전승되는 가장 오래된 집단 무요, 노동요
|
||
창작 시대와 배경은 다르지만 구지가의 변형으로 본다
|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한글로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가요[1]
|
||
미상
|
속박물지
|
고구려인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한시
|
|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목간
|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백제가요
|
가전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고대가요 - 나무위키
이름만 알 수 있는 고대가요로 향가일 수도 그냥 음악일 수도 있지만, 원문은 없어서 알 수 없다. 국가곡명작가문헌내용내원성가미상내원성의 유래를 읊은 노래고려사 악지, 외3[4]명주(현재 강
namu.wiki
고대가요 - 나무위키
이름만 알 수 있는 고대가요로 향가일 수도 그냥 음악일 수도 있지만, 원문은 없어서 알 수 없다. 국가곡명작가문헌내용내원성가미상내원성의 유래를 읊은 노래고려사 악지, 외3[4]명주(현재 강
namu.wiki
1. 소개
1.1. 사이트 소개
주 이용 층은 학생이 이용하는 편이다. 실제 카페 lotus가 닫히기 전에는 학생들의 글이 많았다. 현재 메인에도 관리자의 이메일을 찾아내어 보낸 이용자가 있을 정도로 고정 이용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20년 1월 4일부로 도메인 및 호스팅 만료로 문을 닫는다는 공지가 올라왔으나...
본 사이트를 블로그화 하여 계승하겠다는 이용자가 나타났다(!) 문학/비문학 분석 자료들이 날아가지 않고 계속 보존되게 되었다. 이 블로그를 통해 학생들이 고전
--사이트도 오래된듯... 카페 제로보드에 가면 2001년 부터 작성한 글도 있고, htm 형식으로 작성된 글들이 많이 보인다.
2. 소개 작품
2.1. 고전 문학(운문)
2.1.1. 고대 시가
2.1.2. 항가
2.1.3. 한시.한문
2.1.4. 고려가요
2.1.5. 경기체가
2.1.6. 시조
2.1.7. 악장
2.1.8. 언해(번역)
2.1.9. 가사, 개화가사
2.1.10. 무가 민요 판소리
2.2. 고전 문학(산문)
2.2.1. 설화
2.2.2. 가전체
2.2.3. 수필, 비평, 내간
2.2.4. 고전소설
2.2.5. 민속극
2.2.6. 고전문학사
3. 기타
3.1. 근황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연(一然), 삼국유사 9편(編), 138조(條)로 구성/설화 포스트 모음 (0) | 2010.03.08 |
---|---|
건국신화 포스트 모음 (1) | 2009.09.14 |
한국의 설화문학 포스트 모음 01 (0) | 2009.09.14 |
원효와 설총 부자 (1) | 2009.04.02 |
대물왕 지절로 (0) | 200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