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ip.daum.net/question/86002613

[은자주]낯선 종교여서 사전의 내용을 옮긴다. 아래 사진은 백의파와 공의파 승려의 모습이다. 고의파 승려는 바위의 조각품이다. 공의파()란 지금말로 나체족 승려이다. 위 사진은 자이나교 본거지의 사원건물이고 우리 일행이 방문한 곳은 앞꼭지글에 실린 사진이다.

 

자이나교 [Jainism]

자나교라고도 한다. 불교와 마찬가지로 비정통() 브라만교에서 발생한 출가주의() 종교이다. 불전()에서 니간타(Nigantha:)라고 전하는 종교를, 석가와 같은 시대의 마하비라(Mahāvīra)가 재정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최고의 완성자를 지나(Jina:)라 부르고, 그 가르침이라 하여 지나교 또는 자이나교라는 호칭이 생겼다. 불타에서 연유하여 '불교'라는 호칭이 생긴 것과 같은 이치이다.

교조()의 출신과 인간형성, 지리적·문화사적 배경, 교단 성립의 경위도 불교와 유사한 점이 많다. 인도에서 하나의 종교로 성립된 이후 불교·힌두교와 더불어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으므로, 인도의 전통적 문화와 그 유형 무형의 유산에 관해서 자이나교를 무시하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불교와 교단간의 밀접한 교섭은 양종교의 원시 경전에서도 여실히 엿볼 수 있다. 전승()에 의하면, 1세기 말경 공의파()와 백의파()로 분열되고, 다시 여러 지파()가 생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시 경전에서는 비교적 상세한 교의()가 정립되어 있으나, 그 이후로는 불교만큼 다채로운 발전을 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후세에 와서 인식론이나 논리학은 불교의 영향이 현저한데, 오랫동안 산일()되어 있던 불교의 작품들이 최근 자이나교의 승원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현재 교도 수는 인도 전역에 걸쳐 180만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상호부조적()인 성격이 강하고 상인이나 금융업자가 태반을 차지하고 있어 경제적 영향력 또한 막강하다. 그 실천생활상의 특색으로서 승려를 통하여 불살생(:ahinsā)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다. 교의로는 정신과 물질의 이원론()을 주창한다. 즉 생명(jiva)과 비생명(ajiva)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생명은 다시 공(:운동의 원리)·비공(:정지의 원리)·물질재료·허공·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이 형이상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다음 7종 또는 9종(선·악을 포함하여)의 실천론적 계열이 모든 가능태()로 제시된다. 즉 생명·비생명·선·악·누()·박()·차()·멸()·해탈()이 바로 그것이다. 생명이 외적 대상의 영향을 받아, 물질재료가 생명 속에 누입()하고[], 그것이 물질적 업()을 형성하여 생명을 속박한다[]. 그리고 외적·내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업물질()의 누입을 정지시키고[], 또한 이 업물질을 멸()한다. 이 멸한 상태가 해탈이다. 해탈에 이르게 하는 덕목()으로는 정견()·정지()·정행()으로 요약되거니와, 구체적으로는 불교의 오계()에 해당하는 오금서(:브라다), 신()·구()·의()의 삼업()에 해당하는 삼기율(:구프티), 오용심(:사미티)이 특히 요구되고 있다.





자이나교 空衣派, 극단적 무소유

https://kydong77.tistory.com/19153

 

자이나교 空衣派, 극단적 무소유

자이나교 사원 [은자주]여기의 자이나교 사원은 카주라호 사원 같은 신전 건물 하나 없이 전시장 모양으로 된 회랑을 빙 둘러가며 관람하는 코스였다. 이곳은 공의파 사원이었다. 은자의 눈길을

kydong77.tistory.com

 

'해외여행 > 인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체 불상1  (2) 2009.02.18
자이나교 사원  (1) 2009.02.18
신전에서 왜 신발을 벗는가?  (0) 2009.02.18
카주라호 사원을 떠나며2  (2) 2009.02.18
카주라호 사원을 떠나며1  (0) 2009.02.18

+ Recent posts